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

검색결과 2,343건 처리시간 0.033초

막대은하의 별탄생율과 활동성 은하핵 (Star Formation Rate and AGN in Barred Galaxies)

  • 방준;안홍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9-8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SDSS DR6을 이용하여 별탄생율과 활동성 은하핵의 막대의 특성, 특히 막대의 세기에 대한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막대의 세기를 보다 잘 표현하기 위하여 막대의 길이와 축비를 이용하여 막대를 6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H{\alpha}$ 방출선 세기로부터 구한 별탄생율은 막대의 세기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활동성 은하핵은 막대와 또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전자의 상관관계는 막대에 의해 유발되는 가스 유입이 막대의 세기에 의존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되며, 활동성 은하핵이 막대의 특성과 특별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은 초중량 블랙홀로 들어가는 가스의 양이 막대와 초거대 블랙홀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활동성 은하핵은 주변의 밀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나 별탄생율은 주변의 밀도와 무관해 보인다. 이것은 별탄생은 은하에서의 가스 밀도에 의해 결정되는 국지적인 현상인데 반해 활동성 은하핵은 질량이나 광도와 같은 은하의 특성이 밀도-광도관계로 표현되는 은하의 환경 의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암시한다.

인공신경망과 SA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정 위치 최적화 전산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Well Placement Optimization Model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Simulated Annealing)

  • 곽태성;정지헌;한동권;권순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8-3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속의 연산이 가능한 인공신경망 시뮬레이터와 SA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지능형 생산정 위치 최적화 전산 모델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사용하는 상용시뮬레이터의 경우 현장 규모의 저류 전산 시뮬레이션을 수행시 시간이 많이 소모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모델에서는 인공신경망을 사용하여 짧은 시간내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얻은 결과를 주관적인 경험에 의거하지 않고 자동으로 최적의 생산정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최적화기법인 SA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를 기존 사용 시뮬레이터와 비교하여 예측성능이 양호함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연산속도 또한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SA 최적화 알고리즘의 제어변수인 초기온도와 냉각률에 대한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여 각각에 대한 최적값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발한 모델의 연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모델을 사용하여 생산정 위치 최적화를 수행한 결과, 생산성이 우수한 지역을 선정하여 최적의 생산정 위치를 도출하였다.

이소맹출하는 견치의 상악 전치로의 대체사용 : 증례보고 (Maxillary Incisor Replacement with the Ectopically Erupting Canine : Case Reports)

  • 임지은;최성철;박재홍;최영철;김광철;안효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35-341
    • /
    • 2013
  • 매복된 상악 견치는 제 3대구치 다음으로 호발하는 매복치아로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매복된 상악 견치로 인한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소맹출하는 상악 견치는 초기의 진단을 통하여 유견치의 조기 발거와 같은 차단 교정을 시행하는 경우 가장 좋은 예후를 보일 수 있으나 초기치료를 시행하지 못한 경우에는 수술적 노출과 교정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이소맹출하는 치아가 말기에 발견되어서 인접치아의 심한 흡수를 보인다면, 견치가 손상된 인접 치아를 대체할 수 있다. 본 증례들은 이소맹출과 치근흡수의 조기 진단을 통하여 치료되지 못한 증례로 이소맹출하는 견치를 사용하여 상악 절치의 대체사용이 대안으로 선택되었고, 현재까지 성공적인 결과를 보인다. 복합레진으로 수복된 견치는 지속적인 관찰을 통하여서 수복물을 평가할 예정이며, 추후 교정치료와 임플란트의 식립이 계획되어있다. 본 증례는 초기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견치를 절치로 대체 사용하여 치근 흡수된 치아의 불확실한 예후를 피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여 심미적 만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Improving the Accuracy of Early Diagnosis of Thyroid Nodule Type Based on the SCAD Method

  • Shahraki, Hadi Raeisi;Pourahmad, Saeedeh;Paydar, Shahram;Azad, Mohs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4호
    • /
    • pp.1861-1864
    • /
    • 2016
  • Although early diagnosis of thyroid nodule type is very important, the diagnostic accuracy of standard tests is a challenging issue. We here aimed to find an optimal combination of factors to improve diagnostic accuracy for distinguishing malignant from benign thyroid nodules before surgery. In a prospective study from 2008 to 2012, 345 patients referred for thyroidectomy were enrolled. The sample size was split into a training set and testing set as a ratio of 7:3. The former was used for estimation and variable selection and obtaining a linear combination of factors. We utilized smoothly clipped absolute deviation (SCAD) logistic regression to achieve the sparse optimal combination of factor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estimated model in the testing set,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was utilized. The mean age of the examined patients (66 male and 279 female) was $40.9{\pm}13.4years$ (range 15- 90 years). Some 54.8% of the patients (24.3% male and 75.7% female) had benign and 45.2% (14% male and 86% female) malignant thyroid nodules. In addition to maximum diameters of nodules and lobes, their volumes were considered as related factors for malignancy prediction (a total of 16 factors). However, the SCAD method estimated the coefficients of 8 factors to be zero and eliminated them from the model. Hence a sparse model which combined the effects of 8 factors to distinguish malignant from benign thyroid nodules was generated. An optimal cut off point of the ROC curve for our estimated model was obtained (p=0.44)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equal to 77% (95% CI: 68%-85%).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for this model were 70%, 72%, 71% and 76%, respectively. An increase of 10 percent and a greater accuracy rate in early diagnosis of thyroid nodule type by statistical methods (SCAD and ANN method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FNA testing revealed that the statistical modeling methods are helpful in disease diagnosis. In addition, the factor ranking offered by these methods is valuable in the clinical context.

자윤탕이 뇌혈류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ayun-tang on the Changes of Cerebral Flow)

  • 김용진;전상윤;안정조;최창원;홍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8-203
    • /
    • 200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ayun-tang extract (JYT) on the change of cerebral hemodynamics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pial arterial diameter (PAD)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MABP)] in normal and cerebral ischemic rats, na to determine the mechanisms of action of JYT. Methods : We investigated whether JYT inhibits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in neuronal cells and cytokines production in serum of cerebral ischemic rats. Results : 1. JYT significantly increased rCBF and PAD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MABP was not changed by injecting JYT. These results suggested JYT significantly increased rCBF by dilating PAD. 2. The JYT-induced increase in rCBF was significantly inhibited from pretreatment with indomethacin (1mg/kg, i.p.), an inhibitor of cyclooxygenase and methylene blue $(10{\mu}g/kg, i.p.)$, an inhibitor of guanylate cyclase. 3. The JYT-induced dilation in PAD was significantly inhibited from pretreatment with indomethacin, but was increased by pretreatment with methylene blue. 4 The JYT-induced increase in MABP was reduced by pretreatment with indomethacin and methylene blue. 5. JYT significantly inhibited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in neuronal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JYT prevented the neuronal death. 6. Both rCBF and PAD were significantly and stably increased by JYT $(10{\mu}g/kg,\;i.p.)$ during the Period or cerebral reperfusion, which contrasted with the findings of rapid and marked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7. In cytokine production in the serum drawn from femoral artery 1hr after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the samp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production of $IL-1\beta$ and $TNF-\alpha$ as well as increased production of IL-10 and $TGF-\beta$ compared with rho control group. 8. In cytokine production in the serum drawn from femoral artery 1hr after reperfusion, the samp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production of $IL-1\beta$ and $TNF-\alpha$ as well as significantly increased production of IL-10 and $TGF-\beta$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 JYT mediated by cyclooxygenase had an inhibitive effect on brain damage by inhibiting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IL-1\beta$ and $TNF-\alpha$ production, and by accelerating IL-10 and $TGF-\beta$ production. The author feels that JYT had anti-ischemic effects through the improvement of cerebral hemodynamics and inhibitive effects on brain damage.

  • PDF

청각을 이용한 시각 재현장치의 분석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Processing Program for Audio-vision System Based on Auditory Input)

  • 허세진;방성식;서지혜;최현우;김태호;이나희;이유진;박지원;이희중;원철호;이종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58-65
    • /
    • 2010
  •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시각 장애인들의 안전보행을 위한 단순한 충돌 경보 장치가 아니라 전방의 3차원적 공간 정보를 청각 정보로 변환하여 시각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Audio-vision System)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동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고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30명의 정상지원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나이는 25.8세이었다. 다양한 가상의 공간을 분석프로그램에 입력하고 맹검상태에서 피험자가 공간 내 구조물을 그리게 하였다. 먼저 피험자에게 30분간 10개의 대상을 이용한 학습을 실시한 후 별도의 10개의 가상공간에 대한 시험을 채점하고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다. 실험결과 점수는 77점에서 97점이었으며 평균 88.7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자체 제작된 분석프로그램으로 청각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환하는 기반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거리 센서를 확보한다면 제품화 가능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외상성 비변형의 이차적 정비술 (CORRECTIVE RHINOPLASTY OF THE POST-TRAUMATIC RESIDUAL NASAL DEFORMITIES)

  • 정필훈;김창수;채윤필;안희용;정상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1-10
    • /
    • 1989
  • 사회가 다양해지고 공업화됨에 따라 안면부의 외상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그 외상 정도 또한 더욱 심화되었다. 안면골절중 가장 많은 발생빈도를 차지하는 것은 비골골절이다. 그러나, 골절된 비골에 대한 즉시 치료율은 다른 안면골에 비해 높지 않다. 또한 다른 안면골 골절, 특히 악골 골절과 동반된 경우에 있어서는 마취 기술상 동시 수술이 쉽지 않다. 따라서 많은 수의 비골골절이 즉시 치료되지 못해 변형된 형태로 남게 된다. 이러한 외상성 비변형은 심미적으로나 기능적으로 환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므로 정비술을 요하게 된다. 코의 외상성 변형은 크게 비골부변형, 비연골부 변형, 피부변형과 다른 주위 구조물(안와부, 전두부)과 동반된 변형으로 나눌 수 있다. 안와부 또는 전두부와 동반된 비변형에 있어서는 비안각 또는 전비각의 재건에 유의하여야 한다. 단순한 비변형에 있어서는 비연골간 절개 또는 구내절개술을 통한 재건술이 많이 이용된다. 정비술 방법으로는 비골절단술, 연골이식술, 골이식술 및 이물질 매식술 등이 있다. 본원에서는 비연골간 절개를 이용한 골 및 연골이식과 이물질 매식 그리고 구내절개를 이용한 골절단술로 외상성 비변형을 이차적으로 재건한 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주목 메커니즘 기반의 멀티 스케일 조건부 적대적 생성 신경망을 활용한 고해상도 흉부 X선 영상 생성 기법 (Generation of High-Resolution Chest X-rays using Multi-scale Condi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with Attention)

  • 안경진;장영걸;하성민;전병환;홍영택;심학준;장혁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12
    • /
    • 2020
  • 의료분야에서 질환별 유병률 차이로 인한 데이터 수적 불균형은 흔하게 발생되는 문제로 인공지능 학습 성능을 저하시켜 개발의 어려움을 초래한다. 최근 이러한 데이터 수적 불균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적대적 생성 신경망(GAN) 기술이 도입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어왔다. 그러나 수적 불균형에 의해 저하된 성능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기존 연구들의 영상 해상도가 아직 충분하지 않고 영상 내 구조가 전역적으로 일관성 있게 모델링 되지 않아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흉부 X선 영상 데이터의 수적 불균형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주목 메커니즘 기반 멀티 스케일 조건부 적대적 생성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해당 네트워크는 질환제어 조건변수에 의해 하나의 네트워크만으로 다양한 질환 영상을 생성할 수 있어 각 클래스별로 학습을 하는 비효율성을 줄였고, 자기 주목 메커니즘을 통해 영상 내 장거리 종속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가뭄 분석을 위한 지하수위 모니터링 및 예측기법 개발(II) - 표준강수지수, 표준지하수지수 및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지하수 가뭄 예측 (Development of groundwater level monitoring and forecasting technique for drought analysis (II) - Groundwater drought forecasting Using SPI, SGI and ANN)

  • 이정주;강신욱;김태호;전근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11호
    • /
    • pp.1021-102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미급수지역의 주요 수원인 지하수의 수위 변동 상황을 기반으로 한 미급수지역 가뭄 예보 기법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화된 표준지하수지수(SGI)와 표준강수지수들(SPIs)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관측 지하수위로부터 산정된 SGI의 자기회귀 특성 및 지속기간별 SPI와 SGI의 상관관계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NARX (nonlinear autoregressive exogenous model)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지역별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학습기간 동안 관측 SGI와 모델 출력 SGI의 상관계수는 0.7 이상인 곳이 전체 167개 지역별 모형 중 146개(87%)로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적용기간에 대해서는 평균제곱근오차와 상관계수로 모형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59개 관측소별 강수량 전망 값으로부터 산정된 지속기간별 SPI와 관측된 지하수위를 이용한 지역별 SGI 전망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미급수지역의 가뭄 예 경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토록 하였다.

Si, Ge과 Si-Ge Hetero 터널 트랜지스터의 라인 터널링과 포인트 터널링에 대한 연구 (Study on Point and Line Tunneling in Si, Ge, and Si-Ge Hetero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 이주찬;안태준;심언성;유윤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876-884
    • /
    • 2017
  • TCA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소스 영역으로 오버랩된(Overlapped) 게이트를 가진 실리콘(Si), 게르마늄(Ge)과 실리콘-게르마늄(Si-Ge) Hetero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TFET)의 터널링 전류 특성을 분석하였다. $SiO_2$를 산화막으로 사용한 Si-TFET의 경우에 포인트와 라인 터널링이 모두 나타나서 험프(Hump) 현상이 나타난다. Ge-TFET는 구동전류가 Si-TFET보다 높으나 누설전류가 높고 포인트 터널링이 지배적으로 나타난다. Hetero-TFET의 경우에 구동전류가 높게 나타나고 누설전류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포인트 터널링이 지배적으로 나타난다. $HfO_2$를 산화막으로 사용한 Si-TFET의 경우에 라인 터널링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이 감소하여 라인 터널링만 나타난다. Ge과 Hetero-TFET의 경우에 포인트 터널링의 문턱전압이 감소하여 포인트 터널링에 의해 동작되며 Ge-TFET는 누설전류가 증가하였고, Hetero-TFET에서 Hump가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