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sorbent polymer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5초

고흡수성 합성고분자가 덩굴성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s of Super Absorbent Polymer on the Growth of Vine Plants)

  • 김정호;오득균;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01-810
    • /
    • 2013
  • To improv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and increasing water-retaining property of the soil, Superabsorbent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have been used. The experiment carried out from April to July 2012 after the influence evaluation of Superabsorbent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to vines plant. The result shows that the study of Hedera japonica Tobler, the growth and the survival rates rank as media > hydroponic > superabsorbent synthetic polymers, and the growth and the survival rates are considerably pessimistic in the experiment of hydroponic and superabsorbent synthetic polymers. In the study of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the growth and the survival rates rank as hydroponic > media > superabsorbent synthetic polymer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of hydroponic and is very small and the survival rates are not very good in the experiment of superabsorbent synthetic polymers. In the study of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Rehder,it is in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of planting based. Judging from these results, the differences are depending on the species of plants. The thesis hold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should be considered in plant cultivation and soil improvement in the future, and it is desirable to use the appropriate mixing ratio of soil in soil improvement as well.

Comparative Analysis of Dynamic Moisture Movement Testers

  • Lee, Duck-Weon;Shim, Woo-Sub;Lim, Ho-Sun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6호
    • /
    • pp.40-5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esting principle, testing design and experimental results of the four dynamic moisture movement testers. The research analyzes Moisture Manager Tester (MMT), Alambeta Instrument, Dynamic Surface Moisture Movement Tester, and Gravimetric Absorbent Testing Method based on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 (ASTM) E 96 which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testing method. Although many of researches use ASTM E 96 to measure moisture movement on a fabric, it has several weaknesses, such as long experimental time and a physical change of sample by a holder of the frame. Hence, lots of researchers have studied and developed the new measurement systems measuring moisture management on a fabric or garment and ultimately mimic heat energy and perspiration created by the human body. These moisture management systems use a variety of parameters, such as electricity, color, and sensor to measure their movement in the fabric.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tester (ASTM E 96), the research recognizes the strength and weakness in the dynamic moisture movement testers.

유통과정에서 생표고버섯에 대한 Active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적용 효과 (Effect of Active Master Packaging System on Preservation of Fresh Shiitake Mushrooms in Supply Chain)

  • 안덕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02-408
    • /
    • 2016
  • 생표고버섯 생산 농가에서 일반 판매처까지 보관 및 유통 단계를 거치면서 변화하는 온도 조건에 노출된 제품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1차 개별포장과 2차 포장을 결합한 active 마스터 포장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외부 2차 포장에는 이산화탄소 흡수제인 $Ca(OH)_2$와 수분 흡수제인 고흡수성 고분자를 sachet 형태로 만들어 포장에 적용했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저장단계에서는 1차 개별포장과 2차 포장의 결합한 형태로 수송 및 유통되고, 높은 온도에 노출되는 판매단계에서는 2차 포장을 해체한 후 판매가 진행되도록 하였다. 판매단계에서 2차 포장을 해체하면 온도 상승으로 인한 호흡 증가로 포장 내 산소 고갈과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 축적을 막을 수 있으며, 급격한 생리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수송 및 저장 단계에서 포장 내 기체조성과 온습도를 측정하고, 판매단계에서 포장을 개봉하여 생표고버섯의 품질을 측정하였다. 관행적인 방법인 통기성 천공 포장을 대조구로 하여 같은 조건으로 수송 및 유통, 판매를 통해 처리구 포장의 품질과 비교하였다. 이산화탄소 흡수제인 $Ca(OH)_2$와 수분 흡수제인 고흡수성 고분자를 봉지 형태로 만들어 함입시킨 active 마스터 포장 시스템은 유통 저장 단계에서 포장의 기체 이동과 이산화탄소 흡수제의 효과로 인하여 개별 포장내에 산소 농도가 9~11%, 이산화탄소 농도가 1~4% 범위를 얻을 수 있어서 품질보존에 도움이 되는 변형기체가 형성되었다. 처리구 간에 따른 경도와 표면색택, 호기성 세균수 등의 품질 변화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대조구에 비해 이산화탄소 흡수제와 수분 흡수제의 처리구가 부패율 감소와 곰팡이/효모수의 성장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농가에서 포장 전 예건처리를 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계절적인 요인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제와 수분 흡수제의 양을 조절한다면 active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흡열제가 첨가된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이 유아의 온열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earing disposable diaper with the endothermic agent on thermal responses of infant)

  • 성유진;이수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9-509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aring disposable diaper with the endothermic agent on thermoregulatory response of infant. Five healthy female infants aged about 5 months were taken as a subject of this experiment. Experimental diapers were six kinds of disposable diaper constructed of nonwoven tissue, fluff pulp, super absorbent polymer, back sheet film, leg elastic, and 0g urea(A) 1g urea(B) , 2g urea(C), 3g urea (D), 4g urea(E) 5g, urea(F) respectively. Urea(98% or over purity) was used as an endothermic agent. Experiment was proceeded while infants were sleeping at 27.5$\pm$0.5$^{\circ}C$, 50$\pm$5% R.H, 0.04m/sec. Each disposable diaper's properties was tested. During the experiment rectal temperature skin temperature of 9 areas temperature inside the disposable diapers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apers in absorption capacity retention capacity and rewet(p=0.05). The absorption under load was showed to A, B,

  • PDF

국내외 방음벽 관련 연구동향 분석 및 개발 방향 (Analysis of Research Trend and Development Direction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Noise Barriers)

  • 안호상;김일호;박종빈;이주행;김광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2호
    • /
    • pp.847-854
    • /
    • 2012
  • 최근 국내 거주지역의 다변화와 고속도로와의 근접성을 고려한 선호되는 위치의 변화로 인해 방음벽에 대한 수요 및 설치에 대한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방음벽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도로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민원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미 설치된 방음벽에서도 황변, 먼지침착, 충격파괴 등의 유지, 보수에 대한 어려움이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위에서 제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새로운 소재를 이용 또는 새로운 개념의 방음벽에 대한 연구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소재의 개발, 부가기능의 첨가, 또는 설계의 다변화를 통해 기존의 방음벽이 안고 있는 기술적, 경제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음벽 개발의 첫 단계로 기존의 국내외 방음벽과 관련된 기 수행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향후 개발방향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폴리(아크릴산소다-아크릴산)의 랫드에 대한 아급성 독성시험에 관한 연구 (Subacute Toxicity Study of Poly(sodium acrylic acid-acrylic acid) in Rats)

  • 서경원;박기숙;한범석;장동덕;김창옥;김효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5-117
    • /
    • 1993
  • 고흡수제인 폴리(아크릴산소다-아크릴산)을 사료에 0, 1.25, 2.5 , 5%의 농도로 혼합하여 경구로 투여했을 때의 아급성독성을 평가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폴리(아크릴산소다-아크릴산)Dml 평균 시험물질 섭취량은 수컷에서는 1025, 2009, 4728mg/kg/day이며, 암컷에서는 1011, 2088 및 4576mg/kg/day 이었다. 체중증가, 임상증상관찰,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검사결과 실험물질로 인한 독성영향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뇨 분석, 부검 및 조직학적 검사결과에서도 특기할 만한 독성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폴리(아크릴산소다-아크릴산)의 무영향량은 사료중 함유 농도가 1.25%(평균 시험물질 섭취량이 수컷: 1025mg/kg/day, 암컷 : 1011mg/kg/day)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랫드와 마우스에서 폴리(아크릴산 소다-아크릴산)의 급성 경구 독성 시험에 관한 연구 (Acute Toxicity Study of Poly(sodium acrylic acid-acrylic acid) in Rats and Mice)

  • 박기숙;서경원;김효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7-103
    • /
    • 1993
  • 랫드와 마우스에서 고흡수성 중합체인 폴리(아크릴산소다-아크릴산)의 급성경구 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시험물질을 최고 10 g/kg까지 corn oil에 현탁하여 1회 경구투여하고 2주간 관찰한 결과, 사망사례가 없었으며 일반적인 임상증상 관찰시 특기할 만함 독성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체중변화도 대조군과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부검후 각 장기의 육안적 관찰 결과도 이상소견이 없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한 폴리(아크릴산소다-아크릴산)은 $LD_{50}$가 10 g/kg 이상일 것으로 사료되며, 10 g/kg까지 투여하였을 때 랫드와 마우스에서 특이한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초고흡수성 폴리머(CPAM-AS-hyd) 처리가 토양수분, 배추생육 및 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nese Cabbage Growth and Change of Nutrient and Soil Water on Application of Super Water Absorbent Polymer)

  • 이경보;이덕배;문성필;김무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50-357
    • /
    • 2001
  • 아크릴 아마이드를 자가 중합하여 NaOH로 가수분해시켜 제조된 고 흡수성 고분자 중합체(CPAM-AS-hyd)를 수분조건을 달리한 토양에 시용 한 후 토양수분 보유력, 양분변화 및 배추생육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배추의 출현 율은 무시용 구가 89%, CPAM-AS-hyd 시용 구가 98% 이었으며, CPAM-AS-hyd 처리시 토양수분 보유력 변화는 관개 5일 후 무시용 구의 토양수분 함량은 20.7%, CPAM-AS-hyd 처리 구는 25.4~27.6% 이었으며 관개 10일 후 무시용 구는 11.7%. CPAM-AS-hyd 처리 구는 13.1~16.3 이었다. 무시용 구는 관개 10일 후 작물이 위조 점에 도달한 반면 CPAM-AS-hyd 처리 구는 관개 15일 이후에 위조점에 도달 되었다. 상토에 CPAM-AS-hyd를 시용함으로서 육묘 기간을 약 5일 정도 단축시킬 수 있었으며, 상토 내 $NO_3-N$ 함량은 CPAM-AS-hyd를 시용 함으로서 육묘 시기가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배추 재배 시 CPAM-AS-hyd 시용 효과 시험에서 관수점 0.2bar 구의 관개량은 무시용이 1.87톤, 5kg $10a^{-1}$ 시용이 1.65톤, 10kg $10a^{-1}$ 시용이 1.53톤이었으며, 0.5bar 구의 무시용은 1.38톤, 5kg $10a^{-1}$는 1.25톤 그리고 10kg $10a^{-1}$는 1.15톤이었다. 또한 CPAM-AS-hyd 시용에 의해 관수 점에 도달되는 기간도 무시용 구에 비해 2~3일 정도 길어 졌으며 관개 량도 절약할 수 있었다. 배추의 수량은 0.2bar구에서 무시용에 비하여 9% 증수되었으며, -0.5bar구에서는 34%의 증수 효과가 있었다. CPAM-AS-hyd 시용 후 토양 중 $NH_4-N$$NO_3-N$ 함량 변화는 배추 정식 10일후 무시용 구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정식 20일 이후부터는 토양 중 질소함량이 증가하였다. CPAM-AS-hyd가 처리됨으로서 식물체 중 T-N, CaO, MgO, $K_2O$ 등 양분 흡수 량이 증가되었으나, $P_2O_5$은 무시용 구와 CPAM-AS-hyd 처리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 PDF

제어방출형 소독제의 약물전달 체로 사용된 폴리머 유형에 따른 클로르헥시딘 제어 방출속도 비교 (A comparison of chlorhexidine release rate from three polymeric controlled release drug prototypes)

  • 복영빈;이덕연;이찬영;김경남;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6호
    • /
    • pp.548-552
    • /
    • 2004
  • 본 연구는 제어방출형 근관소독제(CRD)로 부터 chlorhexidine (CHX)의 방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3가지 polymer (chitosan, PMMA, PLGA) 의 코팅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80번 paper point (Sure-EndoTM)에 20% CHX를 loading 한 후 각 군당 10개씩 4군으로 분류하였다: Group A: 폴리머를 코팅하지 않은 CRD prototype (control), Group B: chitosan-coated prototype, Group C: PMMA-coated prototype, Group D: PLGA-coated prototype. 모든 시편은 3 ml 증류수가 담긴 큐벳에 넣은 후 3, 6, 10, 20, 30, 40, 50분 마다, 1, 2, 3, 4, 5, 6시간마다 각각 10 μl 씩 채취하고, 1주일 후 다시 10 μl을 채취한 후 UV 흡광도를 이용하여 CHX의 방출 속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제어방출형 근관소독제로부터 CHX의 방출속도는 대조군, 키토산, PLGA, PMMA-군 순으로 천천히 일어났으며 PMMA군에서 가장 천천히 일어났다. 결론적으로 제어방출형 근관소독제 표면의 폴리머는 약물 (CHX) 방출속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였다.

기능성 첨가재를 적용한 급경사면용 녹생토의 경도 및 리바운드 특성 (Hardness and Rebound Properties of Sprayed Green Soil Produced with Functional Additives for the Application to Steep Slopes)

  • 이병재;김효정;김윤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58-26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급경사면서의 식생기반재 부착 및 녹화성능 확보를 위해 혼입한 기능성 첨가재의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능성 첨가재의 혼입조건에 따른 평가 결과, 급경사면의 부착이 가능하면서 식물의 생육에 원활히 수분 공급을 위한 기능성 첨가재로서 증점제 및 고흡수성 폴리머의 적정 혼입율은 각각 5%, 1% 인 것으로 판단된다. 시멘트 계열의 경화재로 인하여 높아진 pH에 대한 대책으로서 킬레이트 수지 10% 이상 혼입시 pH가 약알칼리에서 중성으로 회복되었다. 토양 전도도 평가 결과, 모든 배합조건에서 254~340mS/m으로 측정되어 기준인 1,000mS/m이하인 기준을 만족하였다. 기능성 첨가재의 최적 배합조건으로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에서 제시하는 경도를 측정한 결과 1bar의 압력으로 시공할 때, 18~23mm의 기준을 만족하였다. 급경사면에 대한 부착강도 평가를 위해 경사면 각도조건에 따라 분사 후 리바운드량과 산중식 경도계를 이용한 경도를 측정한 결과, 75도 각도에서도 리바운드율 15%미만, 경도 18mm이상의 성능 확보가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