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ies holophylla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4초

경기도 용인 지역 전나무 임분의 구조 및 천연 갱신 (Stand Structure and Seedling Recruitment of Abies holophylla Stands in Yong-In Area, Gyeonggi)

  • 박필선;전윤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153-162
    • /
    • 2010
  • 본 연구는 경기도 용인 지역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임분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 지역 전나무 임분의 지속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용인시의 정수리, 대대리, 호동 지역 전나무 임분에서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관목층의 구조와 치수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산림 관리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정수리와 대대리 임분에서 전나무는 중요도 40%로 임분을 우점하고 있었으며, 연속적인 연령과 직경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호동 지역 임분은 간벌과 택벌 등의 산림 작업이 이루어졌던 지역으로 전나무가 흉고직경 10-45 cm 범위에 분포하나 대부분 25-30 cm 직경급에 몰려 있고, 단일수관층을 가지고 있었다. 전나무의 연령과 흉고직경의 상관 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긴 하였으나 높지 않았고($R^2$=0.2, P=0.03), 비슷한 연령대라도 다양한 흉고직경 값을 가졌다. 정수리 임분의 연속적인 직경 분포와 다층수관구조는 전나무가 조림 후 지속적으로 갱신이 이루어져 왔음을 보여주었다. 전나무의 치수는 ha당 2000-33000본까지 발생하였으나, 2-5 cm 직경급의 전나무는 ha당 70-150본 정도로 치수 단계에서 유령목으로 자라나는 동안의 생존율은 낮았다. 지속적인 천연갱신과 연간 약 0.6 cm의 직경생장율은 조사 지역의 환경이 전나무 서식에 비교적 적합한 지역임을 나타낸다. 또한 전나무 임분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여 내음성 수종인 전나무를 대상으로 한 택벌림 경영의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II) - P-V 곡선(曲線)에 의한 잣나무와 젓나무 지엽(枝葉)의 수분특성(水分特性) 인자(因子)의 계절변화(季節变化) - (Ecophysiological Interpretations on the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Trees(II) - Seasonal Changes in Tissue-Water Relations Parameters Obtained from P-V Curves on the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hoots -)

  • 한상섭;최흥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8-14
    • /
    • 1983
  • 수목(樹木)에 있어서 내건성(耐乾性)의 크기를 진단(診斷)하기 위하여 P-V 곡선법(曲線法)에 의해 얻은 잣나무와 젓나무지엽(枝葉)(shoot)의 내적(內的) 수분특성인자(水分特性因子) ${\pi}_o$, ${\pi}_p$, $E_{max}$, $N_s/DW$, $V_o/W_s$, $RWC_{(tlp)}$ 등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측정고찰(測定考察)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잣나무지엽(枝葉)의 최대포수시(最大飽水時)의 침투압(浸透壓) ${\pi}_o$는 -1.2~-1.6 MPa, 젓나무지엽(枝葉)의 ${\pi}_p$는 -1.4~-1.7 MPa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2) 초기원형질분리점(初期原形質分離點)에 있어서 잣나무지엽(枝葉)의 침투압(浸透壓) ${\pi}_p$는 -1.8~-2.1MPa, 젓나무지엽(枝葉)의 ${\pi}_p$는 -1.6~-2.1MPa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3) 초기원형질분리점(初期原形質分離點)에 있어서 잣나무지엽(枝葉)의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 $RWC_{(tlp)}$는 70~77%, 젓나무지엽(枝葉)의 $RWC_{(tlp)}$는 69~85%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4) 최대팽창시(最大膨壓時)의 잣나무지엽세포군(枝葉細胞群)의 탄성계수(彈性係數) $E_{max}$는 2.2~6.3 MPa, 젓나무의 $E_{max}$는 3.1~7.9 MPa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5) 잣나무지엽(枝葉)의 건물중(乾物重)에 대한 osmol 수(數) $N_5/DW$는 0.5~1.3, 젓나무지엽(枝葉)의 경우는 0.3~1.0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6) 잣나무지엽(枝葉)의 총함수량(總含水量)(symplasmic과 apoplastic water의 합계(合計))에 대한 총침투수량(總浸透水量) $V_o/W_s$는 55~65%, 젓나무지엽(枝葉)의 $V_o/W_s$는 40~65%의 계절변화(季節變化)를 나타냈다. 이상(以上)의 ${\pi}_o$, ${\pi}_p$, $E_{max}$, $N_s/DW$, $V_o/W_s$, $RWC_{(tlp)}$값의 특성(特性)을 고찰(考察)할 때 젓나무지엽(枝葉)이 잣나무지엽(枝葉)보다 내건성(耐乾性)이 약간 강한 수종(樹種)임을 알았다.

  • PDF

Allelopathic Effects of Fir Tree (Abies holophylla)

  • Kim, Young-Sik;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5호
    • /
    • pp.307-310
    • /
    • 2004
  • It was found that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selected species were inhibited by phytotoxic substance released from fir trees. The aqueous extracts of leaves caused significant inhibition in the seed germination of the receptor plants, Whereas seed germination of some species was not inhibited in extracts of leaves, but seedling elongation of the receptor plants was also decreased by the aqueous extract. Dry weight growth was slightly increased in lower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while that was proportionally inhibited by higher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Chemical substances of fir trees were shown the biological toxicity. The GC method was employed for analysis of phytotoxic chemicals and sixteen chemical substances were identified such as benzoic, phenylacetic, etc. Also 33 volatile substances were identified from the fir tree. These chemical compounds are assumed the substances related to allelopathic potential of Abies holophylla plant species.

한국산(韓國産) Abies 속(屬)의 내외형태학적(內外形態學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研究) (Studies on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Genus Abies in Korea)

  • 김영두;김삼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68-75
    • /
    • 1983
  • 한국산(韓國産) Abies 속(屬) 4종(種)에 대(對)하여 수종간(樹種間)의 특성(特性)과 분류학적(分類學的) 유연관계(類緣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몇가지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과 침엽(針葉)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구과(毬果) 및 잎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과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등 18개(個) 형질중(形質中) 엽후(葉厚)와 하표피(下表皮)의 세포층수(細胞層數) 등 2개(個) 형질(形質)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고, 14개(個) 형질(形質)은 A. koreana와 A. nephrolepis가 유사(類似)하고 A. holophylla와 A. firma가 유사(類似)하였으며, 2개(個) 형질(形質)은 A. koreana와 A. firma가 유사(類似)하게 나타났고, 특히 침엽(針葉)에 있어서 주수지구(主樹脂溝)의 위치(位置)는 A. koreana와 A. nephrolepis는 엽록부(葉綠部)인 L, LM에 위치(位置)하고, A. holophylla는 L, LM, M에 위치(位置)하고 A. firma는 L를 제외(除外)한 전지역(全地域)에 위치(位置)하나 M에 가장 많이 분포(分布)하고 있었다.

  • PDF

인공 피음처리에 따른 전나무의 생장과 엽록소 함량변화에 관한 연구 (Shading Effects on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of Abies holophylla)

  • 우수영;이동섭;권오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7-102
    • /
    • 1999
  • 전나무(Abies holophylla)의 광도에 따른 생장량과 엽록소함량의 계절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전나무 1-1묘목을 이용하여 광도를 피음막으로 자연광 상태(1800 $\mu$㏖ m$^{-2}$ s$^{-1}$),자연광의 75%광도, 자연광의 50%광도, 자연광의 25%광도의 4가지로 조절하였다. 이들 묘목을 각각 상주대학교 묘포장에 30 cm$\times$30 cm 간격으로 100개체씩 반복하여 식재하여 수고, 근원경 생장, 물질 생산량 및 엽록소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100%자연광을 받은 전나무가 수고, 근원경 생장, 건물질 생산량 모두 가장 좋은 생장을 보였다. 전나무1-1묘목은 오히려 광도가 낮아지면 생장이 저해되는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엽록소 함량(a, b,총 엽록소함량)은 광도가 낮은 실험구에서 가장 좋지 않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광도가 낮아지면 엽록소함량도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나무 묘목의 피음효과에 대한 생장반응은 오랜 기간을 두고 관찰해야 하며 엽록소함량, 묘목의 생장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광합성에 대한 연구도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경기도 가평 지역 조림지 내 전나무(Abies holophylla)의 분포와 천연갱신 (Distribution and Natural Regeneration of Abies holophylla in Plantations in Gapyeong, Gyeonggi-do)

  • 남광현;주광영;최은호;정종빈;박필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341-354
    • /
    • 2021
  • 전나무속(Abies)은 내음성 수종으로 천이 후기 단계 또는 노령림의 주요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경기도 가평 지역은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임분이 산재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현황은 알려진 바가 드물고, 전체 산림의 상당 부분을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와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조림지가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평 지역의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와 주변의 전나무 임분을 조사하여 조림 수종에서 지역 자생수종인 전나무로의 천이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평군 이화리 및 산유리의 전나무가 분포하는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와 주변 전나무 천연 임분에서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전나무 치수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해당 지역의 조림 기록을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에서 전나무의 우점치는 36.1-79.1%로 가장 높았으며, 하층의 전나무 밀도는 ha당 50-5,820본이었다. 전나무의 직경분포를 이용한 비계량 다차원척도법(NMDS) 분석 결과, 전나무 분포 특성에 따라 조사지의 임분은 4개의 유형(AN, AP, AM, P)으로 구분되었다. AN는 전나무의 직경분포가 역 J형을 보이는 전나무 천연림과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AP는 전나무 모수가 임분 내에 존재하는 조림지로 전나무가 상층과 중층에서는 조림목과, 하층에서는 활엽수와 경쟁을 하고 있었다. AM은 전나무 모수가 임분 내 존재하나 산림작업이 이루어져 밀도가 조절된 임분이었다. P는 임분 내 전나무 모수가 없는 조림지이나 인근에 전나무 모수가 있어 하층에 전나무의 갱신이 이루어지는 유형으로 전나무림으로의 수종 전환이 예상된다. 가평 지역 내 종자 공급이 가능한 전나무 모수가 남아있거나 인접한 곳에 전나무림이 위치한 일본잎갈나무와 잣나무 조림지에서 자생수종인 전나무는 천연갱신이 활발하였고 이들 조림지는 점차 전나무림으로 발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천연림 복원이나 복층림 경영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향후 전나무의 입지, 내음성과 생장 특성에 대한 정보와 이를 바탕으로 한 갱신과 관리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Abies holophylla against Respiratory Tract Bacteria

  • Lee, Su-Yeon;kim, Seon-Hong;Park, Mi-Jin;Lee, Sung-Suk;Choi, In-Gyu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5호
    • /
    • pp.533-542
    • /
    • 2014
  • We extracted essential oils from four species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in the family Pinaceae to investigate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respiratory tract bacteria (Klebsiella pneumoniae, Haemophillus influenzae, Streptococcus pyogenes, Streptococcus pneumonia, and Neisseria meningitides). Among the tested oils, that from A. holophylla was showed strong activity based on disc diffusion and broth medium dilution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ssays. Qualitative analysis of A. holophylla oil was carried out by GC-MS;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3-carene, limonene, bornyl acetate, borneol, ${\beta}$-caryophyllene, ${\alpha}$-caryophyllene, caryophyllene oxide, and ${\alpha}$-bisabolol were identified as its major constituents. Fractionation by silica gel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ctive constituents of the crude oil. In particular, one fraction containing caryophyllene oxide as the major constituent showed stronger antibacterial activity than the crude oil of A. holophylla. Growth rates of bacterial strains exposed to fraction D were explored by optical density (OD600) measurements while morphology was examined by optical microscopy observations ( ${\times}1000$). OD600 of K. pneumoniae decreased from 0.2582 to 0.005 in response to treatment with fraction D at a MIC value of $0.31{\mu}{\ell}/m{\ell}$.

전나무 부산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박테리아 활성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Byproducts of Abies holophylla Extract)

  • 성은수;김수경;이진원;최승혁;유지혜;임정대;라종국;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4-140
    • /
    • 2018
  • Background: The extract of Abies holophylla is used as an ingredient in cosmetics. This study assessed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material remaining after the extract is used. Methods and Results: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 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were assessed to determined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determined to measure the antioxidant activit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resudual extract were higher (95.61 - 99.42% and 74.26 - 77.98% in water extract respectively) than those of the positive control. In 50% EtOH extract,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389.84mg{\cdot}GAE/m{\ell}$, and the total flavonoid was $0.15mg{\cdot}QE/m{\ell}$. The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degree fo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was < 8 to < $125{\mu}g/m{\ell}$ compared to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in all extracts. The clear zone against S. aureus was found to be $12.2{\pm}3.8mm$. Conclusions: The A. holophylla byproducts were found to hav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Therefore, the materials remaining after the A. holophylla extract is used in cosmetics has potential functional uses.

韓國의 森林構造에 따른 物質生産力에 관한 分析 - 年齡生長 分析에 의한 森林 樹木의 最高生産力期 및 最適伐採期 推定모델 - (Studies of the Forest Structure and Productivity in Korea -Models of Maximum Productivity and Optimum Cutting Time of the Forests by Annual Ring Growth analyses-)

  • Chang, Nam-Kee;Kim, Heui-Baek;Oh, In-Hye;Chang, Myung-A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3호
    • /
    • pp.191-202
    • /
    • 1990
  • For the maximun yield of the forest trees in the forest management, the growth of annual ring area of the major forest trees was analysed in the four areas in South Korea. The time to the maximum productivity and the optimum cutting time for the maximum yield were estimated. The growth curve of annual ring area showed sigmoid like that of other organisms. Only the growth coefficient among the areas between Fraxinus rhynchophylla and Pinus koraiensis represented significance (5% level). The growth coefficient among forest trees between Pinus densiflora and Abies holophylla, Larix kaempferi and Carpinus laxiflora, Larix kaempferi and Quercus mongolica, Larix kaempferi and Quercus serrat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and Abies holophylla represented significance (5% level). Among eight forest trees, the time to maximum productivity (tm) of Larix kaempferi was the earliest (21.4 year), and Abies holophylla was the latest (91.9 year). The optimum cutting time for the maximum yield (tc) of L. kaempferi was the earliest (29.4 year) and that of A, holophylla was the latest (122.2 year) of all communities. The optimum cutting time for the maximum yield was 1.33 times as late as the time to the maximum productivity. If the growth of annual ring area as the forest tree for wood is regarded, L. kaempferi and P. densiflora are thought to be more economical than A. holophylla and P. koraiensis.

  • PDF

전나무림(林), 잣나무림(林) 유역(流域)에서 산림(山林)의 수질정화기능(水質淨化機能)에 미치는 산림시업(山林施業) 영향(影響)(III) -임외우(林外雨), 수관통과우(樹冠通過雨), 수간류(樹幹流)의 pH와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를 중심(中心)으로- (Influence of Forest Management on the Facility of Cleansing Water Quality in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Watershed(III) -With a Special Reference to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Rainfall, Throughfall and Stemflow-)

  • 정용호;박재현;윤호중;김경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223-231
    • /
    • 2000
  • 이 연구는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 산림시업(山林施業)(간벌 및 가지치기)에 따른 산림(山林)의 수질정화기능(水質淨化機能)을 평가(評價)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996년 3월부터 5월까지 산림시업을 실시한 광릉시험림 31, 33임반내 전나무림과 잣나무림 유역에서 1999년 5월 4일부터 1999년 11월 1일까지 강우(降雨), 임내우(林內雨)(수관통과우(樹冠通過雨), 수간류(樹幹流))의 수질동태(水質動態)를 분석(分析)하였다. 산림시업 후 약 3년 8개윌이 경과된 1999년 11월 현재,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 임목의 평균수고(平均樹高)는 시업구(施業區)가 비시업구(非施業區)보다 모두 약 0.5m 더 높았으며, 평균흉고직경(平均胸高直徑)도 시업구가 비시업구보다 각각 약 3.5, 2.6cm 더 성장하여 전나무림과 잣나무림 모두 시업구가 비시업구보다 좋은 성장상태를 보였다.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의 시업구, 비시업구에서 평균pH는 초기수관통과우와 초기수간류가 모두 총수관통과우와 총수간류보다 낮았으며, 평균전기전도도는 초기수관통과우와 초기수간류가 총수관통과우와 총수간류보다 높았다. 이와 같이 시업구와 비시업구의 pH와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에 대한 산림시업의 영향은 유의성검정결과(有意性檢定結果) 1% 수준(水準)에서 유의(有意)한 결과를 나타내어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 산림시업(山林施業)으로 임내우(林內雨)의 완충효과(緩衝效果)가 증대(增大)되는 것으로 분석(分析)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