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검색결과 738건 처리시간 0.028초

학술정보 웹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eb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Quality)

  • 박천웅;이기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4호
    • /
    • pp.91-99
    • /
    • 2009
  •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scholarly web database service quality,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factors of web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quality, and analyze how these factors influencing on web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s. As a results, three dimensions were identified namely, information retrieval, ease of use and interaction. The scholarly web database service management has more critical problems than information service in these days. It indicates that the qualitative aspec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quantitative in web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management.

  • PDF

인터넷 포털 학술정보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of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of Internet Portal)

  • 김성희;박해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9-97
    • /
    • 2014
  • 본 연구는 네이버 전문정보, 구글 스칼라, 그리고 MS Academic Search에서 제공하는 학술정보서비스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 13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 이용 및 품질에 대해 콘텐츠, 서비스 및 효과성을 중심으로 비교 평가 하였다. 분석결과 콘텐츠 부분에서는 구글 스칼라에 대한 이용자 평가가 높게 나타났고, 검색성의 경우 구글 스칼라가, 디자인 부분에서는 네이버 전문정보가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접근성에 있어서는 네이버 전문정보와 구글 스칼라가 MS Academic Search보다 높게 평가되었고, 정보의 유용성과 이용자 만족도에서는 구글 스칼라가 다른 포털 학술정보서비스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의 측정 (Measuring Service Quality in Academic Libraries)

  • 박동진;윤동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83-20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service quality measure and service quality level between one sample library and the other. Most typically, service quality is defined in terms of reducing the gap between customer expectations and the actual service provided. This research also focuses on gap reduction. Service quality concept was originally discussed in a commercial environment and may require some adaptation to the non-commercial environment of the academic library. A revised service quality measure that developed by P. J. Calvert and P. Hernon(1996) was used for thi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service quality measure of this research was reliable(99 service quality items scale's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0.983) and was validated by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Therefore service quality measure of this research will be applied positively for academic libraries. And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service quality level of sample academic library was inferior to that of the others. The service quality of sample academic library should be improved to meet the customer's needs and expectations immediately.

  • PDF

학술도서관 디지털정보서비스의 향후 전망 (Future Directions on Digital Information Services of Academic Library)

  • 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1-202
    • /
    • 2007
  • 학술도서관은 현재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학술도서관은 학생, 교수, 연구자 그리고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있어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목적지였다. 학술도서관은 전세계의 가치있는 정보를 수집하는 중개자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출판된 정보의 레파지토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학술도서관 웹사이트의 구축 방향과 학술도서관 디지털정보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Web 2.0 기술을 활용한 최신의 Library 2.0 관련 기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술도서관이 추구하여야 할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중에서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웹을 통한 강의 및 연구활동 지원서비스에 대하여 사례를 들어 분석함으로써 학술도서관 디지털정보서비스의 향후 전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대학도서관 정보봉사시스템 성과지표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Information Service System at the Academic Libraries)

  • 남태우;이무진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1호
    • /
    • pp.1-2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정보봉사시스템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문헌조사를 통하여 도서관 이용, 문헌자료 대출, 참고봉사 및 이용자교육, 전자서비스 등 4개 영역에 16개 성과측정을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규모, 중규모, 소규모 대학도서관을 각각 2개 기관씩 모두 6개 기관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지표의 의미와 활용 방안 및 정보봉사시스템의 성과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 나라 대학도서관에서 웹을 통한 원문정보서비스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through WWW in the Academic libraries)

  • 이명규;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85-307
    • /
    • 2001
  • With frequent use of the internet these days, academic libraries are offering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in our country. The current "Document Delivery Service" utilized over the Internet was researched according to the method used by each library to connect to the internet. and this research, based on each library's current service conditions, service data types, document format of service data, whether the libraries used OPAC for document service or not, and user typ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discovered that most of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is served by website, mainly PDF format, use another interface differs from OPAC, and the personal users in our academic libraries.ers in our academic libraries.

  • PDF

대학도서관의 아웃리치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utreach Service at Academic Libraries)

  • 최상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7-207
    • /
    • 2009
  • 대학도서관이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에는 보다 많은 도서관 이용자와 이용률 증가가 요구된다. 도서관 아웃리치 서비스의 도입 실행이 이에 대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이 실행 할 수 있는 아웃리치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서관 아웃리치의 의의, 대학도서관 아웃리치 활동의 특징, 관련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아웃리치 서비스 사례를 조사한 후, 이를 토대로 다문화학생, 편입생, 대학원생, 기숙사생, 교수, 강사 및 강의조교와 같은 이용자 집단별 아웃리치 서비스와 6단계의 아웃리치 활동 절차가 제시되었다.

국내 디지털 도서관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Digital Library Research Trends in Korea)

  • 강보라;김희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9-6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디지털 도서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대표 학술지 4종으로부터 최근 10년(2007년-2016년) 동안 발표된 디지털 도서관 관련 논문 272편을 대상으로 해당 논문의 저자가 직접 부여한 영문키워드 578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etMiner V.4를 사용하여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연구 주제의 양적인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E Book' 순으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 주제의 영향력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의 확장성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Librarian'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Service Quality Evaluation Criteria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 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9-6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학술도서관 서비스 품질에 대한 국내 외의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지난 2010년과 2011년에 각각 실시된 '대학도서관 시범 평가'와 '전문대학도서관 시범 평가'를 진단하고, 2015년 3월 27일 공포(법률 제13222호)된 "대학도서관진흥법"과 2015년 9월 28일 제정(대통령령 제26547호)된 "대학도서관 진흥법시행령"의 시행에 따른 향후 '대학도서관 평가'에 대해 전망하였다. 그리고 국내 외의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의 사례 분석을 통해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 개발에 있어서 참고하거나 적용해야 할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내 학회의 전자학술지 서비스 유형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Service Patterns and Suggestions on Electronic Scholarly Journals at Academic Societies in Korea)

  • 최재황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29-24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학회의 학술정보 서비스가 기존의 책자형태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 하에 학회 홈페이지에서의 전자학술지 서비스 현황과 그 유형을 조사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데이터 수집은 279종의 등재학술지를 발간하는 257개 학회를 대상으로 2003년 12월 26일부터 2004년 1월 6일까지 개별학회 홈페이지의 직접 접속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257개의 학회 중에서 116개 학회(45.1%)가 홈페이지에서 전자학술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16개 학회 중에서는 62개 학회(53.4%)가 학회 자체의 노력으로 전자학술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57개 학회, 116개 학회, 62개 학회들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전자학술지들은 국가 정보유통기관의 서비스와 각각 비교되었으며, 개별 학회의 전자학술지 서비스 개선방안에 대하여도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