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OVA-test

검색결과 10,500건 처리시간 0.033초

간호사의 사건보고와 안전분위기 인지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Nurses' Incident Reporting and Perceived Safety Climate)

  • 고유미;김주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43-45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사건보고태도, 사건보고지식 및 안전분위기 인지수준을 파악하고 간호사가 인지하는 안전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간호사 24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으며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5점 척도에서 간호사의 사건보고태도는 3.34, 사건보고지식 3.05, 안전분위기 인지는 3.25로 나타났다. 사건보고태도는 사건보고지식, 안전분위기와 양적상관관계가 있었으며(r=.33, p<.001; r=.38, p<.001) 사건보고지식도 안전분위기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32, p<.001). 안전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건보고지식과 사건보고태도 하위영역 중 개선효과에 대한 신념과 보고의도였으며 이들 요인은 안전분위기 인지수준의 24.7%를 설명하였다(F=12.22, p<.001). 그러므로 사건보고에 대한 교육과 긍정적 태도를 증진시켜 안전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안전사고 예방중재로 적용가능하며 환자안전을 위한 강화된 실무전략개발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영성과 임종간호태도 (Nurses' Spirituality and Attitude toward Terminal Care in Geriatric Hospital)

  • 이금재;박연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347-357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 306명을 대상으로 영성과 임종간호태도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노인요양병원에서 임종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3년 9월 3일부터 9월 30일까지 하였으며,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en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성의 차이는 종교, 종교중요성 인식, 임종간호교육경험, 직무만족, 삶의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임종간호태도 차이는 학력, 중교중요성 인식, 임종환자간호경험, 임종간호교육경험, 직무만족, 삶의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영성과 임종간호태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영성정도가 높을수록 임종간호태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태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코칭 및 지시적 리더십, 자기 효능감과 응집력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해병대 소대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Coaching leadership, Directive leadership, Self-efficacy and Cohesion - Focused on the Marine Corps Soldiers -)

  • 허제은;임계환;손헌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3_1호
    • /
    • pp.69-75
    • /
    • 2016
  • 본 연구는 해병대 소대장의 코칭 및 지시적 리더십과 자기 효능감 및 응집력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증적 연구이다. 포항 해병부대의 소대원 488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1월 18일에서 1월 25일까지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requency, t-test, ANOVA와 scheffe's test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응집력 정도는 연령, 병과, 계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코칭 리더십 정도와 응집력 정도와의 관계는 중등도 정도의 순 상관관계(r=.492,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시적 리더십 정도와 응집력 정도와의 관계는 약한 순 상관관계(r=.213, p<.001), 자기 효능감 정도와 응집력 정도와의 관계는 강한 순 상관관계(r=.849,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코칭 리더십 정도가 높을수록, 자기 효능감 정도가 높을수록 응집력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군 환경과 신세대 장병에 적합한 소대장의 리더십 개발에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f Learned Helpless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 위성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307-314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정도와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 있는 변인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도 H대학교와 C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학습된 무기력 점수는 5점 중 2.55점(${\pm}.61$)이었으며, 하위영역 중 '통제력 결여'가 2.85점(${\pm}.44$)으로 가장 높았고, 교우관계, 학업성적, 가족 간 협력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교우관계가 안 좋거나 학업성적이 낮은 경우, 가족 간 협력정도가 좋지 않은 경우에서 학습된 무기력이 높았고,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설명할 수 있는 변인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여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관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학령기아동의 음악적 성향과 유머감각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Resilience in school-age children related to sense of music and humor)

  • 심인옥;황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93-605
    • /
    • 2015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음악적 성향과 유머에 대한 감각 수준 파악 및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및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경기, 강원지역에 거주하는 학령기 고학년 아동인 4학년에서 6학년 학생 265명을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음악적 성향, 유머감각,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출생순위가 빠를수록 자아탄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적 성향, 유머감각 및 자아탄력성은 학령기 아동에게서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음악적 성향을 신장시키고 유머활동을 통해 유머감각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추후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 기초적 이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엠라크림이 정맥천자 시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opical EMLA Cream for venipuncture on Patients' Pain and Anxiety)

  • 김중경;심문숙;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065-4072
    • /
    • 2012
  • 본 연구는 정맥 천자 전 국소 마취제인 엠라크림을 도포하여 침습적 시술 시 발생하는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엠라크림의 임상적 적용을 확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실험군 40명과 대조군 37명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27일부터 11월13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적 특성, 기질불안, 상태불안, 주관적 통증, 객관적 통증에 관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2$-test,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엠라크림 도포가 통증과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엠라크림 도포 후 통증과 불안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안면 표정, 음성변화, 객관적 통증은 불안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임상에서는 환자들에게 침습적 처치로 인한 통증과 불안을 감소시켜줌으로서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엠라크림의 임상적 적용 확대를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중년여성의 외상 후 성장, 자아존중감, 희망이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t-traumatic, Self-Esteem, and Hope on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Female)

  • 강혜승;이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518-525
    • /
    • 2017
  •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 자아존중감, 희망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총 118명 중년여성 이였으며,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프로그램으로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과 타인에 관하여 희망적일수록, 자가건강상태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외상 후 성장을 극복했을수록 삶의 질의 점수가 높게 나왔다. 희망, 자가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외상 후 성장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과 순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나이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희망, 자가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외상 후 성장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주요 변수들을 고려하여 노년기의 전 단계인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길어진 삶 속에서의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 중재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간호사 이미지 비교 (A Comparison of the Nurses Image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강미란;정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42-3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간호사 이미지 정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C시 소재 일 간호대학 학생 400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9월 2일부터 9월 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로, t-test, ANOVA,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 이미지 정도는 임상실습 경험군 평균평점 $3.5{\pm}0.5$, 임상실습 미경험군 평균평점 $3.7{\pm}0.5$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4750.2, p<.001). 또한 간호사 이미지 하위영역의 전통적 이미지(F=3631.5, p<.001), 사회적 이미지(F=2872.5, p<.001), 전문적 이미지(F=4022.9, p<.001), 개인적 이미지(F=1812.9, p<.001)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후 간호사 이미지를 높이기 위하여 임상현장과 간호대학 뿐 만 아니라 간호사의 독자적 업무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상부 위장관 질환군별 영향 요인 및 소화기 증상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and Digestive Symptoms among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 Groups)

  • 오두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35-34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부 위장관 질환군별로 영향 요인과 소화기 증상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03년 10월부터 2004년 10월동안 서울소재 일개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하여 건강검진을 시행한 20-79세 수진자들의 Helicobactor Pylori 및 위내시경 결과와 건강문진표 전산자료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 자료 중에서 중복 사례와 제외 기준에 해당된 건수를 제외한 최종 2,708건을 $x^2$ 검정 및 ANOVA test로 분석하였다. 상부 위장관 질환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향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성별, 연령, 직업, 생활습관 요인으로 흡연, 음주, 병태생리적 요인으로 H. pylori 감염여부, 심리적 요인으로 스트레스 등이 있었다. 상부 위장관 질환군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소화기 증상은, "위에 음식물이 남아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공복 시에나 식후에 속이 쓰리다", "신물이 자주 넘어 온다"는 항목이었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상부 위장관 질환별 특성 파악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상부 위장관 질환과 관련된 건강증진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Youth Housing Support Policy

  • KIM, Sun-Ju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11호
    • /
    • pp.29-38
    • /
    • 2020
  • Purpose: The problem of housing poverty among young people is a very important problem for the nation.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government's housing support policy for young people. And it is in presenting specific solutions by fully reflecting the opinions of exper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consisted of analyzing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topics: 1) the differences of youth residential support housing policy impact on young adults' housing stability, 2)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youth housing support policy, and 3) the differences of experts' opinions on the impact of government policy on youth housing stabil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government's seven housing policies for young people. The targets include Happy Public Rental Housing (Happiness Housing), Station Area Rental Housing for youth (Station Area 2030), Public Dormitory for College Students (Public Dormitory & Hope Dormitory), Jeonse Rental Housing for College Students (Subject Lease Rental Housing for College Students), Social Housing for Young People, and Share House. The data was organized through expert surveys from 1st to 30th June 2020. The experts surveyed include professors & researchers, public officer & public institutions staff, and private developers of young adults' housing. The methodology of analysis on the problem and the solution of government policy was Frequency analysis. And analysis methods on differences of experts' opinion were ANOVA, Levene' test, and Schefe test. Results: Problems in Government's youth residential support housing policy include high rents, lack of supply, difficulty in acquiring rental housing, inconvenience in using shared spaces, conflicts with cohabitants, and invasion of privacy. Solutions include expanding supply to urban areas, establishing long-term plans, securing privacy, diversifying business methods, establishing platforms for rental housing transactions, and expanding various public support (financial support, etc). Conclusions: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groups of experts on the impact of public rental housing (called 'happiness housing') in youth housing stability. It is very urgent to come up with the most reasonable policy to support youth housing. This requires in-depth discussions by experts to narrow their dif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