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OS program

검색결과 586건 처리시간 0.027초

유튜브 정치성향에 따른 선택적 노출이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태도극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elective Exposure of Political Orientation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Polarization)

  • 이민규;김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61-272
    • /
    • 2022
  •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 420명을 대상으로 정치성향의 선택적 노출과 태도극화 및 온라인 정치참여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선택적 노출과 온라인 정치참여 관계에서 태도극화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선택적 노출은 태도극화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적 노출은 온라인 정치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도극화는 온라인 정치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도극화는 선택적 노출과 온라인 정치참여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유튜브 정치동영상에 대한 선택적 노출은 태도극화와 온라인 정치참여를 높이고 선택적 노출에 의해 태도극화가 강화될수록 온라인 정치참여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성인 애착 불안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dult Anxious Attachment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Stress)

  • 김은영;한승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381-38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성인 애착 불안과 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교 재학생 272명(남학생 132명, 여학생 139명)의 수집된 자료를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애착 불안과 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애착 불안이 스트레스의 지각과정을 통해 스마트폰중독을 야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의 위험요인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정신건강의 이해를 돕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제공하여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의 광고 스타파워 효과성 검증 (Verification of advertising star power effectiveness of retired sports players in Korea)

  • 신진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42-250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의 광고 스타파워 효과성을 검증하여 기업 및 광고 에이전시의 효율적인 광고 모델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이 광고 모델로 선정된 광고를 인지하고 있는 사람들을 표본으로 선정했으며, 206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적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으로 빈도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AMOS(ver. 20.0) 프로그램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효과성의 유의성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스포츠 은퇴 선수들의 스타파워는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감도는 광고 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타파워는 광고 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타파워는 광고 소비행동에 직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감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됐다.

Measurement Instruments for Superior Product Development: A Case Study of Deli Serdang Cassava in Indonesia

  • P, Remus Hasiholan;TARMIZI, Hasan Basri;RAHMANTA, Rahmanta;PURWOKO, Agus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5호
    • /
    • pp.1139-1145
    • /
    • 2021
  •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the superior product development program of Deli Serdang cassava, Indonesia. This research population is the target population of Deli Serdang Micr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SMEs) which produces cassava. The sample was randomly selected and consisted of 300 MSMEs. The study method is research and development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software. The data collection technique was a questionnaire. Study results used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which showed tha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struments met the ideal loading factor value > 0.5 and a significance value of p (0.000). The model built also meets the fit criteria based on the Goodness of Fit Model Standard. All instruments are presented to build and measure the superior cassava product development program by Deli Serdang MSMEs. This superior product development program comprises (1) economic contribution (with a loading factor value of 0.76) (2) social aspects (with a loading factor value of 0.76) (3) cultural aspects (with a loading factor value of 0.99) and (4) institutional (with a loading factor value of 0.87). This result means that all instruments have proven construct validity.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of Affecting Career Decision Making in the Science-Gifted Undergraduates)

  • 양태연;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921-946
    • /
    • 2010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진로결정의 패턴과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모형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 과학영재들의 진로결정을 부모(부모의 사회적 지지), 학교(대학생활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 개인특성(문제해결 능력, 진로결정 효능감, 전공선택 확신)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를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2002, 2003년도에 교육을 받은 수료생 93명과, 대통령 과학 장학생에 선정되어 장학금을 받고 있는 국내외 대통령 장학생 264명 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부모의 사회적 지지검사, 문제해결능력 검사, 대학생활 스트레스 검사, 대학생활 적응 검사, 진로결정 효능감 검사, 전공선택 확신 검사이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Program과 AMOS Program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TLI=.928, CFI=.941, RMSEA=.059로 연구모형이 대학생 과학영재 집단에 수용되는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세운 가설이 하나의 경로를 제외하고는 모두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영재들의 진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진로결정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체제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족건강성과 탄력성이 남자 고등학생의 인터넷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스트레스의 매개적 역할 (Pathways From Family Strengths and Resilience to Internet Addiction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Stress)

  • 장정남;최연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75-38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pathways from family strengths and resilience to internet addiction through stress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Particiants in this study included 482 male students from six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Korea. The SPSS 15.0 program and AMOS 7.0 program were used for analysis of data. Results: In this study, family strengths, resilience and stress were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internet addiction. Stress was a direct factor and family strengths and resilience were indirect factors.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assistance in development of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internet addiction.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Life Str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 최연희;장정남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85-29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life str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 Method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ncluded 285 students from five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sangbukdo, Korea. The SPSS 18.0 program and AMOS 18.0 program were used for analysis of data.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ausal relationship with latent variables by considering measurement error and to grasp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Life stress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was a direct factor and life stress was a indirect factor. The effects of depression as a mediator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assistance in development of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suicidal ideation.

학령기 비만아동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A Predictive Mod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bese School-Age Children)

  • 전미숙;김현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64-276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d to test a predictive model that could explain and predict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obese school-age children in Korea. Method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65 students from 1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onbuk Province,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program and Amos 7.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verifi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participants. Important direct factors were prior health-related behavior, perceived self-efficacy, and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and indirect factors were perceived barrier and activity-related effect. These factors explained 75.3% of variance in the participants'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proposed model was concise and extensive in predi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participants. Conclusion: Findings may provide useful assistance in developing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maintaining and promo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bese school-age children.

의류 쇼핑 웹사이트 태도 형성 모델 연구 (제1보) -웹사이트 속성, 웹사이트 쇼핑가치, 웹사이트 태도 측정모형 검증- (Attitude toward the Website for Apparel Shopping (Part I): Measurement Model Testing)

  • 홍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482-1494
    • /
    • 2004
  • This study identified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measurement variables by factor analysis using Spss program and tested covariance measurement model including latent variables such as the website attributes (interactivity, search and visual information of website), shopping values(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and attitude toward website by AMOS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71 internet shopper of university students(male: 82, female: 189). They visited the website for apparel shopping and, after searching a casual clothing which they wanted to buy, request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Variables that reduce validity were deleted in the several steps of factor analysis and initial measurement model testing. Final measurement model was constructed by valid variables was accepted. This measurement model will be input for testing causal research model that can explain how attributes of the website influences on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website.

임부의 산전 우울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Antenatal Depression)

  • 김영란;황신우
    •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 /
    • 제43권4호
    • /
    • pp.336-343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nd validate a model to predict antenatal depress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f 251 pregnant women in D metropolitan city. Exogenous variables were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high risk pregnancy. Endogenous variables consisted of pregnancy stress, pregnancy coping, and antenatal depression. Data were analyzed by SPSS 23.0 and AMOS 21.0. Results: Model fit indices for the hypotheoretical model fitted to the recommended levels. Out of 12 paths, 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accounted for 72.6% of antenatal depression. Predictors of antenatal depression were pregnancy stress (t = 7.64), self-esteem (t = -2.03), and social support (t = -2.06). Conclusions: Results indicate that an intervention program which increases self-esteem would be useful for pregnant women to decrease antenatal depression level. Antenatal program are needed to be applied to spouse and family members as well. To decrease pregnancy stress in pregnant women contributes to antenatal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