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Engagement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초

대학생의 ADHD성향과 대학적응, 전공만족 및 학습동기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llege adjustment,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motivation in college students)

  • 송귀숙;이수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1-318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evel and patterns of college adjustment, major satisfaction, academic engagement,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adaptation to college life. Methods: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00 university. We analyzed 166 survey data responses colle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from June 1 to July 2, 2020. Statistical product and service solutions version 23.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data were presented a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r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of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ollege (university) and grades. For college adjust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according to major grades. Academic engage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according to the college type and grade. Major satisfaction, college adjustment, and academic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hereas ADHD,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justmen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major satisfaction (p<0.001) and academic motivation (p<0.001) were factors affecting college adjustment (p<0.05).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specific and systematic adapt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control, and guidance methods for college students and to promote human relations, such as school life and social life.

성인간호학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만족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for Real-Time Online Classes in Adult Nursing)

  • 함미영;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80-87
    • /
    • 2021
  •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 성인간호학 수업에 대한 학습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간호학 교과목의 온라인 강의 설계 및 운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준비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 간호학과에서 실시간 온라인 성인간호학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3학년 105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20일부터 7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수집을 시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학습몰입은 3.07점(5점 척도), 수업참여는 3.46점(5점 척도), 학습만족도는 3.88점(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r=.41, p<.001), 수업참여(r=.56,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 대상자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수업참여(��=.47), 성인간호학 수업에 대한 흥미정도에서 매우 높음(��=.21), 높음(��=.20)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34%로 분석되었다(F=14.53, p<.001).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요인은 수업참여로,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 및 교육방법을 개발하여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 및 학습목표의 효율적인 달성을 기대해 본다.

변혁적 리더십이 직장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일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Mediating Role of Perception of Meaning in Work and Work Engagement)

  • 무홍레이;이영찬;단상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117-128
    • /
    • 2018
  • 중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은 지속되고 있으나 창의성 측면은 아직 요원하다. 중국 기업의 관리자들은 직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노하우가 아직 부족하다. 한편 중국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대부분의 직원들은 자신의 업무에 몰입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때로는 자신의 업무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배경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중국 IT 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심천에 소재한 IT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업무 및 업무 참여의 의미에 대한 인식을 통해 변혁적 리더십이 직원의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례 IT기업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40개의 유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와 AMOS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일과 노동 참여의 의미를 통한 변혁적 리더십이 직원의 창의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감정노동이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의한 이직의도,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창업보육센터 종사자의 보상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Mediated by Burnout and Work Engagement : The Moderating effect of reward on manager at support centers for startup)

  • 김남기;전기흥;이종관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1호
    • /
    • pp.153-165
    • /
    • 2015
  •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 종사자(매니저)를 대상으로 감정노동(표면행동, 내면행동)이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이 이직의도와 고객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창업보육센터 종사자(매니저) 보상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감정노동의 표면행동은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면행동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직무소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열의는 이직의도에 부정적, 고객지향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긍정적, 고객지향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열의와 고객지향성 관계에서 창업보육센터 종사자(매니저) 보상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Content Analysis of the Facebook Pages of Selected Academic Libraries in Vietnam

  • Chi, Duong Thi Phuon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9권1호
    • /
    • pp.79-89
    • /
    • 2021
  • This study explores Facebook use in Vietnamese academic libraries by analysing libraries' posts on their Facebook pages and library users' interaction with those posts. A total of 260 posts on four academic libraries' Facebook pages were examin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findings reveal that Facebook was mainly used to encourage reading and to transmit announcements. Most of the academic libraries published one post a week. The photo was the most frequent media type of libraries' posts and gained a higher level of interaction than other pos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user engagement was low, and the user interaction with libraries' posts generally was in the form of reaction. The findings can help better understand Facebook use in Vietnamese academic libraries and may assist libraries in creating a plan for using Facebook more effectively.

일과 삶의 균형(WLB) 지원제도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WLB) Support Systerm on Employee Engagement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 박순;장영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49-69
    • /
    • 2015
  • 본 연구는 복리후생적 인사제도로 인식되고 있는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일, 가족, 성장 지원제도)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조직몰입,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수단적, 정서적)의 조절효과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을 위해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회사의 종업원 537명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조직몰입과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의 관계에서는 성장, 일, 가족 지원제도 순으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는 성장, 일 지원제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수단적, 정서적 지원 모두 성장지원제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던 일과 삶의 균형(WLB) 지원제도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와 함께 복리후생적 인사제도의 활용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 PDF

중국 고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와 그릿의 이중매개효과 (Doubl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and Grit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Engagement in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 나지문;고윤택;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213-221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와 그릿이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하는지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의 한 고등학교에서 유의표집한 고등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이중매개효과 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 학습동기, 그릿 및 학습몰입은 모두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고등학생들의 학습동기와 그릿이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정서지능만이 아니라 학습동기와 그릿을 활용하여 학업몰입을 증진키실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개방형 과제를 활용하는 초등 수학 수업에서 학생의 참여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s' engagement in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using open-ended tasks)

  • 남인혜;신보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1호
    • /
    • pp.57-78
    • /
    • 2023
  • 학생의 수업 참여는 수업의 방향과 성과를 결정지을 뿐만 아니라 학업 성취 및 후속 학습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학생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방형 과제를 활용하는 수업이 지닌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중하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과제 활용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이 드러내는 수업 참여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교사의 발문에 자발적으로 답하거나 어려움을 참고 과제를 끝까지 수행하는 행동적 참여, 박수를 치거나 자리에서 일어나는 등의 즐거움을 표현하거나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정서적 참여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말할 때 실생활 예를 들어 설명하거나 과제 해결에 사전 지식을 이용하였으며 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인지적 참여 양상을 보였고, 친구의 의견을 물어 공동의 아이디어를 구성함으로써 과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거나 모둠 활동에서 친구와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고 받는 등의 사회적 참여 모습을 보였다. 이상은 개방형 과제를 활용하는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학적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효과적인 개방형 과제 활용 수업을 실행하는 데 교사의 지지와 긍정적인 피드백, 모둠 활동 및 소집단 토론으로 구성된 수업 방법, 놀이 및 게임 활동에 기반한 과제 제시 방식 등이 갖는 잠재적 중요성을 보여준다.

병원간호사의 조직몰입 구조모형: 다중집단분석을 통한 세대별 조절 효과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hospital nurses: The moderating effect of each generation through multi-group analysis)

  • 채정혜;김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5-31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based on a job demands-resources model an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nurses' generation. Methods: The model was constructed of the exogenous variable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job conflict and the endogenous variables of burnou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articipants were 560 hospital nurses working in 3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30, 2021, and analyzed using SPSS Window 23.0 and IBM AMOS 23.0. Results: The strongest factor directly influencing hospital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ocial support. In a multiple group analysis, nurses' generation had a partial moderating effect. In a generation-specific analysis, the Z generation group was higher than the X and Y generation groups in the variables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o improve hospital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social support is needed as an important management strateg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we need to develop ways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reducing the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Generation Z.

과거성공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아효능감, 소진, 몰입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st Success on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Burnout, and Engagement)

  • 임창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49-78
    • /
    • 2010
  • 본 연구는 과거성공이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정에서 자아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고 자아효능감이 소진을 감소시키고 몰입을 증가시킴으로써 성과에 매개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려고 하였다. 이론적 연구들을 토대로 매개역할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438명의 학생들을 상대로 설문지와 성적을 근거로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이론적인 구조방정식의 제안모형을 만들어 대안모형과 비교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구조방정식 이외에도 Sobel test와 경로계수 비교를 위한 Equality test, 쌍대모수비교법 등이 동원되었다. 그 결과 자아효능감이 과거성공과 소진/몰입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한다는 사실과 동시에 자아효능감도 성과에 직접적 영향뿐만 아니라 소진과 몰입을 통한 경로를 거친다는 사실도 입증되었다. 특히 자아효능감은 소진의 감소보다는 몰입의 증가라는 긍정적 측면의 역할이 더 강하다는 것도 입증하였다. 동시에 본 연구결과는 그간 부분적으로 연구되어 온 변수간의 상호관계를 하나의 연결모델로 도출했다는 점과 직무요구-자원(JD-R)모형과 자원보존(COR)모형에서 직무자원의 종업원 well-being에 대한 영향 중 부정적 소진의 감소보다 긍정적 몰입의 증가에 의한 영향이 더 크다는 긍정심리학의 주장을 재 입증하는데 공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