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dominal surgery

검색결과 1,346건 처리시간 0.023초

늑골 골수염에 동반된 흉벽 천공성 농흉 1례 (Tuberculous Empyema Necessitatis with Osteomyelitis, a Rare Case in the 21st Century)

  • 김한울;임고운;조혜경;이현주;원태희;박경운;김경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80-84
    • /
    • 2011
  • 흉벽 천공성 농흉(Empyema necessitatis)은 농흉이 흉막 외의 공간으로 확장되어 나간 것을 말한다. 결핵성 흉벽 천공성 농흉은 결핵의 드문 합병증으로서 특히 소아에서는 더욱 드물다. 본 저자들은 결핵에 노출된 병력이 없던 21개월 남자아이에서 7번째 늑골의 골수염에 동반된 결핵성 흉벽천공성 농흉을 경험하여 이에 대해 보고한다. 우리는 환자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조직을 이용한 PCR 및 분자생물학적 검사에서 M. tuberculosis complex를 확인하여 항결핵제를 이용해 합병증 없이 치료하였다.

개흉술이 필요했던 다발성 외상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Patients with Multiple Organ Injuries Who Required Open thoracotomy)

  • 이성광;정성운;김병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8호
    • /
    • pp.804-810
    • /
    • 1998
  • 배경: 다발성 외상환자는 교통사고, 산업재해, 우발적사고, 폭력 등의 증가로 최근 증가 추세에 있다. 다발성 외상은 심장, 폐, 대혈관 등의 흉부외상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흉부외상은 보존적 치료와 흉관 삽관술과 같은 간단한 외과적 시술 만으로 만족할 만한 치료효과를 보이지만 적절한 시기에 개흉술을 시행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경우가 있어 그 적응증 이나 시기의 판단에 있어서 경험있는 흉부외과 의사의 역할이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저자는 다발성 외상 후 흉부개흉술이 필요했던 70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5.6세 남녀비는 3.4:1이었다. 손상의 기전은 주로 교통사고, 추락사고, 자상이었다. 결과: 흉부손상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혈흉이며, 두 번째는 횡격막 파열이었다. 환자의 60%에서 골절을 동반 하고 42.9%에서 복부손상을 37.1%에서 두부손상을 동반하고 있었다. 개흉술을 시행한 이유로는 출혈교정 혹은 지혈이 48.6%, 횡격막손상의 복구가 35.7%였으며, 폐 열상 봉합이 25.7% 였으며, 흉부 손상으로 인한 수술외에도 비장적출술(14.3%), 간엽절제술(8.6%) 간 열상 복구(5.7%)를 시행하였다. 수술후 합병증으로는 무기폐(8.6%), 창상감염(8.6%), 폐렴(4.3%)이었다. 수술후 6명의 환자가 사망하였고 수술사망율은 8.6%였다. 사망의 원인으로는 호흡부전증(2례), 급성 신기능부전증(2례), 패혈증(1례), 저혈량성 쇽(1례)이었다.

  • PDF

대동맥박리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Observation of Aortic Dissection)

  • 장병익;박진호;신동구;김영조;심봉섭;이현우;김수현;한승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334-341
    • /
    • 1992
  • 저자는 1983년 3월부터 1992년 4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하여 대동맥박리로 진단받은 34례를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상을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대상환자 34명중 남자가 22명, 여자가 12명으로 남녀의 비는 1.83 : 1로 남자가 많았으며, 호발연령은 60대, 70대, 50대 순이었다. 2. 원인질환으로는 고혈압 및 대동맥 경화증이 79%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3. 증상은 흉하부 혹은 배복부동통이 가장 많아 73%에서 관찰되었고, 이학적 검사상 복부의 박동성종괴가 type III 환자 22명중 66%를 차지하였다. 4. 심전도 소견상 심허혈소견이 6명, 심부정맥이 5명, 좌심실비대의 소견이 4명이었으며, 정상심전도의 소견을 가진예가 16명이었다. 5. 흉부방사선 소견상 대동맥 윤곽이상이 10명에서 관찰되었고, Type III의 63%에서 정상흉부방사선소견을 보였다. 6. 가장 많이 사용된 진단 방법은 심 혹은 복부 초음파도로 26명에서 시행되었고, 대동맥조영술은 47%에서 시행되었다. 7. 전체대상환자의 평균사망율은 20%였고 수술사망율은 18%이며, 내과적치료의 적용증이 되어 내과적치료를 받은 환자중 사망한 례는 없었다.

  • PDF

The effect of melatonin on cardio fibrosis in juvenile rats with pressure overload and deregulation of HDACs

  • Wu, Yao;Si, Feifei;Luo, Li;Jing, Fengchuan;Jiang, Kunfeng;Zhou, Jiwei;Yi, Qiji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2권6호
    • /
    • pp.607-616
    • /
    • 2018
  • The effect of melatonin on juveniles with cardio fibrosis is poorly understood. We investigated whether HDACs participate in the anti-fibrotic processes regulated by melatonin during hypertrophic remodeling. Abdominal aortic constriction (AAC) was employed in juvenile rats resulting in pressure overload-induced ventricular hypertrophy and melatonin was subsequently decreased via continuous light exposure for 5 weeks after surgery. AAC rats displayed an increased cross-sectional area of myocardial fibers and significantly elevated collagen deposition compared to sham-operated rats, as measured by HE and Masson Trichrome staining. Continuous light exposure following surgery exacerbated the increas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myocardial fibers. The expression of HDAC1, HDAC2, HDAC3, HDAC4 and HDAC6 genes were all significantly enhanced in AAC rats with light exposure relative to the other rats. Moreover, the protein level of $TNF-{\alpha}$ was also upregulated in the AAC light exposure groups when compared with the sham. However, Smad4 protein expression was unchanged in the juveniles' hearts. In contrast, beginning 5 weeks after the operation, the AAC rats were treated with melatonin (10 mg/kg, intraperitoneal injection every evening) or vehicle 4 weeks, and sham rats were given vehicle. The changes in the histological measures of cardio fibrosis and the gene expressions of HDAC1, HDAC2, HDAC3, HDAC4 and HDAC6 were attenuated by melatonin administr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melatonin plays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cardio fibrosis and the expression of HDAC1, HDAC2, HDAC3, HDAC4 and HDAC6 in cardiomyocytes.

Is Target Oriented Surgery Sufficient with Borderline Ovarian Tumors? - Role of Accompanying Pathologies

  • Gungor, Tayfun;Cetinkaya, Nilufer;Yalcin, Hakan;Ozdal, Bulent;Ozgu, Emre;Baser, Eralp;Yilmaz, Nafiye;Caglar, Mete;Zergeroglu, Sema;Erkaya, Sali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6호
    • /
    • pp.6749-6754
    • /
    • 2014
  • Background: There are limited data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concomitant genital or extra-genital organ pathologies in patients with borderline ovarian tumors (BO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ur experience with 183 patients to draw attention to the accompanying organ pathologies with BOT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eighty-three patients with BOTs, diagnosed and/or treated in our center between January of 2000 and March of 2013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Data related to age, tumor histology, lesion side, disease stage, accompanying incidental ipsilateral and/or contralateral ovarian pathologies, treatment approaches, and follow-up periods were investigated. Incidental gynecologic and non-gynecologic concomitant organ pathologies were also recorded. Results: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40.6 years (range: 17-78). Ninety-five patients (51%) were ${\leq}40$ years. A hundred and forty-seven patients (80%) were at stage IA of the disease. The most common type of BOT was serous in histology. Non-invasive tumor implants were diagnosed in 4% and uterine involvement was found 2%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hysterectomies. There were 12 patients with positive peritoneal washings. Only 17 and 84 patients respectively had concomitant ipsilateral and concomitant contralateral incidental ovarian pathologies. The most common type of uterine, appendicular and omental pathologies were chronic cervicitis, lymphoid hyperplasia and chronic inflammatory reaction. Conclusions: According to our findings most of accompanying pathologies for BOT are benign in nature. Nevertheless, there were additional malignant diseases necessitating further therapy.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of all abdominal organs during surgery.

종양색전이 우심실까지 침범한 Wilms 종양 1례 (A Case of Wilms Tumor with Thrombi which Invaded the Right Ventricule)

  • 엄지현;원성철;유철주;양창현;김병수;황의호;박영환;서창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3호
    • /
    • pp.390-394
    • /
    • 2002
  • Wilms 종양은 소아기에 발생하는 고형중양 중 6- 7%를 차지하며 소아에서 신장에 발생하는 고형종양 중 가장 흔한 것으로 진단시 정중연령은 3-5세이고 대부분 10세 이하에서 발견된다. 무증상성 복부종괴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하대정맥을 침범하는 경우는 4-10%에서 발견되며 우심방까지 침범한 경우도 0.5- 3%로 발견되나 우심실까지 침범한 경우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2년 7개월 된 남자 환아로 내원 2개월 전부터의 간헐적 혈뇨 및 복통을 주소로 내원 하였다. 내원 당시 이학적 검사상 심잡음이 청진 되었으며 심한 복부팽만과 늑골하 종괴가 촉지 되었다. 이에 시행한 복부 초음파, 전산화 단층촬영 및 심에코상 우측 신장에서 기시하여 하대정맥을 통해 우심방과 우심실까지 침범한 종괴가 관찰되었다. 수술 전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 받았으며, 항암 화학요법 후 20일째 수술을 하여 모든 종괴를 제거 후 조직학적 소견상 Wilms 종양을 확진 받았다. 환아는 수술후 방사선 치료 및 항암 화학 요법을 진행 중이다. 저자들은 우측 신장에서 기원하여 하대정맥을 통해 우심방 및 우심실까지 종양색전을 형성한 Wilms 종양 환아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계획된 수술전 교육이 수술후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on Postoperative Recovery)

  • 김명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8-46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on post-operative recovery and to observe the effects of an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on the adult surgical patient's ventilatory function ability, the length of hospital stay, the number of analgesics within a 72 hour postoperative period, the length of early ambulation. The research question investigated in this study was: What would be the effects of a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upon the adult surgical patients postoperative recovery? This study was based on a sample of 40 patients who were scheduled for abdominal surgery. They were asssigned alternately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mong 40 subjects, 20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Preoperative ventilation function testing of control and experimental subjects was done the evening before surgery and before the patient received the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A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was given to the subjects in the exporimental group only by writer. Postoperative testing was done the 5th postoperative day. The data were collected over a period of two months, from Aug. 8 to Oct. 31, 1983.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nd test for the hypotheses, the t-test with mean difference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four-hypotheses were as follows: 1.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structured preoperative eaching will have more increase to-cough and deep breathe as measured byhis forced vital capacity(FVC), forced expiratory volume 1 (FEV1), maximal voluntary volume 15 (MVV 15) than control group without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The ventilation function ability was more increase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 the mean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01 level. Hypotheses 1 was supported. 2. Experimental group with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will have more reduce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than control group without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The length of hospital sta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11.90 days and 16.05 days respectively.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5 level. Therefore the hypothese 2 was not supported. 3. Experimental group with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will have more reduce the number of analgesics within a 72 hour postoperative period than control group. The number of analgesics within a 72 hour' postoperative period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1.65 times and 2.4 times. The differenc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at .05 level. Therefore, the hypotheses 3 was not supported. 4. Experimental group with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will have more reduce the length of early ambulation than control group without structured preoperative teaching. The length of early ambulatio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2.2 days and 3.5 days respectively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ficant at 0.05 level. Thus the hypothess 4 was supported.

  • PDF

2005~2006년 전국 위점막하종양 설문조사 결과 보고 (2005~2006 Nationwide Gastric Submucosal Tumor Report in Korea)

  • 대한위암학회 정보전산위원회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2호
    • /
    • pp.104-109
    • /
    • 2008
  • 목적: 국내 위 점막하 종양의 임상병리학적 양상과 치료방법에 대해 파악하고자 전국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국내 47개 병원에서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위 점막하 종양으로 수술 받은 환자 87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진단명, 증상, 위치, 수술법, 사망률, 종양의 크기, 악성도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위 점막하 종양의 수술 후 진단으로는 위장관 간질 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이 586명(66.8%)으로 가장 많았고, 평활근종(Leiomyoma) 97명(11.1%), 신경초종(schwannoma) 70명(8.0%), 이소성 췌장(Ectopic pancreas) 68명(7.8%), 유암종(carcinoid) 16명(1.8%) 순이었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56.0세, 남녀 비는 1:1.18이었으며, 50.9%의 환자가 증상 없이 발견되었다. 위 상부 1/3에 위치한 위 점막하 종양이 가장 흔했으며(n=449, 52.0%), GIST의 55.4% (n=319), 평활근종의 84.5% (n=82)가 위 상부 1/3에 위치하였다. 복강경적 접근이 전체 환자의 44.2% (n=388)에서 시행되었으며, 수술방법으로는 쐐기 절제술(n=726, 82.8%)이 가장 빈번히 시행되었다. 전체 환자 중 1명(0.1%)만이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GIST 환자 중 115명(21.1%, 115/544)이 고위험도의 악성도를 가졌고, 41명(8.3%, 45/495)에서 수술 후 imatinib mesylate 항암 치료를 하였다. 결론: 조사된 국내 점막하 종양의 약 2/3가 GIST였으며, 약 1/2에서 복강경하 절제술이 이루어졌다. 향후 이 보고가 위점막하 종양의 진료 및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Postnatal Management of Antenatally Diagnosed Patent Urachus with Bladder Prolapse

  • Choi, Hyun-Shin;Kim, Hae-Eun;Kim, Eun-Sun;Oh, Soo-Young;Chang, Yun-Sil;Seo, Jeong-Meen;Park, Won-Soon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262-264
    • /
    • 2010
  • 요막관은 총 배설관에서 유래된 구조물로서, 태생기에 방광의 첨부와 제대 사이를 연결해주는 관이며, 임신 8-9개월에 완전히 막히게 되어 출생시에는 정중제인대로 남게된다. 드물게 요막관이 출생 후에도 요막관 게실, 요막관 낭종, 개방성 요막관 등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중 가장 심한 형태가 개방성 요막관으로 이를 통해 방광이 탈출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아는 재태연령 41주, 출생체중 3,110 g, 아프가점수 1분 1점, 5분 7점, 정상 질식 분만되었으며, 산모는 35세로 임신 기간 중 약물 복용이나 다른 병력은 없었다. 재태연령 20주 2일에 시행한 산전 초음파상 낭성의 요막관 잔여물이 발견되었으며, 태아 자기공명영상에서 방광과 연결되는 낭종이 관찰되었다. 재태연령 40주 4일에는 고형종물 양상으로 관찰되어 초기의 낭종 형태에서 변화된 양상을 보였다. 출생 후 진찰 소견상, 제대 하방에 점막으로 둘러싸인 $3{\times}4cm$의 종물이 있었으며 요도로 삽입한 도관이 종물의 개구부를 통해 나오는 것이 확인되어 종물이 요도와 연결된 천공된 상태의 방광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생후 1일에 시행한 복부 초음파상 수신증이나 다른 요로기형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생후 2일째 방광 복원술 및 요막관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생후 9일째 시행한 배설성 방광 요로 조영술에서 방광 요로 역류는 없었고, 방광 기능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후 10일째, 정상적인 배뇨를 보여 퇴원하였고 이후 특별한 문제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저자들은 재태연령 20주 2일에 산전 초음파에서 요막관 잔여물로 추정되었던 낭종이 출생 후 요막관을 통한 방광 탈줄증으로 확진된 후 합병증 없이 수술적으로 완치되어 국내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당뇨병 백서의 복부 대동맥 운동성에 대한 Vit C 의 보호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Ascorbic Acid on the Vascular Motiliti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

  • 김영진;양기민;조대윤;손동섭;이무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7호
    • /
    • pp.515-523
    • /
    • 2001
  • 배경: 당뇨병 환자에서 사망률과 이환률의 원인은 70%이상 혈관계의 합병증에 기인한다. 이러한 합병증은 혈관 내피세포 이완 작용 이상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oxygen free radical의 직접적인 독성으로 추정되어 본 연구는 당뇨를 유발시킨 백서 복부 대동맥 운동성에 대한 Vit C의 보호효과를 연구 목적으로 한다. 대상 및 방법: 백서 60마리를 실험군(n=33)과 대조군(n=27)으로 나누고 실험 군은 streptozotocin을 투여하여 당뇨를 유발시켰다. 각각 실험 군과 대조군을 ascorbic acid를 투여한 군과 투여하지 않은 군으로 세분한 후 ascorbic acid투여 직후, 6주, 9주, 12주후의 복부 대동맥 혈관근육의 운동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조군의 경우 6주째 복부 대동맥 절편에서 acetylcholine투여 후 정상적인 이완반응이 나타났으나 실험군의 경우 현저히 저하됨이 관찰되었다. 9, 12주 째 절편에서는 실험군 중 ascorbic acid투여군에서 acetylcholine에 의한 이완반응이 거의 대조군에서의 결과와 일치할 정도로 회복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당뇨병을 유발한 백서에서 내피세포 의존적인 장애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장애는 ascorbic acid의 투여로 회복됨을 알 수 있었으며 그 효과는 항산화 작용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되므로 ascorbic acid가 당뇨환자의 혈관성 질환에 대해 보호적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