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P cach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6초

도메인 네임 스푸핑 공격과 그 대응책 (ARP spoofing attack and its countermeasures)

  • 홍성혁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47-53
    • /
    • 2014
  • DNS스푸핑은 DNS서버를 통해 특정 웹서버의 주소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이를 가로채서 공격자가 원하는 위조된 웹서버로 접근하게 하는 방법이다. ARP 스푸핑은 ARP 프로토콜의 요청과 응답메시지에 대한 인증을 하지않고 잘못된 정보가 와도 ARP Cache Table에 그대로 저장하는 취약점을 이용해 자신의 MAC주소를 다른 컴퓨터의 MAC주소인 것처럼 속이는 기법이다. 이러한 DNS/ARP 스푸핑 공격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고 이를 예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Local Area Network상의 ARP Redirect attack 대응 모델에 관한 연구 (Study Response Model against ARP Redirect attack on Local Area Network)

  • 이선중;김정문;예홍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2237-2240
    • /
    • 2003
  • 하나의 물리 망 위에 있는 두 시스템은 상대방의 물리 주소를 알고 있어야만 통신을 할 수 있고. 물리 주소는 통신비용 절감을 위해 ARP를 사용하는 HOST의 ARP cache에 Internet-to-Ethernet Mapping형태로 저장한다. 이러한 ARP cache 구조는 Modification의 많은 취약성을 가진다. 그 중 취약성을 이용한 공격 중 하나인 ARP Redirect Attack은 물리 망 위의 Target Host 패킷이 공격자의 시스템을 통해 게이트웨이까지 가도록 한다. 본 논문은 게이트웨이 및 일반 HOST 시스템으로 구성된 Local Area Network 기반 구조를 내부 공격자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내부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를 안전하게 게이트웨이까지 보내기 위한 대응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RP Modification for Prevention of IP Spoofing

  • Kang, Jung-Ha;Lee, Yang Sun;Kim, Jae Young;Kim, Eun-Gi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2권3호
    • /
    • pp.154-160
    • /
    • 2014
  • Th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provides dynamic mapping between two different forms of addresses: the 32-bit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of the network layer and the 48-bit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 of the data link layer. A host computer finds the MAC address of the default gateway or the other hosts on the same subnet by using ARP and can then send IP packets. However, ARP can be used for network attacks, which are one of the most prevalent types of network attacks today. In this study, a new ARP algorithm that can prevent IP spoofing attacks is proposed. The proposed ARP algorithm is a broadcast ARP reply and an ARP notification. The broadcast ARP reply was used for checking whether the ARP information was forged. The broadcast ARP notification was used for preventing a normal host's ARP table from being poisoned. The proposed algorithm is backward compatible with the current ARP protocol and dynamically prevents any ARP spoofing attacks. In this study, the proposed ARP algorithm was implemented on the Linux operating system; here, we present the test results with respect to the prevention of ARP spoofing attacks.

A Study on Intrusion Detection of ARP Poisoning Attack on Wireless LAN

  • Ham Young Hwan;Lee Sok Joon;Chung Byung Ho;Chung Kyoll;Chung Jin Wook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540-543
    • /
    • 2004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cache poisoning is a MAC layer attack that can only be carried out when an attacker is connected to the same local network as the target machines. ARP is not a new problem, but wireless network introduces a new attack point and more vulnerable to the attack. The attack on wireless network cannot be detected by current detection tool installed on wired network. In order to detect the ARP poisoning attack, there must be a ARP poisoning detection tool for wireless LAN environment. This paper proposes linux-based ARP poisoning detection system equipped with wireless LAN card and Host AP device driver

  • PDF

Tokenless OTP를 활용한 인증 모델 (The Authentication Model which Utilized Tokenless OTP)

  • 김기환;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5-214
    • /
    • 2006
  •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의 업무를 위하여 인터넷을 통한 원격 접속이 필요하고, 입력되는 ID와 패스워드에 대한 기밀성 무결성의 네트워크 보안을 위하여 OTP를 적용하고 있다. 현재의 OTP는 Token이라는 하드웨어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보안에서도 취약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OTP 네트워크에 스니핑 도구를 설치하고, Cain을 이용하여 ARP Cache poisoning 공격을 시행하여 사용자 암호에 대하여 스니핑으로 취약점을 확인한다. 새로운 보안 방안으로 Tokenless OTP를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하고,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고자 한다. 외부에서 원격 접속 시 Tokenless OTP를 활용하여 접근제어를 위한 테스트를 하고, 접속에서 인증시스템과 연동하여 접속제어를 할 수 있었다. 만약 인증과정에서 해킹을 당해도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핀 번호 없이는 접속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 Tokenless OTP를 적용할 시에 패스워드의 유출 및 오용과 해킹에 대한 방어가 되어 보안성을 강화하고, 안전성을 높이는 보안 시스템으로 평가되었다.

  • PDF

Tokenless OTP를 활용한 인증 모델 (The Authentication Model which Utilized Tokenless OTP)

  • 김기환;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07-116
    • /
    • 2007
  •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에서 업무를 위하여 인터넷을 통한 원격 접속을 할 때, 정보보안을 위해 입력되는 ID와 패스워드에 대한 기밀성, 무결성의 네트워크 보안을 위하여 OTP를 적용하고 있다. 현재의 OTP는 Token이라는 하드웨어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보안에서도 취약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OTP 네트워크에 스니핑 도구를 설치하고, Cain을 이용하여 ARP Cache poisoning 공격을 시행하여 사용자 암호에 대하여 스니핑으로 취약점을 확인한다. 새로운 보안 방안으로 Tokenless OTP를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하고,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고자 한다. 외부에서 원격 접속 시 Tokenless OTP를 활용하여 접근제어를 위한 테스트를 하고, 접속에서 인증시스템과 연동하여 접속제어를 할 수 있었다. 만약 인증과정에서 해킹을 당해도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핀 번호 없이는 접속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 Tokenless OTP를 적용할 시에 패스워드의 유출 및 오용과 해킹에 대한 방어가 되어 보안성을 강화하고, 안전성을 높이는 보안 시스템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