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TT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8초

한국산 지렁이[Lumbricus rubellus]에서 분리한 Lumbrokinase의 약리학적 특성 (Pharmaceu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umbricus rubellus Lumbrokinase)

  • 조일환;이철규;임헌길;이형환
    • KSBB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274-283
    • /
    • 2004
  • 한국산 지렁이 (Lumbricus rubellus) 분쇄액으로부터 연속적인 column chromatography로 6종의 lumbrokinase (LK) fractions를 얻었다. 여섯 종의 LK fractions의 분자량은 24.6∼33.1 kDa 사이였다. rat venous thrombosis를 이용한 실험모델에서, LK분획을 oral administration한 쥐에서 thrombus 중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APTT, PT와 plasmin 활성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AI activity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rat platelets를 LK 분획으로 전 처리하였을 때에 thrombin에 의한 응고는 억제되었고, MDA 생산도 감소되었다. 쥐의 흉 대동맥과 장간막동맥을 phenylephrine으로 수축을 시킨 후에 LK 분획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에 혈관이 이완되었다. 상기의 결과는 LK분획이 fibrinolytic activity 뿐만 아니라 platelet 응집의 억제와 혈관의 이완작용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LK는 fibrin clot치료를 위한 hemolytic agent로서 유용하다고 판단한다. 2-아릴프로피온산 계열의 키랄 의약품의 효소적 dynamic kinetic resolution (DKR) 공정에서 라세미화 염기촉매로 트리옥틸아민이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반응매질에 녹은 상태로 작용해 회수 및 재사용이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고자 라세미화 반응을 위한 고효율 고체 염기를 탐색해 보았다. 45$^{\circ}C$, 아이소옥탄 내에서 (S)-나프록센 2,2,2-트리플로로에틸 씨오에스터를 기질로 무기 염기류, 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류, resin-bound 염기류 등을 시험한 결과, 약 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인 DIAION WA30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DIAION WA30의 2차 interconversion constant (k*$_{int}$)는 8.6${\times}$$10^{-4}$ m $M^{-l}$ $h^{-1}$이며 동일한 실험조건 하에서 수행한 트리옥틸아민 (k*$_{int}$ =2.5${\times}$$10^{-4}$ m $M^{-1}$ $h^{-1}$)에 비해 약 3배가 높았다. 효소 활성에 필수적인 물의 양에 따른 DIAION WA30의 라세미화 효율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그 효율은 감소하였다. DIAION WA30을 라세미화 촉매로 사용하여 아이소옥탄 내에서 라세믹 나프록센 2,2,2-트리플로로에틸 씨오에스터의 효소적 DKR 반응을 수행해 보았다. 그 결과 DIAION WA3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반응 전환율과 생성물의 광학 순도는 급격히 향상되었다. 전통적 광학분할 반응의 최대 50%라는 전환율의 제한이 본 연구에서 찾은 DIAION WA30을 첨가함으로써 성공적으로 극복되었다. 또한 고체 염기촉매인 DIAION WA30의 사용은 라세미화 촉매의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하게 해준다.해준다.

APTT에서 경계치에 속한 정상 성인의 혈액응고인자 활성도 분석 (Analysis of Coagulation Factor Activity of Normal Adults with APTT Limit Range)

  • 권의훈;구본경;방성환;김희진;조영국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37-242
    • /
    • 2015
  • aPTT 참고치의 정상범위 내에서 하한 측 10% (29.1~30.9 sec)와 상한 측 10% (38.0~41.9 sec)에 포함된 정상성인의 혈액응고인자 활성도를 분석하여 하한 측과 상한 측간에 혈액응고인자의 종류와 각각의 활성도가 성별, 연령 및 ABO 혈액형 등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별에 따른 혈액응고인자들의 활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하한 측에서 IX (p=0.0088)만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으며, 상한 측에서 IX (p<0.0001)와 X (p=0.0013)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연령군간 혈액응고인자들의 활성도 차이 검정은 하한 측에서 VIII (p<0.0001), IX (p=0.0050)는 60세 이상이 60세 미만보다 높았으며, XII (p=0.0285)는 60세 이상보다 60세 미만이 높았다. 상한 측에서 V (p=0.0219), VIII (p=0.0005), IX (p=0.0014)는 60세 이상이 60세 미만보다 높았다. O형과 non-O형의 혈액형 구분에 의한 혈액응고인자들의 활성도 차이는 VIII (p<0.001)은 양쪽 그룹에서 non-O형이 O형보다 높았으며, XII (p=0.016)는 상한 측에서 non-O형이 O형보다 낮았다.

옥발에서 항응고물질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coagulant from Corn Silk)

  • 최상규;최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62-1267
    • /
    • 2004
  • 한약재의 재료로 사용되는 옥발에서 항응고물질(anticoagulant)을 추출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항응고물질의 분자량은 135 kDa으로 측정되었고 옥발로부터 정제된 항응고물질의 회수율은 11%이고, 24배 농축되었다. 옥발의 항응고물질은 열에 안정하고 비특이적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처리 후에도 활성을 유지하였으나, periodate 산화 처리시 현저하게 활성이 소실되어 항응고물질의 성분은 당류인 것으로 추정된다. 옥발의 항응고물질을 thin layer chromatography(TLC)와 Bio-LC로 구성당을 분석한 결과 galactose, glucose, mannose, glucosamine, galactosamine, fucose로 구성되어있고, IR을 통하여 확인된 OH, N-H bond가 확인되어 항응고물질이 중성당과 아미노당으로 구성된 것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옥발의 항응고물질은 thrombin time(TT)에 가장 민감하고, TT에서 항응고 활성을 2배, 3배 지연시키는 농도는 60 nM와 88 nM이었다. Prothrombin time(PT)에도 민감하였지만, snake venom activity와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의 clotting activity에는 상대적으로 별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옥발의 항응고물질을 정제된 fibrinogen을 이용하여 thrombin과의 반응 시 fibrinoge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응고 저해 정도가 감소하여 thrombin에 대해fibrinogen과 결합자리를 경쟁하고, 이 때 Ki 값은 23 nM이다.

우렁쉥이 껍질 중 황산화다당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in Ascidian(Halocynthia roretzs) Tunic)

  • 이강호;최병대;홍병일;정병천;육지희;정우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47-451
    • /
    • 1998
  •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의 껍질에서 최근 다양한 생리적 기능이 알려진 황산화다당를 분리하여 화학성 분과 조성 당을 분석하였으며 , 기능성을 살펴보았다. 황산화다당의 황산기함량은 $2.3\%$, 황산콘드로이틴은 $25.7\%$, 그리고 uronic acid의 함량은 $5.6\%$였다. 조성당 분석결과, 5탄당으로는 arabinose $0.7\%$와 xylose가 $0.4\%$였고, 6탄당으로는 glucose가 $1.5\%$였으나. 특이하게 galactose의 함량이 $60\%$이상 검출되었다. 한편, hexosamine으로는 N-acety1gucosamine이 $9.4\%$ 및 N-acetylgalactosarnine이 $14.8\%$ 검출되었으며, uronic acid로는 D-glucuronic acid가 $10.8\%$ 검출되었다. 지방흡수력은 대조구인 chitin과 chitosan에 비하여 다소 떨어졌으며, 추출한 황산화다당의 지방흡수력은 대략 $280\%$ 정도였다. 한편 포말성 및 포말안정성은 각각 0.70 과 0.50으로 비교적 우수하였다. 유화능 및 유화안정성은 $49.2\%$$48.3\%$ 정도였으며, 황산화다당의 항혈액응고능은 APTT가 65초로 저지효과가 인정되었으나, PT저지효과는 없었다. ACE저해능의 측정 결과. 약간의 ACE저해효과가 있었으며, 채택된 실험방법에 따라 동일시료의 경우에 있어서도 저해효과 값이 차이가 있었다.

  • PDF

카라기난의 유기산 가수분해물의 기능 특성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Carrageenan Hydrolysates by Organic Acids)

  • 주동식;조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62-268
    • /
    • 2007
  • 유기산으로 분해된 카라기난 가수분해물의 각종 생리활성을 실험한 결과, citrate와 malate를 가수분해 매체로 이용할 경우, $100^{\circ}C,\;110^{\circ}C$$120^{\circ}C$ 가수분해물은 B. cereus와 B. subtilis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20^{\circ}C$에서 180분간 가수분해한 것이 B. subtilis에 대해 특별히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충치균인 St.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는 $100^{\circ}C$$120^{\circ}C$에서 처리된 시료 중에서 citrate와 malate 처리구가 97% 이상의 높은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itrate로 $100^{\circ}C$에서 90분 처리된 시료의 경우 97.1%, 180분 처리된 것은 99.4%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고, $120^{\circ}C$에서 90분 처리된 시료의 경우 98.2%의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alate 처리구도 처리온도와 처리시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citrate 처리구와 비슷한 결과로 $98{\sim}99.5%$의 높은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당질 농도에 따라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환원당 및 전당의 농도에 비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혈액응고활성은 유기산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0.3% malate 용액으로 $80^{\circ}C$에서 180분간 처리 시료의 경우 APTT가 $2,451{\pm}18(sec)$로 항혈액응고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동일한 조건에서 얻어진 0.3% citrate 가수분해물이 $1,617{\pm}15(sec)$였으며 lactate, succinate, acetate 가수분해물 순으로 높았다.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분자량이 적어지고 결국은 황산기 함량도 낮아지게 됨으로써 항혈액응고활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여겨졌다.

우렁쉥이 껍질성분 및 색소를 이용한 양식소재 개발 -3. 우렁쉥이 껍질 유래 황산다당의 기능적 특성- (Utilization of Pigments and Tunic Components of Ascidian as an Improved Feed Aids for Aquaculture -3. Function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 홍병일;정병천;손병일;정우진;육지희;최병대;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71-675
    • /
    • 2002
  • 우렁쉥이 껍질에서 추출한 autoclave 추출구와 neutrase 추출구는 지방흡수력의 경우 대조시료인 chitin과 chitsan에 비해 떨어지는 대략 250$\~$$300\%$ 정도이었으나, 포말성은 각각 0.70과 0.67로, 포말안정성은 0.50과 0.38로 우수하였다 Autoclave 추출구 및 neutrase 추출구의 유화능은 각각 $49.2\%$$47.1\%$, 유화안정성의 경우 각각 $48.3\%$$44.8\%$ 정도였으며 특히, 색소흡착능은 각각 $85.2\%$$85.6\%$로 대조시료에 비해 다소 우수하였다 항혈액응고능은 모든 시료에서 hPn 저 지효과는 나타났으나 PT값은 약 14.5초로 일정하여 혈액응고저지 효과가 거의 없었다. 특히 autoclave 처리구를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하여 얻은 F4 (획분4)는 APTT가 75초로 가장 효과적 이 었으며, Sephadex G-100의 $F_2$가 70초 정도였다. ACE저해능은 모든 시료에서 ACE 저해효과가 있었으며, 채택된 실험방법에 따라 동일시료 경우에 있어서도 저해효과 값이 차이가 났으며, 특히 DEAE-cellulose 이온교환 처리한 $ F_4$ (획분4)가 $35.7\%$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청각 산추출물에서 정제한 함황다당류의 항응고활성 (Anticoagulant Activity of Sulfated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odium fragile)

  • 박미경;권미향;조홍연;양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40-146
    • /
    • 1999
  • 청각(1.2 kg)을 0.8% 염산 수용액(24 l)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메탄올 환류, 에탄올 침전 및 투석하여 활성이 약 2배 증가된 조다당(CF-1)으로부터 2종의 항응고활성 다당류를 정제하였다. 정제는 CF-1의 DEAE-Toyopearl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와 Sephadex G-75, Sephadex G-100, Sepharose CL-6B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 HPLC 등을 이용하였다. 최종 정제 다당류획분인 CF-1-VIa-1과 CF-1-VIIa-1는 분자량이 각각 80,000과 40,000 Da 이었으며, 주구성당으로서 arabinose와 galactose가 약 2:1의 몰비율로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었고, 구성당 잔기에 $12{\sim}13%$의 유황을 함유하는 함황성 다당류들이었다. CF-1-VIa-1와 CF-1-VIIa-1의 항응고활성을 $2.5\;{\mu}g/mL$의 농도에서 비교하였을 때 APTT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262초, 250초이었고 TT활성은 각각 130초, 70초이었으며, 분자량이 큰 CF-1-VIa-1이 다소 높은 항응고활성을 보였다. CF-1-VIa-1와 CF-1-VIIa-1의 desulfation과 sulfation을 통한 항응고활성을 비교한 결과 desulfation시 항응고활성이 각각 약 80%와 50%로 감소하였으나 sulfation시에는 약 30%와 20%로 그 활성이 증가하였다. 두 다당류는 헤파린과 달리 농도 의존적으로 불용성 피브린의 형성을 억제하므로써 antithrombin III 비의존적 트롬빈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칼슘이온의 킬레이트에 의한 혈액응고 저해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 PDF

Stimulation of an Esterase Activity of Thrombin by Dequalinium and Its Relationship with Blood Coagulation

  • Paik, Seung-R.;Kim, Do-Hyung;Chang, Chung-Soon
    • BMB Reports
    • /
    • 제29권3호
    • /
    • pp.225-229
    • /
    • 1996
  • Effects on thrombin by an amphipathic cation, dequalinium,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n anticarcinoma agent were investigated with small chromogenic substrates such as Na-benzoyl-DL-argininep-nitroanilide (BApNA), H-D-phenylalanyl-L-pipecoyl-L-arginine-p-nitroanilide (S-2238), and Na-p-tosyl-L-arginine methyl ester (TAME). Among them, only TAME hydrolysis due to an esterase activity of the enzyme was significantly activated to 81% at 20 ${\mu}M$ dequalinium in the absence of NaCl. This stimulation became even higher in the presence of 0.2 M NaCl to 3.5-fold at 60 ${\mu}M$ dequalinium. This specific activation of thrombin was well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in vitro coagulation tests measuring th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nd the prothrombin time (PT) It is pertinent. therefore, to suggest that the esterase activity should be examined in addition to the effects on 5-2238 hydrolysis when especially any regulators not directed to an active site of thrombin need to be studied. We also expect that dequalinium could be a useful tool for studying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 of thrombin and blood coagulation.

  • PDF

거제 맹종죽엽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혈전 활성 (Antioxidant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hyllostachys pubescence Leaf Produced in Geoje)

  • 조은아;김소영;나인호;김동청;인만진;채희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70-173
    • /
    • 2010
  • Antioxidant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of water extract and 70% ethanol extract of Phyllostachys pubescence leaf (PPL) produced in Geoje were investigate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PPL-water extract and PPL-70%, EtOH extract were measured as $80.6{\pm}3.2$ and $71.3{\pm}2.7$ mg/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PL-water extract and PPL-70% EtOH extract were 50% and 90%, respectively. The anticoagulant activity, in intrinsic pathway of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cy. This results showed that PPL-water extract and PPL-70% EtOH extract have high antioxidant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Bacillus subtillis K-54가 생산하는 Fibrinolytic enzyme의 혈전생성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from Bacillus subtilis K-54 on the thrombosis and stress in vivo.)

  • 이홍석;이철수;유천권;서원상;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2-58
    • /
    • 2000
  • The effect of fivrinolytic enzyme produced from Bacillus subtilis K-54 on the thrombosis and stress in vivo was investigated. Each partially purified fibrinolytic enzyme of 4 protein casein unit was administered orally for 3 days before intravenously injection with collagen and epinephrine. In the mic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enzyme and increased life span of mice was observ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control. The result suggest that the enzyme may prevent the formation of thrombos in vivo. Administration of the enzyme did not influence to stress itself because 5-hydroxyindoleacetatic acid concentration of brain in the mice group with stress did not decreas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enzyme. The value of lipid peroxide (LPO) of the liver and brain cells in the group treted with the enzyme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However, protein degradation (PDP valu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In addition, the value of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protrombin time (PT0 and antiplasmin in blood were higher in the stress group than that of the enzyme treated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