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F2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9초

2,3,5,4'-Tetrahydroxystilbene-2-O-β-D-Glucoside modulat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injury under oxidative stress

  • Guo, Yan;Fan, Wenxue;Cao, Shuyu;Xie, Yuefeng;Hong, Jiancong;Zhou, Huifen;Wan, Haitong;Jin, B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4권6호
    • /
    • pp.473-479
    • /
    • 2020
  • Endothelial cell injury is a major contributor to cardiovascular diseases. The 2,3,5,4'-Tetrahydroxystilbene-2-O-β-D-Glucoside (TSG) contributes to alleviate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injury through mechanisms still know a littl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TSG effects on gene expression (mRNA and microRNA) related to oxidative stress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duced by H2O2 in HUVECs. We found that TSG significantly reduced the death rate of cells and increased intracellular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t qRT-PCR, experimental data showed that TSG significantly counteracted the expressions of miR-9-5p, miR-16, miR-21, miR-29b, miR-145-5p, and miR-204-5p. Besides, TSG prevented the expression of ATF6 and CHOP increasing. In contrast, TSG promoted the expression of E2F1. In conclusion, our results point to the obvious protective effect of TSG on HUVECs injury induced by H2O2, and the mechanism may through miR16/ATF6/ E2F1 signaling pathway.

Multi-Harmonic Matching Network을 이용한 동시-이중 대역 Class-E 전력 증폭기 (Concurrent Dual-Band Class-E Power Amplifier Using a Multi-Harmonic Matching Network)

  • 박승원;전상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401-41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1.3 GHz와 2.1 GHz에서 소형화된 multi-harmonic matching network(MHMN)을 사용한 고효율 동시-이중대역 Class-E 전력 증폭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구조는 스위치 혹은 집중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transmission line만을 이용하여 1.3 GHz과 2.1 GHz 그리고 각각의 2차 및 3차 고조파의 임피던스를 조절하였다. 능동 소자로는 Avago ATF-50189 GaAs p-HEMT가 사용되었다. 제작된 전력증폭기는 입력 전력이 21 dBm일 때 1.3 GHz와 2.1 GHz에서 각각 27.1 dBm, 25.7 dBm의 출력과, 6.1 dB, 4.7 dB의 전력 이득, 그리고 71.2 %, 60.1 %의 드레인 효율 특성을 나타내었다.

Emodin exerts protective effect against palmitic acid-induce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HepG2 cells

  • Thomas, Shalom Sara;Park, Sora;Cha, Youn-Soo;Kim, Kyung-Ah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2호
    • /
    • pp.176-184
    • /
    • 2019
  • Purpose: Protein overloading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leads to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which exacerbates various disease conditions. Emodin, an anthraquinone compound, is known to have several health benefits. The effect of emodin against palmitic acid (PA) - induced ER stress in HepG2 cells was investigated. Methods: HepG2 cells were treat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palmitic acid to determine the working concentration that induced ER stress. ER stress associated genes such as ATF4, XBP1s, CHOP and GRP78 were checked using RT- PCR.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unfolded protein response (UPR) associated proteins such as $IRE1{\alpha}$, $eIF2{\alpha}$ and CHOP were checked using immunoblotting to confirm the induction of ER stress. The effect of emodin on ER stress was analyzed by treating HepG2 cells with $750{\mu}M$ palmitic acid and varying concentrations of emodin, then analyzing the expression of UPR associated genes. Results: It was evident from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results that palmitic aci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UPR associated genes and thereby induced ER stress. Subsequent treatment with emodin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ATF4, GRP78, and XBP1s. Furthermore, the protein levels of $p-IRE1{\alpha}$, $p-eIF2{\alpha}$ and CHOP were also reduced by the treatment of emodin. Analysis of sirtuin mRNA expression showed that emodin increased the levels of SIRT4 and SIRT7, indicating a possible role in decreasing the expression of UPR-related genes. Conclusion: Al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emodin could exert a protective effect against fatty acid-induced ER stress and could be an agent for the management of various ER stress related diseases.

비만에 의해 유도된 근형질세망 스트레스에서 유산소 운동에 의한 감소효과 (Aerobic Exercise Ameliorated High Fat Diet-induce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More Than Polyphenol Supplementation in Skeletal Muscle of Obese Mice)

  • 박종구;김용안;박희근;이왕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1186-1192
    • /
    • 2018
  • 비만에 의한 근형질세망 스트레스(Endoplasmic stress, ER stress) 발생은 비접힙 단백질의 축적으로 근육내 대사와 근기능 저하를 초래한다. 유산소 운동과 폴리페놀은 비만에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ER stress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졌다. 그러나 신체활동과 약물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ER stress 변인들의 변화에 선택적인 반응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 운동과 폴리페놀섭취에 따른 골격근내 ER stress 관련 변인에 우선적인 효과가 있는지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1) 정상식이 그룹, (2) 60% 고지방식이 그룹, (3) 고지방식와 레스베라트롤 25 mg/kg 그룹, (4) 고지방식이와 크리신 50 mg/kg 투여 그룹, (5) 고지방식이와 운동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레스베라트롤과 크리신 그룹은 16주간 경구 투여 하였고, 운동 그룹은 1일 40-60분간 10-14 m/min의 속도로 주 4일, 총 16주간 트레드밀 운동을 수행하였다. 운동그룹에서 $IRE1{\alpha}$, BIP/GRP78는 고지방 식이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아졌다(p<0.05). 고지방식이와 레스베라트롤 투여 그룹에서 ATF6, $IRE1{\alpha}$, BIP/GRP78는 고지방식이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아졌다(p<0.05). 고지방식이와 크리신 투여 그룹은 고지방식이 그룹과 비교하여 ATF6가 유의하게 낮아졌다(p<0.05). 이러한 결과는 유산소 운동과 레스베라트롤, 크리신 섭취에 의해 ER stress 관련 변인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유산소 운동은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되는 ER stress 개선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항결합 회로와 직렬 피드백 기법을 이용한 저잡음 증폭기의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the Low Noise Amplifier Using Resistive Decoupling circuit and Series feedback Method)

  • 유치환;전중성;황재현;김하근;김동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90-19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휴대용 단말기 수신 주파수인 2.13 - 2.16 GHz 대역의 저잡음 중폭기(LNA ; Low Noise Amplifier)를 직렬 피드백과 저항결합 회로룰 이용하여 설계.구현하였다. 소스 리드에에 부가된 직렬 피드백은 중폭기의 저잡음 특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입력 반사계수를 작게 하고, 또한 대역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사용된 저항 결합회로는 저주파 영역의 신호를 정합 회로내의 저항을 통해 소모시킴으로써 저잡음 중폭기의 설계시 입력단 정함에 용이하였다. 저잡음 중폭기의 설계.제작에서 저잡음 증폭단에는 HP사의 GaAs FET인 ATF-10136을, 이득 증폭단에는 Mini-Circuit사의 내부 정합된 MMIC인 VNA-25를 사용하였다. 전원회로는 자기 바이어스(Self-bias) 회로를 사용하였고, 유전율 3.5인 테프론 기판 상에 장착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저잡음 증폭기는 대역 내에서 30 dB 이상의 이득과 0.7 dB 이하의 잡음지수, $P_{ldB}$ 17 dB 이상, 그리고 입.출력 정재파비가 1.5 이하인 특성을 나타내었다.다.

  • PDF

직렬 피드백 기법을 이용한 저잡음 증폭기의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the Low Noise Amplifier Using a Series Feedback Method)

  • 김동일;유치환;전중성;정세모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3-6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IMT-2000 수신주파수인 2.13~2.16 GHz 대역에서 초고주파용 수신장치로 사용되는 저잡음증폭기를 ㅈㄱ렬 피드백 기법과 저항결합회로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GaAs 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소스단에 부가한 직렬 피드백은 저잡음증폭기의 저잡음특성과 입력반사계수가 작아졌으며, 또 저잡음증폭기의 안정도도 개선되었다. 저항결합회로는 반사되는 전력이 정합 회로내의 저항에서 소모되므로 입력단정합이 용이하였다. 저잡음증폭기의 저잡음증폭단은 GaAs FET인 ATF-10136, 고득증폭단은 내부정합된 MMIC인 VNA-25를 사용하였으며, 알루미늄 기구물 안에 유전율 3.5인테프론 기판에 초고주파회로와 자기바이어스 회로를 함께 장착시켰다. 이렇게 제작된 저잡음증폭기는 30 dB이상의 이득, 0.7dB 이하의 잡음지수, 17 dB의 Pldb, 1.5 이하의 입출력 정재파비를 얻었다.

  • PDF

ER stress and unfolded protein response (UPR) signaling modulate GLP-1 receptor signaling in the pancreatic islets

  • Yurong Gao;Hanguk Ryu;Hyejin Lee;Young-Joon Kim;Ji-Hye Lee;Jaemin Lee
    • Molecules and Cells
    • /
    • 제47권1호
    • /
    • pp.100004.1-100004.11
    • /
    • 2024
  • Insulin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normoglycemia and is predominantly secreted in response to glucose stimulation by β-cells. Incretin hormones, such as glucagon-like peptide-1 (GLP-1) and 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 also stimulate insulin secretion. However, as obesity and type 2 diabetes worsen, 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 loses its insulinotropic efficacy, whereas GLP-1 receptor (GLP-1R) agonists continue to be effective owing to its signaling switch from Gs to Gq. Herein, we demonstrated that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induced a transition from Gs to Gq in GLP-1R signaling in mouse islets. Intriguingly, chemical chaperones known to alleviate ER stress, such as 4-PBA and TUDCA, enforced GLP-1R's Gq utilization rather than reversing GLP-1R's signaling switch induced by ER stress or obese and diabetic conditions. In addition, the activation of X-box binding protein 1 (XBP1) or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6 (ATF6), 2 key ER stress-associated signaling (unfolded protein response) factors, promoted Gs utilization in GLP-1R signaling, whereas Gq employment by ER stress was unaffected by XBP1 or ATF6 activation. Our study revealed that ER stress and its associated signaling events alter GLP-1R's signaling, which can be used in type 2 diabetes treatment.

SART용 X-밴드 전력증폭기의 설계와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X-band Power Amplifier for SART)

  • 김철수;김미숙;최병하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34
    • /
    • 1999
  • In this paper, an X-band power amplifier using GaAs FET was designed and fabricated, which is to be used as SART transmitter sweeping at the frequency range of 9.2 GHz~9.5 GHz. The amplifier is consist of two stages using ATF-46101 FET of Hewllett-Packard. Finally, the amplifier using microstrip line matching solution shows that MAG is 23 dB at the center frequency of 9.35 GHz.

  • PDF

Enhancing the Solubility of Recombinant Akt1 in Escherichia coli with an Artificial Transcription Factor Library

  • Park Kyung-Soon;Lee Ho-Rim;Kim Ji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299-302
    • /
    • 2006
  • A combinatorial library of artificial transcription factors (ATFs) was introduced into the bacterial cells that expressed the Akt1-GFP fusion protein. By measuring the level of fluorescence generated by the transformed E. coli cells, we were able to obtain clones in which ATFs increased the solubility of the Akt1. Our results show that ATF library is a useful tool for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selected recombinant proteins in E. coli.

브로콜리 유래 sulforaphane에 의한 NAG-1과 p21 유전자의 발현 조절 (Up-Regulation of NAG-1 and p21 Genes by Sulforaphane)

  • 정병걸;김순영;이건주;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60-36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세포주 모델에서 브로콜리 유래 sulforaphane에 의한 항 성장 활성과 항암 단백질 NAG-1과 p21의 발현 및 발현 조절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그 결과, 처리한 sulforaphane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세포사멸이 증가되었고, 세포 생존율은 감소하였다. 또한, sulforaphane에 의한 항암 단백질 NAG-1과 p21의 발현증가를 농도별, 시간대별로 확인한 결과, 두 단백질 모두 sulforaphane 농도와 처리시간 의존적으로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Sulforaphane에 의한 NAG-1과 p21의 발현의 p53 의존성을 연구한 결과, p21의 발현은 p53에 의존적 이지만 NAG-1의 발현은 p53에 비 의존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sulforaphane이 dietary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로서 NAG-1의 발현을 증가시킬 가능성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생각된다. 전사조절인자인 ATF3의 발현을 sulforaphane을 시간대 별로 처리한 후 확인한 결과, 2시간째부터 발현이 증가되어 NAG-1의 발현 보다 먼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sulforaphane의 항암 기능을 이해하는 새로운 기전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