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

검색결과 2,415건 처리시간 0.026초

모듈 방식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앱 개발 시스템 (Android App Development System Using Modular Method)

  • 박주연;박성모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01-612
    • /
    • 2014
  • As the more people use smart phones, the interest in the apps gets the higher. Studies such as App Inventor, app generation methods using templates provide app development process with app development methods by substituting programming work. However, the realm of producible apps is limited and there are a lot of set up operations and input informations. Also, there is lack of support for smart phone sensors that are in a high demand of utilization. This paper proposed an android app development method for resolving existing problems, and implemented an accompanying app development tool. When the proposed app development method derived through combination of function modules and sensor modules is used, it's possible to produce apps with minimal user inputs, and to use sensors easily. Also, because it is simple to identify overall flow of app execution, and functions addible to the app are provided for users by units of module, it is possible to develop apps quickly.

특성 유사도 기반 앱 추천 (App Recommendation Based on Characteristic Similarity)

  • 김형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59-565
    • /
    • 2012
  • 정보통신의 발달로 스마트폰은 대중화를 이루었으며, 스마트폰의 대중화는 앱스토어라는 새로운 영역을 생성하였다.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응용소프트웨어인 앱은 앱스토어를 통해 편리하게 거래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빠른 성장을 이루었다. 앱스토어에서 거래되는 앱들의 수량이 방대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앱을 정확히 추출하기란 매우 어렵다. 앱스토어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앱 추천 방식은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어에 따라 앱을 추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내용 기반 방식은 디지털 형태로 이루어진 앱을 추천할 때는 효과적인 기법이 아니다. 앱 추천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특성 유사도 기반 앱 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앱의 장르, 기능성, 다운로드 수 등을 이용하여 앱에 대한 속성을 생성한 후, 사용자의 앱 사용에 대한 성향과 비교하여 앱을 추천하는 방식을 따른다. 다양한 실험에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이 기본적인 앱 추출 기법보다 평균 33%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Social App Manufacturing 환경의 앱 개발 프로젝트에서 위험영향도 측정 모델 (A Measuring Model of Risk Impact on The App Development Project in The Social App Manufacturing Environment)

  • 백정희;임영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9호
    • /
    • pp.335-340
    • /
    • 2014
  • Crowd Sourcing 기반의 Social App Manufacturing 환경에서는 소규모 앱 개발 프로젝트를 익명의 가상팀에 의해 시공간의 제약이 없이 수행하며 이를 위해 앱 개발 관리를 위한 자동화된 방법을 필요로 한다. Social App Manufacturing의 특징인 익명성을 갖는 가상팀은 프로젝트 진행 상황에 대한 가시성의 저하와 프로젝트 완료 여부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핵심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Social App Manufacturing 환경하의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하나로 개발 지연이 프로젝트에 주는 위험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위험영향도 측정 모델을 제안한다. 제시한 측정 모델은 작업일정 지연에 따른 위험 영향 유형과 위험영향도 특성함수를 정의하고 진행 성과에 따른 프로젝트 위험영향도 측정식을 제안한다. Social App Manufacturing 환경에서 수행하는 프로젝트 관리에 이 모델을 활용하여 진행 상황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하고 일정 지연으로 실패 위험이 발생하는 프로젝트를 식별하고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폰 의료 앱 사용자 체험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중국 의료 앱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impact factors of smartphone medical APP user experience - centered on Chinese medical APP)

  • 장주어;장청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25-133
    • /
    • 2021
  • 체험의 시대를 맞아 사용자 체험은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사용자 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 의료 앱의 사용자 체험에서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며 이러한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함으로써 의료 앱을 개발 시 우선시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제의를 하며 의료 엡 디자인의 최적화 및 서비스 품질 개선에 참고로 체공하고자 한다. 우선 사용자 체험 이론, 스마트폰 앱의 사용자 체험과 모바일 의료 앱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의료 앱 사용자 체험 요인을 정리한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앱 다운로드 경험이 많고 의료 앱을 사용하는 20~40대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며 18가지 영향요인에 대하여 점수를 매긴다. 마지막으로 개발자가 새로운 앱을 개발할 경우 제품자원, 의료 광고 추천, 의사와 환자의 상호 작용성, 정서적 재미 유발, 응용 프로그램 학습 용이성 등의 영향요인이 사용자가 앱을 사용한 경우 좋은 체험을 얻게 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국내 호소에서 autotrophic picoplankton의 밀도 및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에 대한 기여도 (Abundance of Autotrophic Picoplankton and Their Contribution to Phytoplankton Biomass in Korean Lakes)

  • 김범철;전만식;허우명;김호섭;최연규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141-152
    • /
    • 2001
  • 1999년 여름동안 동해안의 7개 석호와, 내륙의 5개 인공호를 대상으로 autotrophic picoplankton (APP)의풍부도와 총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석호에서는 부영양화가 심한 호수에서 주로 나타나는 phycocyanin-rich APP가 우점한 반면 인공호에서는 주로 phycoerythrin-rich APP가 우점하였다. 동해안 석호에서 APP의 세포밀도와 생물량은 각각 $3.6{\times}10^3{\sim} 5.0{\times}10^6\;cells/ml$$1.0{\sim}1,385.0\;{\mu}gC/L$의 범위를 나타냈고 인공호에서는 각각 $3.8{\times}10^4{\sim}3.6{\times}10^5\;cells/ml$$15.3{\sim}128.2\;{\mu}gC/L$의 범위로 동해안석호에서 더 높은 APP의 풍부도를 나타냈다. 특히 경포호에서는 3회조사 모두 $10^6\;cells/ml$이상의 높은 세포밀도를 보였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보고된 가장 높은 밀도 수준이다. 소양호에서 APP의 수직분포를 조사한 결과 수온약층에서 최대 세포밀도를 나타냈는데 이는 APP가 낮은 광도에서도 성장이 가능하며 심층의 높은 영양염류를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APP세포밀도는TN/TP비와 음의 상관관계,TP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APP의 풍부도가 호수의 부영양화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에 대한 APP의 기여도는 $0.1{\sim}85.0%$로 호수간의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식물플랑크톤 연구에서 소외되어져 왔던 APP가 호수 생태계의 일차생산자로써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3-Tier App개발 교육시스템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3-Tier App Development Training System)

  • 장영현;오상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265-27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시대적 요구에 적합하도록, 개발인력의 수급이 어려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시스템을 중심으로 3-Tier App개발 교육환경을 제안하였다. 3-Tier App개발 교육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은 대학과 기업의 소프트웨어 개발환경을 동일하게 구성하고 구현하는데 있다. 3-Tier App 개발 교육시스템에 대한 실습실환경은 3대의 컴퓨터와 3명이 학생을 그룹으로 하여 실습을 수행하며 개발용 컴퓨터, Gateway 서버, 데이터베이스서버와 레거시 기간계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학생은 개발용 컴퓨터와 구현 디바이스 담당, Gateway 서버시스템 담당과 데이터베이스서버와 레거시 기간계 시스템 담당자로 역할을 부여한다. IT전공 대학 3학년, 64명을 학생을 대상으로 3계층 시스템의 실습을 통하여 기업 ?춤형 인재양성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스템 성능에 대한 10개 세부항목 비교 결과, 단독시스템 대비 3계층 시스템의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Direct Involvement of G Protein $\alpha_{q/11}$ Subunit in Regulation of Muscarinic Receptor-Mediated sAPP$\alpha$ Release

  • Kim Jin Hyoung;Kim Hwa-Ju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11호
    • /
    • pp.1275-1281
    • /
    • 2005
  • The $G_{q/11}$ protein-coupled receptors, such as muscarinic (M1 & M3) receptors, have been shown to regulate the release of a soluble amyloid precursor protein (sAPP$\alpha$) produced from $\alpha$-secretase processing. However, there is no direct evidence for the precise characteristics of G proteins, and the signaling mechanism for the regulation of $G_{q/11}$ protein-coupled receptor mediated sAPP$\alpha$ release is not clearly understoo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muscarinic receptor-mediated release of sAPP$\alpha$ is directly regulated by $G\alpha_{q/11}$ proteins. The HEK293 cells were transiently cotransfected with muscarinic M3 receptors and a dominant-negative minigene construct of the G protein $\alpha$ subunit. The sAPP$\alpha$ release in the media was measured using an antibody specific for sAPP. The sAPP$\alpha$ release enhancement induced by muscarinic receptor stimulation was decreased by a $G_{q/11}$ minigene construct, whereas it was not blocked by a control minigene construct (the G$\alpha$ carboxy peptide in random order, G$\alpha_{q}$R) or $G\alpha_{j}$ constructs. This indicated a direct role of the $G\alpha_{q/11}$ protein in the regulation of muscarinic M3 receptor-mediated sAPP$\alpha$ release.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transactivation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by a muscarinic agonist could regulate the sAPP$\alpha$ release in SH-SY5Y cells. Pretreatment of a specific EGFR kinase inhibitor, tyrophostin AG1478 (250 nM), blocked the EGF-stimulated sAPP$\alpha$ release, but did not block the oxoM­stimulated sAPP$\alpha$ release. This demonstrated that the transactivation of the EGFR by muscarinic receptor activation was not involved in the muscarinic receptor-mediated sAPP$\alpha$ release.

재난안전망 앱 보안 체계 구축 (Establishment of a public safety network app security system)

  • 백남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375-1380
    • /
    • 2021
  • 우리나라는 재난안전통신망 개통 초기로 응용서비스 앱에 대한 보안 대응은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기에, 이에 대한 선제적 보안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통신망에서 앱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와 전용 단말에서 앱이 동작되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대한 잠재적 취약점을 사전 예방하고자 '재난안전망 앱 보안 체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응용서비스 앱이 재난안전통신망 모바일 앱스토어에 등재하고자 하기 위해서는, 우선 악성 및 정상 앱에 대한 데이터 셋을 구축하여 피쳐를 추출하고 가장 효과적인 AI 모델을 선정하여 정적 및 동적 분석을 수행한다. 분석 결과에 따라 악성 앱이 아닌 경우에 대해서 '안전 앱 인증서'를 인증하여 공인 앱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궁극적으로 재난안전통신망 앱의 보안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인증된 앱의 재난안전 응용 서비스 지원으로 재난상황에 대한 통신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Super app marketplace 전략을 위한 소비자 유형화 - 쇼핑 성향을 중심으로 - (The classification of super app consumer for marketplace strategy - Focusing on the shopping orientations -)

  • 김해정;이영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3호
    • /
    • pp.330-345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consumers using super app functional characteristics to identify demographic differences, and analyze shopping orientations by consumer type. This data can be used by fashion and beauty companies for product planning and marketing strategies. To categorize super app consumer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26.0 software using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K-mean cluster, and distributed analyses, one-way-ANOVAs, and Scheffe verification.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correlate super app consumer types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e-way-ANOVAs and Scheffe verific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hopping preferences between super app consumer groups. As a result of our analyses, super app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ration type, the low-use type, the multifunction type, and the habit typ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ypes in age, occupation, marital status,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shopping impact factors. Five super app user shopping orientations were identified: brand pursuit, pleasure pursuit, trend pursuit, risk perception, and economic orientation. The differences in the preferred orientation between super app consumer typ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multifunction type consumers. This group used the super app most frequently and effectively. They also demonstrated the highest scores for all five of the shopping orientations. The classification of consumer types in this study will allow the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to utilize super apps for more targeted product design and marketing.

Regulation of amyloid precursor protein processing by its KFERQ motif

  • Park, Ji-Seon;Kim, Dong-Hou;Yoon, Seung-Yong
    • BMB Reports
    • /
    • 제49권6호
    • /
    • pp.337-343
    • /
    • 2016
  • Understanding of trafficking, processing, and degradation mechanisms of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is important because APP can be processed to produce β-amyloid (Aβ), a key pathogenic molecule in Alzheimer's disease (AD). Here, we found that APP contains KFERQ motif at its C-terminus, a consensus sequence for chaperone-mediated autophagy (CMA) or microautophagy which are another types of autophagy for degradation of pathogenic molecule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Deletion of KFERQ in APP increased C-terminal fragments (CTFs) and secreted N-terminal fragments of APP and kept it away from lysosomes. KFERQ deletion did not abolish the interaction of APP or its cleaved products with heat shock cognate protein 70 (Hsc70), a protein necessary for CMA or microautophag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FERQ motif is important for normal processing and degradation of APP to preclude the accumulation of APP-CTFs although it may not be important for CMA or microautopha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