•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Library Users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초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불평의도와 그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Complaining Intentions and Its Antecedents of Academic Library Users)

  • 오동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1-83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의 대학도서관이용자 552명을 대상으로, 불만족의 강도와 무료이용지각, 불평에 대한 태도, 불평비용, 불평의 성공가능성, 서비스의 중요성, 외적귀인, 충성도 등의 불평행동의 선행요인이 이용중단의도, 직접 및 간접항의의도, 부정적 구전의도, 제3자를 통한 불평의도 둥의 각 불평의 도의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of the Academic Library User Service)

  • 유양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9-21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육과 대학도서관의 상호 관련적 기능을 고찰하고 대학도서관의 운영상의 문제점과 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K 대학 학부생을 표본 집단으로 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만족도에 나타난 내용은 이용자의 요구사항의 달성도로 보고 대학도서관 개선책을 모색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대학도서관의 발전적 운영계획을 세우는데 중요한 평가척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에서의 CRM을 이용한 MyLibrary서비스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yLibrary Service in Academic Libraries Using the CRM)

  • 조인숙;하누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3-79
    • /
    • 2011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시스템의 MyLibrary 기능을 CRM개념을 적용하여 이용자들에게 맞춤서비스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홈페이지조사를 통하여 1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대학도서관시스템 중 3개의 시스템을 선정하고 해당 대학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의 각 기능을 담당하는 사서들이 MyLibrary 기능에서 생성되는 이용자들의 정보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사례가 많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MyLibrary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이용자들에게 맞춤정보서비스 제공과 질적으로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CRM에 대한 인식제고와 feedback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학술연구정보 이용자에 관한 연구: 정보요구, 정보이용행태, 정보활용능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Academic Library User's Information Literacy)

  • 유재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1-254
    • /
    • 2004
  • 본 논문은 국내 대학도서관 학술연구정보 이용자들을 그들의 정보요구, 정보이용행태, 정보활용능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용자들은 도서관 이용에 관한 기본적인 안내정보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고 있으나 대학의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도서관시스템은 기본정보제공이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들은 학술연구정보에 대한 주제탐색의 요구를 가지고 있으나 이를 만족시킬 만한 탐색지식이나 정보원에 관한 정보가 부족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용자의 학술연구정보 활용능력은 저조한 편이며 특히 기사검색이나 원문검색과 같은 고급학술연구정보 활용능력은 극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대학도서관의 안내정보시스템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선이 요망되며 피상적인 이용자교육을 지양한 고급의 학술연구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이용자교육이 요청된다.

  • PDF

대학도서관의 자료 이용에 관한 연구 - A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대출통계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llection Use of an Academic Library: Focused on the Analysis of Circulation Statistics of the A-Academic Library Users)

  • 김선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5-13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의 대출기록을 이용하여 자료이용행태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A대학도서관의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말 사이에 발생한 264,804건의 대출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주제별 그리고 이용자 유형에 따른 자료이용행태 분석을 위해, 전체 주제를 16개군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용자 유형은 5개 집단(학부생, 대학원생, 교수, 직원, 기타이용자)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의 주제별 자료이용 정도, 이용자 유형에 따른 주제별 자료이용 정도, 최신자료에 대한 주제별 선호도, 이용자 유형에 따른 최신자료의 선호도 등을 분석하였다.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측정과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Library Anxiety among Academic Library Users)

  • 장혜란;오의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5-221
    • /
    • 2006
  •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을 측정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A대학교 도서관이용자를 체계적으로 표집하여 설문조사(LAS)를 수행하였다. 707명의 도서관이용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의 기초통계를 분석하여 불안의 정도를 파악하고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성별, 학년, 전공계열, 도서관방문빈도, 도서관이용교육과 도서관불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도서관불안을 나타내는 LAS 점수는 2.55점이고,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별로 차이가 있다. 도서관이용교육은 도서관직원으로 인한 도서관불안을 감소시키며, 도서관방문빈도의 증가에 따라 도서관불안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적 장벽으로 인한 불안은 학년이 높고, 도서관방문빈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도서관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도서관 외국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의 특성과 해소방안 연구 (A Study on Traits and Remedy of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Users in Academic Library)

  • 유지윤;정동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1-4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외국인 이용자가 경험하는 도서관불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들의 도서관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외국인 이용자'로 외국인 학생은 물론 외국인 전임교원 및 연구원을 포함하여 다각적으로 도서관불안을 분석하였다. 외국인 이용자수가 가장 많은 S대학교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외국인 이용자 369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전체 도서관불안 점수는 2.96점으로 나타났고, '도서관에 대한 지식'으로 인한 도서관불안을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 신분, 국적, 이용교육 참여 여부, 방문목적, 한국어 실력, 한국문화 이해도의 차이에 따라 도서관불안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서비스, 인적 요소, 환경 및 자원 측면에서 도서관불안 완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s of Academic Library Service Quality on the Satisfaction and the Loyalty of Users)

  • 김규환;남영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5-159
    • /
    • 2007
  •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품질 영향요인과 이런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가 이용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고, C대학도서관 학생이용자 266명의 설문데이터를 바탕으로 측정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다중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e-서비스 품질과 컨텐츠 품질, 도서관직원 품질이 만족도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학부생은 공간/환경 품질과 컨텐츠 품질이, 대학원생은 e-서비스 품질과 도서관직원 품질이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충성도의 경우는 이용자 만족도와 e-서비스 품질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e-서비스 품질의 경우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학도서관이용자 불평행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대구경북지역 대학생이용자를 중심으로 - (Complaining Behavior and Its Antecedents of Academic Library Users)

  • 오동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23-145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의 대학도서관이용자 582명을 대상으로, 불만족의 강도와 무료이용지각, 불평에 대한 태도, 불평비용, 불평의 성공가능성, 서비스의 중요성, 외적귀인, 충성도 둥의 불평행동의 선행요인이 이용중단, 직접 및 간접항의, 부정적 구전, 제3자를 통한 불평 둥의 각 불평행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Web 2.0 features based personalization for academic digital libraries: an application for collaborative environment

  • Bhide, Aditya M.;Yoo, Jae-Heung;Rho, Jae-Jeu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115-119
    • /
    • 2007
  • Huge amount of useful information is getting added to the academic digital world everyday, This digitalized information is heterogeneous and remained limited to a local domain only. How to integrate and share this scattered knowledge with simplicity remained a big challen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totype of web application for accomplishing above task using web 2.0 features; it makes traditional academic digital libraries to form as a special case of collaborative environment. This application enables users to customize their own resources to form their own virtual digital library. Further users can utilize personalized information of other users working in similar research domain to form true collaborative environment. The model and framework for the new look of academic digital library is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