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K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초

Hyperledger Composer 기반 컨소시움 블록체인을 이용한 위조 모바일 APK 검출 DApp (Consortium Blockchain based Forgery Android APK Discrimination DApp using Hyperledger Composer)

  • 이형우;이한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9-18
    • /
    • 2019
  • APK (Android Application Package)는 리패키징 공격에 취약하므로 APK 파일 내부에 난독화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하지만 리버스 엔지니어링 기술 역시 더욱 고도화 됨에 따라 또다른 위조 모바일 APK 파일이 개발 및 배포되고 있어 새로운 대응 방식이 필요하다. 블록체인은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연결 및 보호되는 레코드 블록이 지속적으로 추가되는 방식으로, 각 블록에는 일반적으로 이전 블록의 암호화 해시값, 타임스탬프 및 트랜잭션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일단 블록체인에 기록되면 해당 블록의 데이터는 이후에 생성된 모든 블록을 변경하지 않고서는 소급해서 변경/수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면 모바일 APK 파일에 대한 정상 및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yperledger Composer를 이용한 컨소시움 블록체인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합법적인 APK를 블록체인 내에 기록하고 유지함으로써 위조 APK에 대한 검출 기능을 제공하는 DApp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DApp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위조된 앱이 설치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 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정상적이고 합법적인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 사용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Detecting Android Malware Based on Analyzing Abnormal Behaviors of APK File

  • Xuan, Cho D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6호
    • /
    • pp.17-22
    • /
    • 2021
  • The attack trend on end-users via mobile devices is increasing in both the danger level and the number of attacks. Especially, mobile devices using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are being recognized as increasingly being exploited and attacked strongly. In addition, one of the recent attack methods on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is to take advantage of Android Package Kit (APK) files. Therefore, the problem of early detecting and warning attacks on mobile devices using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through the APK file is very necessary today. This paper proposes to use the method of analyzing abnormal behavior of APK files and use it as a basis to conclude about signs of malware attacking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propose 2 main tasks: i) analyzing and extracting abnormal behavior of APK files; ii) detecting malware in APK files based on behavior analysis techniques using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algorithms. The difference between our research and other related studies is that instead of focusing on analyzing and extracting typical features of APK files, we will try to analyze and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APK file as the basis for classifying malicious APK files and clean APK files.

동일채널간섭 및 임펄스성 잡음환경하에서의 APK 시스템의 오율특성 (APK Error Performance in the Environment of Cochannel Interference and Impulsive Noise)

  • 공병옥;채종원;조성준
    • 한국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신학회 198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7-41
    • /
    • 1984
  • The error rate performance of amplitude phase keying system has been studied in the environment of cochannel interference and impulsive noise. We have derived the error probability equations of amplitude shift keying signal and phase shift keying signal, and combining the results, we have evaluated the circular APK signal which is the one of the several cases of APK arrays. Using the derived equations, the circular APK system has been evaluated in terms of carrier-to-noise power ratio(CNR), carrier-to-interferer power ratio(CIR), and impulsive index. The graphic results show us the best case and worst case of APK system, and good performance compared to the other systems in cochannel interference and impulsive noise.

  • PDF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악성 URL 및 수정된 APK 파일 검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erification System for Malicious URL and Modified APK File on Cloud Platform)

  • 제설아;응웬부렁;정수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921-928
    • /
    • 2016
  • 최근 국내에서 개인정보를 유출하고 금전적 손실 등의 2차 피해를 발생시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스미싱 공격 기법은 악성 URL과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주요 공격 요소인 사회 공학적 해킹 기법이다. 사용자는 스미싱 공격에 사용되는 문자메세지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인하여 의심없이 악성 URL에 접속하고 다운로드 되는 APK 파일을 검증 절차 없이 설치하기 때문에 쉽게 스미싱 공격에 노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상용되는 스미싱 방지 앱 들의 경우 시그니쳐가 생성된 뒤부터 차단이 가능한 사후처리 방식이므로 빠른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금전적인 2차적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스미싱의 방지 대책으로 실시간으로 검사 가능하며 다운로드 되는 APK 파일의 수정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한 악성 URL 및 악성 APK 파일 검증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구현하므로써, 스미싱 공격과 그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등의 2차 피해를 예방하고 한다.

간섭과 잡음의 존재하에서 APK 시스템의 오율 특성 (The Error Rate Performance of APK System in the Presence of Interference and Noise)

  • 채종원;공병옥;조성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66-72
    • /
    • 1984
  • 본 논문에서는 동일 채널 간섭과 잡음 환경하에서의 L레벨 ASK 및 다상 PSK, APK 시스템의 성능을 오율의 관점에서 구명하였다. ASK 신호와 PSK 신호에 대한 오율식을 이용하여 반송파대 잡음 전력비, 반송파대 간섭파 전력비 및 간섭파의 포락선 분포의 함수로서 APK 시스템의 오율 특성을 밝히고 PSK시스템 및 ASK 시스템, QAM 시스템, APK시스템의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 PDF

실행코드 암호화 및 무결성 검증을 적용한 안드로이드앱 보호 기법 (A Technique for Protecting Android Applications using Executable Code Encryption and Integrity Verification)

  • 심형준;조상욱;정윤식;이찬희;한상철;조성제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9-2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앱)을 역공학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에서 서버는 안드로이드 패키지 파일인 APK 내에 있는 원본 실행코드(DEX)를 암호화하고, 실행 시 이를 복호화 할 수 있는 스텁(stub) 코드를 APK에 삽입하여 배포한다. 스텁 코드는 자신에 대한 공격을 탐지하기 위해 무결성 검증 코드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해당 APK를 설치·실행할 때, 스텁 코드는 자체의 무결성을 검증한 후, 암호화된 원본 실행코드를 복호화하고, 이를 동적 로딩(dynamic loading)하여 실행한다. 앱의 원본 실행코드는 암호화되어 배포되므로 지적재산권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스텁 코드에 대해 무결성을 검증하므로, 제안 기법의 우회 가능성을 차단한다. 우리는 15개의 안드로이드 앱에 제안 기법을 적용하여 그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13개의 앱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코드 분리 기반 스마트 자동차 소프트웨어 보안 시스템 (A Smart Car Software Security System based on Code Splitting)

  • 김경리;서혜민;태희지;이수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25-226
    • /
    • 2018
  • 최근 스마트 카가 발전하면서 물리적 키에서 스마트 키로 차량용 키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키에 대한 해킹 위협도 증가하고 있으며 스마트 키의 보안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기존의 스마트키는 자동차 시스템이 부팅 된 후에 데이터 값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을 진행한다. 이러한 방식은 시스템이 이미 부팅된 상태이므로 여전히 해킹의 위협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안전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Python 코드 분리 기술과 APK 바이트 코드 분리 기술을 자동차 부팅 코드와 엔진 APK의 바이트 코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APK와 적용된 APK를 리패징하여 해킹에 대한 본 연구의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APK에 적용된 난독화 기법 역난독화 방안 연구 및 자동화 분석 도구 구현 (A Study on Deobfuscation Method of Android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ic Analysis Tool)

  • 이세영;박진형;박문찬;석재혁;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201-1215
    • /
    • 2015
  •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악의적인 역공학으로부터 APK(Android application PacKage)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난독화 도구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난독화 도구는 악의적인 공격자에 의해 악용될 수 있으며, 실제로 많은 공격자들이 안티 바이러스 등에 의한 탐지를 우회하기 위해 악성 APK를 난독화하고 있다. 난독화된 악성 APK는 역난독화가 되지 않으면 그 기능성을 분석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난독화된 악성 APK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역난독화 방안이 반드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난독화 도구로 난독화된 APK를 분석하고, 적용된 난독화 기법을 정적으로 식별하고 역난독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난독화 옵션 식별 및 역난독화가 가능한 자동화된 도구를 구현하여 검증한 결과를 제시한다.

안드로이드 앱 변조 방지를 위한 APK 덮어쓰기 기법 (An APK Overwrite Scheme for Preventing Modification of Android Applications)

  • 최병하;심형준;이찬희;조상욱;조성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5호
    • /
    • pp.309-316
    • /
    • 2014
  • 안드로이드 앱(Android app, APK)을 역공학하여 디컴파일된 소스 코드를 획득하는 것이 용이하다. 공격자는 디컴파일된 소스코드를 불법적으로 사용하여 경제적 이득을 얻거나 악성코드를 삽입하여 앱을 변조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역공학 방지 방법을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앱에 대한 불법 변조를 방지하는 APK 덮어쓰기 기법을 제안한다. 연구 대상은 임의 프로그래머에 의해 작성된 앱들이다. '대상 앱'(원본 앱)에 대해, 서버 시스템은 (1) 대상 앱의 복사본 생성, (2) 그 대상 앱을 암호화, (3) 복사본의 DEX (Dalvik Executable) 부분을 스텁(stub) DEX로 교체하여 스텁 앱 생성, (4) 암호화된 대상 앱 및 스텁 앱을 배포한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암호화된 대상 앱 및 스텁 앱을 다운받는다. 스텁 앱이 스마트폰에서 실행될 때마다, 스텁 앱은 런처(launcher) 앱과 협력하여 암호화된 대상 앱을 복호화한 후 자신을 덮어쓰게 하여 원본 대상 앱이 실행되게 한다. 실행이 끝나면 복호화된 앱은 삭제된다. 제안 기법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여러 대중적인 앱들로 실험하여 보았다. 실험 결과, 제안 기법이 안드로이드 앱에 대해 역공학 및 변조 공격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배전급 피뢰기(18kV, 5kA)용 산화아연바리스타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ZnO Varistor for Distribution Class Surge Arrester(18kV, 5kA))

  • 유덕선;윤한수;김석수;최연규;장성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2
    • /
    • pp.744-746
    • /
    • 2003
  • A ZnO varistor with reference voltage 250V/mm was fabricated through the control of particle size in slurry and the variation of sintering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to measure the flatness of the V-I characteristic curve in the small-current region and the flatness of the V-I characteristic curve in a large-current region was improved nonlinearity of the fabricated ZnO varistor. According to the IEC 60099-4 was measured the accelerated aging test and high current test of the distribution class surge varistor which is excellent in respect to the property of ZnO varis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