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TP and related compound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1초

죽염 자리젓의 품질 특성 및 정미성분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aste Compounds of Fermented Fish, Jari-Jeot with Bamboo Salt)

  • 박성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66-673
    • /
    • 2012
  • 젓갈은 전통적인 수산 발효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나 높은 염 함량을 보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근래에 문제시 되고 있는 염을 대체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일반 염 대신 죽염을 첨가한 자리젓을 제조하고, 그 이화학적 성분 및 미생물수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리젓 숙성 후 저장기간 동안의 생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죽염을 사용한 자리젓 시료가 일반염 사용 시료에 비하여 미생물 수가 적은 결과로부터 미생물의 생육은 일반염과 비교하여 죽염에 의해 더욱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저장기간 중의 pH의 변화는 일반염이나 죽염을 사용한 경우 모두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차계로 측정한 L, a 그리고 b값은 저장기간 중 일반염, 죽염 공히 지속적으로 큰 변화 없이 진행되었으며, 일반염과 죽염을 사용한 자리젓의 염도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 중 큰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자리젓의 염 종류와 염도의 차이에 따른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염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수분의 함량이 높아졌으며, 또한 죽염 25% 첨가구를 제외하고는 죽염을 사용한 시료의 경우가 수분함량이 약간 적었다. 핵산관련물질의 정량실험에 있어서는 일반염, 죽염 공히 다른 ATP분해 산물과 비교하여 hypoxanthine의 축적이 숙성기간 중에 더욱 진행되었다. 일반염과 죽염 첨가 자리젓의 유리아미노산 분석을 수행한 결과, lysine, glutamic acid, proline, alanine, leucine, isoleucine, arginine 및 histidine이 많아 총 유리아미노산의 69~74%를 차지하였으나 taurine은 극미량 검출되었다.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6-MP (6-mercaptopurine) in Liver

  • Kim Hyung-Lae;Kim Han-Na;Lee Eun-Ju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4권1호
    • /
    • pp.16-22
    • /
    • 2006
  • The KFDA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has performed a collaborative toxicogenomics project since 2003. Its aim is to construct a toxicology database of 12 compounds administered to mice at initial phase. We chose 6-MP (6-mercaptopurine) which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leukemia. It was administered at low (0.224 mg/kg) and at high (2.24 mg/kg) dose (5 mice per group) intraperitonealy to the postnatal 6 weeks mice, then the serum and liver were collected at the indicated time (6, 24 and 72 h) after scarification. Serum biochemical markers for liver toxicity were measured and histopathologic studies also were carried out. The gene expression profiling was carried out by using Applied Biosystems 1700 Full Genome Expression Mouse. By self-organization maps (SOM), we identified groups with unique gene expression patterns, some of them are supposed to be related to 6-MP induced toxicity, including lipid metabolism abnormality, inflammatory response, oxidative stress, ATP depletion and cell death. The potential toxic effects appearing as gene expression changes are dependent of the time of 6-MP but independent of the dosage of i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database as well as national one about hepatotoxicity.

멕시코산 황소눈복어 (Sphoeroides annulatus)의 독성 및 정미성분 (Toxicity and Taste Components of the Pufferfish, Sphoeroides annulayus (bull's eye puffer), from Mexico)

  • 김경삼;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5-78
    • /
    • 2000
  • 수산물 수입이 전면 개방됨에 따라 앞으로 외국으로부터의 수산물 수입이 급증할 것으로 여겨지는 시기에 외국산 복어 가운데 멕시코산 황소눈복어에 대한 독성 및 정미성분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mouse assay법에 의하여 독성을 조사하였고, 아울러 정미성분인 ATP관련물질과 유리아미노산도 분석하였다. 생식선은 약한 독성 (무독 내지 $25{\mu}/g$)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외의 부위 및 가식부인 근육 및 껍질의 독성검사 결과는 모두 $10{\mu}/g$이하로서 무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핵산관련물질 가운데 IMP 및 ADP가 $5.61{\mu}mol/g$$2.7{\mu}mol/g$으로 많았고, 전체 ATP 관련물질의 $41.4{\%}$를 차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모두 19종이 검출되었으며, 총량은 1,648.2mg/100g이었다. 유리아미노산 중 함량이 많은 아미노산은 L-glycine, L-alanine, L-anserine, L-threonine 및 L-valine으로 각각 233.5 mg/100 g, 169.0 mg/100 g, 149.1 mg/100 g, 135.7mg/100 g 및 132.3 mg/100g이었고, 또한 이들 아미노산의 전체 유리아미노산에 대한 중량 비율은 각각 $14.28{\%},\;10.33{\%],\;9.12{\%},\;8.30{\%}$$8.09{\%}$로서 이들 5종류의 아미노산이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50.12{\%}$를 차지하였다. 또한 taurine의 경우는 119.3mg/100 g, L-histidine의 경우는 14,7mg/100 g이었다.

  • PDF

전통 명태식해 숙성중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aste Compound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 차용준;김소정;김은정;김훈;조우진;유미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15-1521
    • /
    • 2004
  • 명태식해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고증 및 자문을 통하여 전통적 방법으로 명태식해를 제조한 다음 숙성온도를 $5^{\circ}C$, $20^{\circ}C$, 변온(10일간 $20^{\circ}C$에 숙성후 $5^{\circ}C$에서 저장) 구간으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및 정미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태식해의 일반성분은 숙성중 큰 변화가 없었고, 전당은 5.63~13.41% 범위로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많이 감소하였다. pH는 $5^{\circ}C$에서 저장한 식해를 제외하고 숙성기간에 따라 감소하여 3.8~4.4 범위를 유지한 반면에 총산, 아미노질소 및 VBN함량은 숙성기간과 함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의 증가폭이 컸고 변온의 경우는 이러한 함량의 증가를 억제시켰다. 불휘발성유기산은 lactic, citric, malic acid의 순으로 식해의 신맛에 영향을 미쳤다. 유리아미노산(taste value로 환산한 경우)에서는 단맛과 감칠맛과 관련이 있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lysine과 쓴맛을 내는 valine, methionine 등이 숙성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hypoxanthine이 핵산관련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엑스분질소(Ex-N)의 함량은 숙성기간중 277~581 mg% 범위였으며, Ex-N의 1/2이상을 아미노질소가 차지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총 creatinine-N, TMAO-N 및 TMAN순이었다.

양식산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 함질소 엑스성분의 연령차 (Age Variation in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the Cultured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Muscle)

  • 박춘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9-79
    • /
    • 1992
  • 양식산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의 함질소 엑스성분에 대한 연령차를 검토하기 위하여 양식기간이 서로다른 2년생과 3년생 시료를 1989년 2월과 4월에 남해안의 충무근해와 1989 년 4월에 동해안의 포항근해에서 각각 채취하여 근육의 엑스분질소 (EN), 유리아미노산 (FAA), 결합아미노산 (CAA), 핵산관련물질 (NRC), 4급암모늄염기, 구아니시노화합물 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EN 함량에서 보면 남해안의 겨울과 봄철시료는 연령차가 적었으나, 동해안의 봄철시료에서는 큰차를 보여 지역에 따라 서로다른 결과였다. FAA는 2년생과 3년생에서 모두 taurine, 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이 주성분으로, 남해안의 겨울과 봄철 시료에서는 연령차가 적었으나 동해안에서는 봄철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FAA중 함량이 가장 높았던 taurine은 지역이나 계절에 관계없이 연령차가 현저하여 모든 시료에서 2년생 보다 3년생이 높았다. NRC에서는 2년생과 3년생 모두 ATP, ADP, AMP, IMP, Ino 및 Hyp이 검출되었고, 그 중 ATP, ADP, AMP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NRC의 연령차는 EN, FAA에서와 같은 경향으로서 지역에 따른 차이가 현저하였다. Betaine함량은 계절변동이 심하여 겨울 시료에서는 연령차가 켰으나 봄철에는 양 해안에서 모두 큰 차이가 없어서, EN, FAA, NRC에서와는 서로다는 결과를 보였다. 일반성분 조성은 동해안에서 2년생이 3년생보다 수분함량은 높은 반면, 단백질과 glycogen 함량은 훨씬 낮았다. 이와같이 동해안의 2년생과 3년생 시료에서 각 성분의 함량간에 특히 큰차이를 나타낸 것은 양식기간의 상이에 따른 연령차 라기 보다는 지역에 따른 성장차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63{\%}$를 나타내었다. 수온 $17^{\circ}C$이하에서는 후기 유생의 성장은 중지되었으며 적정 수온 범위내에서는 공식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보였다. 후기 유생기와 치하기의 정상 성장 염분 범위는 $0{\~}11.24{\%_{\circ}Cl.$이었으며 이때의 생존율은 $32{\~}35{\%}$를 나타내었다. 후기 유생기의 최적 염분 농도는 $0\~2.21\%_{\circ}Cl.$였으며 담수에서는 성장이 양호하였으나 순 해수에서는 폐사하였다. 4. Zoea 유생의 먹이 공급 효과 : Zoea 유생기에 먹이로 알테미아의 노플리우스 유생, 노플리우스 유생의 클로렐라에 혼합하여 공급한 것, 윤충류, 인공 플랑크톤을 수조 내에서 먹인 경우 생존과 후기 유생기로의 변태가 진행되었으나 가장 좋은 것은 Artemia nauplius 유생을 Chlorella sp.와 혼합한 물에서 사육하였을 경우였고 이 때의 변태율은 $68{\~}75{\%}$를 보였다. 소 간의 분말, 계란 분말, Chlorella sp.만을 먹인 것은 폐사하였다. 5. 후기 유생과 치하 및 성체의 먹이 : 후기 유생기의 먹이는 Artemia nauplius 유생이나 물벼룩 등 수중갑각류를 공급할 수 있고, 치하기나 성체에는 이들 외에 조개 살이나 어육, 다모환충류, 곡류, 펠렛 사료 등과 사람이 이용할 수 없는 가축의 내장이나 과일 등을 먹는다. 6. 후기 유생과 치하 및 성체의 성장 : 최적 조건 하에서 후기 유생은 매 $5\~6$일마다 변태하였고 치하기까지 2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이때의 체장은 1.78 m, 체중은 0.17 g을 나타내었다. 치하의 성장은 4개월 정도에 체장 3.52 cm,

  • PDF

Effects of high-pressure processing on taste-related ATP breakdown compounds and aroma volatiles in grass-fed beef during vacuum aging

  • Utama, Dicky Tri;Lee, Seung Gyu;Baek, Ki Ho;Jang, Aera;Pak, Jae In;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336-1344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observe whether high-pressure processing (HPP) affected aroma development and the degradation rate of umami taste-related ATP breakdown products, specifically inosinic acid in grass-fed beef during vacuum aging. Methods: Strip loin (longissimus lumborum) cuts obtained from six grass-fed Friesian Holstein steers (32 months old) on day 4 post slaughter were vacuum-packed and subjected to pressurization at 300 and 500 MPa for 180 s at $15^{\circ}C{\pm}2^{\circ}C$. The samples were then stored for 4 weeks at $5^{\circ}C{\pm}0.5^{\circ}C$ under vacuum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0.1 MPa). Results: HPP increased the shear force value, promoted moisture loss and lipid oxidation, induced surface paleness, stabilized pH during aging, and reduced bacterial load and growth. The shear force value of 500 MPa-treated samples remained higher than the control after aging,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and 300 MPa-treated samples. Degradation of inosinic acid and inosine occurred during pressurizatio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hypoxanthine content. However, the degradation rate in HPP-treated samples during aging was slower; therefore, inosinic acid and inosine content remained higher than in control sampl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hypoxanthine content at the end of aging. HPP intensified the levels of hexanal, octanal, 2-methylbutanal, 3-methylbutanal, benzaldehyde, and 2,5-dimethylpyrazine in cooked-aged beef samples. Conclusion: HPP induced aroma development and delayed the degradation of inosinic acid. However, it also reduced the postmortem tenderization rate.

전어 내장(內臟)젓 의 맛성분(成分) (The Taste Compounds in Fermented Entrails of Clupanodon Osdeckii)

  • 정승용;김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3-32
    • /
    • 1980
  • 젓갈은 전통(傳統)있는 수산발효식품(水産醱酵食品)으로서 옛부터 즐겨 먹어온 우리나라 고유(固有)의 기호식품(嗜好食品)으로 널리 애용(愛用)되고 있으나 이들에 관(關)한 상세(詳細)한 연구(硏究)는 많지 않다. 본(本) 연구(硏究)는 전어내장(內臟)젓의 맛성분(成分)을 밝히기 위해 전어내장(內臟)젓 숙성(熟成)중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betaine, TMAO 및 TMA의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하였다. 전어내장(內臟)젓 숙성(熟成)중 ATP, ADP, AMP 및 IMP는 감소(減少)하고 반면 hypoxanthine은 증가(增加)하여 숙성(熟成) 50일(日) 후에는 7.2u mole/g으로서 원료(原料)에 비(比)하여 2배(倍)나 증가(增加)하였다. 원료(原料)의 유리(遊離)아미노산조성(酸組成)을 보면 함량(含量)이 많은 것은 lysine, glutamic acid, valine, alanine, serine이며 함량(含量)이 적은 것은 arginine, phenyl-alanine, tyrosine이었고 cysteine 및 proline은 흔적량(痕迹量)에 불과(不過)하였다. 젓갈 숙성(熟成) 중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양적(量的)인 변화(變化)는 있었으나 조성(組成)에는 변화(變化)가 없었고 대부분(大部分) 원료(原料)에 많았던 lysine, valine, glutamic acid, serine methionine, 등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이 젓갈중에도 함량(含量)이 많았으며 엑스분질소(分窒素)에 대한 유리(遊離)아미노산질소(酸窒素)의 비율(比率)은 50일간(日間) 숙성(熟成)시킨 젓갈이 가장 높았다. betaine은 젓갈의 숙성(熟成)과 더불어 계속해서 증가(增加)하여 숙성(熟成) 50일(日) 후에는 14.5mg%로서 원료(原料)에 비(比)하여 약(約) 4.5배(倍) 증가(增加)하였다. TMAO는 성숙(成熟) 50일(日) 후에 17.1mg%, TMA는 56.0mg%였다. 전어내장(內臟)젓의 맛성분(成分)으로서는 함량(含量)이 많은 lysine, valine, glutamic acid, leucine, methionine, serine, alanine, arginine 등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과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로서는 hypoxanthine 등이 식염(食鹽)의 짠맛과 조합(組合)되어 전어내장(內臟)젓의 맛에 중요(重要)한 구실을 할 것이라고 추정(推定)된다.

  • PDF

담수어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6. 메기의 정미성분 (Taste Compounds of Fresh-Water Fishes 6. Taste Compounds of Korean Catfish Meat)

  • 양승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2-210
    • /
    • 1983
  • 우리 나라 중요 담수어의 정미성분을 밝힐 목적으로 전보에 이어 메기배육중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유기염기, 당류, 유기산 및 무기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분석치를 기초로 하여 표준 시약을 가지고 합성엑스분을 조제하여 천연엑스분과 맛을 비교하였으며, omission test를 실시하여 각 성분들이 맛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glycine이 가장 맞아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25\%$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alanine, lysine, taurine등이 많았다. 핵산관련물질은 IMP 함량이 98.9mg/100g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성분은 비교적 함량이 적었다. 유기염기는 creatinine이 351.7mg/100g으로서 가장 많았고 betaine은 18.0mg/100g이었으며 TMA 및 TMAO는 1.4mg/100g 이하로서 극미량이었다. 유기산의 경우는 숙신산, 브티르산, 프로피온산 등이 함량이 많았고 옥살산, 푸마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및 시트르산은 흔적량에 불과하였다. 당류의 함량은 포도당이 5.1mg/100g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ribose, arabinose, fructose및 inositol은 약 1mg/100g으로서 미량이었다. 무기염류의 함량은 $K^+$$PO_{4}^{3-}$이 각각 210.0mg/100g, 305.8mg/100g으로서 월등히 많았고 다른 무기염류는 38.0mg/100g이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로 본 매기의 주된 정미성분은 serine, alanine, IMP, 숙신산 및 $PO_{4}^{3-}$였다.

  • PDF

담수어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7. 천연산 뱀장어의 정미성분 (Taste Compounds of Fresh-Water Fishes 7. Taste Compounds of Wild Eel Meat)

  • 양승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3-39
    • /
    • 1984
  • 우리 나라 중요 담수어의 정미성분을 밝힐 목적으로 전보에 이어서 천연산 뱀장어배육중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유기염기, 유기산, 당류 및 무기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분석치를 기초로 하여 표준시약을 가지고 합성엑스분을 조제하여 천연엑스분과 맛을 비교하였으며, omission test를 실시하여 각성분들이 맛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lysine 함량이 가장 많아 42.4mg/100g으로서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25\%$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glycine, arginine, alanine, histidine 및 proline 둥이 함량이 많았다. 핵산관련물질은 IMP함량이 78.7 mg/100 g으로서 월등히 많았으며, 그 외의 성분은 비교적 함량이 적었다. 유기염기에서는 creatinine이 252.5mg/100g으로서 가장 많았고, betaine은 23.9mg/100g이었으며, TMA 및 TMAO는 1mg/100g미만으로 극미량이었다. 유기산의 경우는 부티르산, 발레르산, 숙신산 및 프로피온산의 함량이 많았고 옥살산, 푸마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및 시트르산은 흔적량에 불과하였다. 당류의 함량은 포도당과 inositol이 $1{\sim}2$mg/100g이고 그 외 ribose, arabinose, fructose는 흔적량으로 나타났다. 무기염류의 함량을 보면 $K^+$$PO_{4}^{3-}$이 각각 170.0mg/100g, 278.6mg/100g으로서 월등히 많았고, $Na^+$$Cl^-$의 함량은 모두 31.0mg/100g으로 함량이 적었으며 $Ca^{2+}$$Mg^{2+}$은 4.0mg/100g이하로 그 함량이 아주 적었다. 관능검사 결과, 중요한 맛성분으로는 glycine, serine, glutamic acid, IMP, $Na^+,\;K^+,\;Cl^-$$PO_{4}^{3-}$이었으며, lysine, alanine, isoleucine, aspartic acid 및 creatinine 등이 맛의 조화에 기여하고 있었다.

  • PDF

시판 수산조미건제품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Commercial Marine Seasoned-dried Products and Seasoned-dried and Roasted Products)

  • 박춘규;박정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70-379
    • /
    • 2002
  • 수산 조미건제품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일반꽃포류 4종과 구운꽃포류 5종을 구입하여 맛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결합아미노산, ATP관련화합물, 4급암모늄염기, guanidino화합물 등을 분석하였다. 일반꽃포류의 엑스분질소 함량은 $688{\sim}\;1,124mg/100g$(평균 900 mg)이었으며, 구운꽃포류에서는 $756{\sim}1,099\;mg/100g$(평균 897 mg)이었다. 일반꽃포류에서 유리아미노산은 $22{\sim}27$종이 분석되었으며, 그 총량은 $2,992{\sim}4,034\;mg$평균 3,739)이었고, 함량이 많은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taurine, arginine, proline, alanine, glycine, histidine 등이었다. 구운꽃포류에서는 $19{\sim}24$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그 총량은 $2,678{\sim}5,196\;mg/100g$(평균 3,933 mg)이었고,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taurine, proline, alanine, histidine, arginine, lysine 등으로 나타났다. 결합아미노산 총량은 일반 꽃포류와 구운꽃포류에서 각각 $662{\sim}2,248\;mg$$1,146{\sim}1,821\;mg/100g$으로서 $20.2{\sim}55.7%$(평균 34.5%)와 $22.1{\sim}68.0%$(평균 42.5%) 수준이었다. ATP관련화합물 총량은 일반 꽃포류와 구운꽃포류에서 각각 $3.69{\sim}7.37\;{\mu}mol/g$(평균 $5.23\;{\mu}mol/g$)과 $2.17{\sim}8.45\;{\mu}mol/g$(평균 $4.51\;{\mu}mol/g$) 범위였다. Betain류로서는 일반꽃포류 모든 제품에서 homarine이 검출되었고, 일부 제품에서 glycinebeatine과 trigonelline이 확인되었으나 미량이었다. 구운꽃포류 일부 제품에서 glycinebeatine, ${\beta}-alaninebetaine$, ${\gamma}-butyrobetaine$, homarine, trigoneline이 확인되었으나 미량이었다. TMAO는 일반꽃포류와 구운꽃포류에서 각각 $1{\sim}364\;mg/100g$$1{\sim}144\;mg$이었으며, TMA는 각각 $11{\sim}47\;mg$$7{\sim}56\;mg$으로서 제품에 따른 차이가 많았다. Creatine 함량은 일반꽃포류와 구운꽃포류에서 각각 $4{\sim}43\;mg$$18{\sim}74\;mg$이었다. t-검정 결과 일반꽃포류와 구운꽃포류 함량간에는 수분, glutamic acid, creatinine 등에서 유의차가 있었으나, 그 이외에 대부분의 성분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