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KT 활성화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1초

폐 상피세포에서 PI3K/Akt 경로가 IκB/NF-κB 경로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Role of PI3K/Akt Pathway in the Activation of IκB/NF-κB Pathway in Lung Epithelial Cells)

  • 이상민;김윤경;황윤하;이창훈;이희석;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유철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5호
    • /
    • pp.551-562
    • /
    • 2003
  • 연구배경 : NF-${\kappa}B$는 많은 염증 유발성 물질들을 발현시키는데 필요한 전사 인자로서, 염증성 폐질환 발병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NF-${\kappa}B$의 활성화에는 여러 신호전달 체계가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으며 최근 PI3K/Akt 경로도 NF-${\kappa}B$ 활성화에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실험 대상 세포주마다 활성화 기전이 다르고 호흡기 상피세포에 대한 결과도 알려져 있지 않아 호흡기 상피세포에서의 NF-${\kappa}B$ 활성화에 PI3K/Akt 경로가 관여하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주인 BEAS-2B와 폐암 세포주인 A549, NCI-H157을 사용하여 Akt 활성화와 $I{\kappa}B{\alpha}$ 분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Wortmannin, LY294002 및 DN-Akt를 이용하여 Akt 경로를 억제하였고, NF-${\kappa}B$ 활성화와 전사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EMSA와 luciferase assay를 시행하였다. 결과 : BEAS-2B, A549 및 NCI-H157 세포주에 TNF-$\alpha$ 및 insulin을 처리한 경우 Akt 활성화가 유도되었다. Insulin 으로 Akt 경로를 활성화시킨 경우 $I{\kappa}B{\alpha}$ 분해가 일어나지는 않았다. Wortmannin, LY294002 및 DN-Akt 를 이용하여 Akt 경로를 억제한 경우 TNF-$\alpha$에 의한 $I{\kappa}B{\alpha}$ 분해 및 IKK 활성화가 억제되지는 않았으며, NF-${\kappa}B$ 활성화도 억제되지 않았다. Wortmannin을 처리한 경우 TNF-$\alpha$에 의한 NF-${\kappa}B$ 전사 활성이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DN-Akt 이입시킨 경우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인체 호흡기 상피세포에서는 $I{\kappa}B$/NF-${\kappa}B$ 경로의 활성화는 PI3K/Akt 경로와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우스 내피세포주 MAE의 NO 생성과정에서 과발현된 Ref-1의 AKT 활성 조절에 대한 연구 (Effect of Overexpressed Ref-1 on AKT Phosphorylation for NO Production in Mouse Aortic Endothelial Cell Line)

  • 송주동;이상권;박영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651-1656
    • /
    • 2008
  • Redox factor-1 (Ref-1)은 산화적으로 손상된 DNA의 복구와 세포내 산화환원에 민감한 전사인자들의 활성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유래 혈관내피세포주 (MAE)에서 nitric oxide (NO) 생성과정에 관여하는 AKT 활성화의 측면에서 adenoviral vector를 사용하여 과발현된 Ref-1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NO 측정을 위하여 fluorophore DAF-2를 사용하였다. 과발현된 Ref-1은 bradykinin으로 자극한 세포뿐만 아니라 자극되지 않은 세포의 NO 생성도 증가시켰다. 놀랍게도 이 과발현된 Ref-1은 AKT의 직접적인 인산화를 유도하였으며, AKT 저해제로 널리 사용되는 wortmannin에 의해 반응이 억제되었다. 또한, Ref-1에 의한 직접적인 AKT 활성화를 증명하기 위하여 HA-tagged activation-deficient AKT를 과발현시키는 adenoviral vector를 사용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한 AKT 활성의 저해는 과발현된 Ref-1에 의한 NO 생성 및 bradykinin 자극에 의한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들 결과는 Ref-1이 마우스 혈관내피세포에서 직접적인 AKT 인산화를 통하여 eNOS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3T3-L1 지방세포에서 PI3K/AKT 및 AMPK 경로의 활성화를 통한 루페올의 포도당 흡수촉진 효과 (Facilitation of Glucose Uptake by Lupeol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PI3K/AKT and AMPK Dependent Pathways in 3T3-L1 Adipocytes)

  • 이현아;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6-93
    • /
    • 2022
  • Lupeol은 pentacyclic triterpene의 일종으로 다양한 질병에 약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lupeol이 포도당 흡수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 3T3-L1 지방세포에서 포도당 흡수에 대한 lupeol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Lupeol은 3T3-L1 지방세포에서 GLUT4를 원형질막으로 이동시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였으며, 이는 PI3K/AKT 및 AMPK 경로의 활성화와 관련되어 있었다. PI3K/AKT 경로에서 lupeol은 PI3K를 활성화시키는 insulin receptor substrate 1의 인산화와 AKT의 인산화를 촉진하지만 비정형 단백질 키나아제 C isoforms ζ 및 λ의 인산화는 촉진하지 않았다. 반면, lupeol은 5 'AMP-activ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를 촉진하였고, Lupeol의 의한 AMPK의 활성화는 원형질막-GLUT4의 발현과 세포내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T3-L1 지방세포에서 lupeol에 의한 포도당 흡수 효과는 PI3K 억제제인 wortmannin 및 AMPK 억제제인 Compound C에 의해 억제됨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lupeol이 3T3-L1 지방세포에서 PI3K/AKT 및 AMPK 경로를 통해 원형질막 GLUT4의 발현을 자극함으로써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EGF 수용체에 의한 Akt/PKB의 tyrosine 인산화에 대한 연구 (Direct tyrosine phosphorylation of Akt/PKB by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 배순식;최장현;윤성지;김은경;오용석;김치대;서판길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185-191
    • /
    • 2007
  • Akt/PKB는 세포의 증식, 분화, 사멸, 혈관신생 등 매우 많은 생리활성 조절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는 Akt/PKB의 tyrosine잔기의 인산화가 $Thr^{\308}$ 인산화에 필수적임을 밝혔다. COS-7 세포주에 EGF를 처 리하면 Akt/PKB의 tyrosine 잔기에 인산화가 촉진되었으며 이러한 인산화 촉진은 Akt/PKB에 myristoylation site를 이용해 세포막으로 이동시키면 더욱 더 증가하였다. 특히, 분리된 Akt/PKB와 EGF 수용체를 이용해 인산화 반응을 실시하면 tyrosine잔기의 인산화뿐만 아니라 $Ser^{\473}$에 대한 인산화도 증가하였다. 더욱이 tyrosine잔기에 인산화 된 Akt/PKB는 활성화된 EGF 수용체와 직접적인 결합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예측되는 tyrosine 잔기인 $(Tyr^{\326})$을 Alanine으로 치환하면 정상 Akt/PKB뿐만 아니라 활성화된 Akt/PKB의 EGF에 의한 $Thr^{\308}$ 인산화가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EGF 수용체에 의한 직접적인 Akt/PKB의 tyrosine 인산화는 EGF에 의한 많은 생리활성 조절기전의 또 다른 기전이라 볼 수 있다.

인간 유방 MCF-12A 세포에서 PI3-kinase 경로를 통한 BCAR3의 estrogen response element 활성화 (BCAR3 Activates the Estrogen Response Element through the PI3-kinase/Akt Pathway in Human Breast MCF-12A Cells)

  • 오명주;하주연;전병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882-889
    • /
    • 2022
  • Breast cancer anti-estrogen resistance 3 (BCAR3)는 유방암에서 항에스트로겐 내성을 유도하는 유전자들 중의 하나로 발견되었다. 우리는 이미 BCAR3가 c-jun, activator protein-1, serum response element의 promoter 등을 활성화하는 것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정상 유방세포인 MCF-12A에서 estrogen response element (ERE) 활성에서의 BCAR3의 기능을 조사하였다. BCAR3의 발현이 ERE를 활성화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ERE 활성화는 17β-estradiol에 의해 더욱 증가하였고, 이는 항에스트론겐인 tamoxifen에 의해 억제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우리는 ERE 활성화를 이끄는 BCAR3의 신호전달 경로를 연구하였다. BCAR3에 의한 ERE 활성화는 phosphatidylinositol (PI) 3-kinase 경로 억제제인 LY294002와 AZD5363에 의해서는 억제되었으나,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경로 억제제인 PD98059와 U0126에 의해서는 억제되지 않았다. ERE 활성화는 PI3-kinase의 catalytic subunit p110α와 Akt의 active mutant에 의해서는 유도되었고, 이 활성화는 추가적인 BCAR3에 의해서는 더욱 증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우리는 BCAR3가 PI3-kinase/Akt 신호전달경로를 통하여 ERE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제시한다.

대장균을 이용한 Akt/PKB Protein Kinase의 발현 및 활성화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Akt/PKB Protein Kinase using Escherichia coli)

  • 이재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5-109
    • /
    • 2009
  • 단백질 인산화를 통한 세포내 신호전달기구 중 serine/threonine kinase에 속하는 Akt/PKB는 세포 생존과 사멸, 당대사 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Akt/PKB 단백질은 천연물질들로부터 항암제를 탐색하기 위한 한 가지 target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Akt/PKB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대장균의 단백질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human Akt/PKB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대장균에서 대량 발현된 Akt는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inclusion body를 형성하였다. 배양온도 $27^{\circ}C$에서 0.01-0.09 mM IPTG로 발현 유도 시 발현된 human Akt/PKB 단백질 상당 부분이 가용화 되었다. 발현된 Akt kinase를 $Ni^{2+}$-NTA agarose column으로 정제하고, anti-Akt antibody를 이용하여 정제된 단백질이 Akt kinase 임을 확인하였다. 정제된 human Akt/PKB 단백질은 세포추출물에 존재하는 인산화 단백질을 이용하여 in vitro에서 인산화 되었으며, 인산화된 활성형 human Akt/PKB protein kinase는 human Akt/PKB protein kinase 특이 형광 peptide를 특이적으로 인산화하였다.

인가목(Rosa acicularis Lindl.) 잎 추출물의 대식세포에서 자가포식 유도활성 (Induction of Autophagy by Rosa acicularis Leaves Extracts in RAW264.7 Cells)

  • 최정원;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7-263
    • /
    • 2023
  • 본 연구에서 인가목 잎 추출물이 RAW264.7 세포에서 면역자 극인자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포식작용의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인가목 잎 추출물은 TLR4 의존적 JNK와 PI3K/AKT 신호전달 활성화를 통해 자가포식을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의 활성화와 자가포식은 선천면역반응과 후천면역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요 전략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인가목 잎 추출물은 인체의 면역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이나 보조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작용기전을 구명하기 위해 관련된 단일억제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명확한 작용기전 구명을 위해 다양한 억제제 또는 siRNA를 활용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I3K/Akt 및 MAPK 기전 조절을 통한 Artesunate의 콜라겐 유도의 사람 혈소판 응집 억제효과 (Artesunate inhibits collagen-induced human platelets aggregation through regulation of PI3K/Akt and MAPK pathway)

  • 이동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1호
    • /
    • pp.57-62
    • /
    • 2022
  • 혈소판의 과도한 활성화 및 응집은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원인이 된다. 따라서, 혈소판 활성화 및 응집을 억제하는 것은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있어서 매력적인 치료 표적으로 여겨진다. 특히, 혈관 내피세포에서 분비되는 collagen에 의한 강력한 혈소판 활성화와 응집이 혈관질환에서 특징적이다. Artesunate는 Artemisia 또는 Scopolia 속 식물의 뿌리에서 추출한 화합물이며, 항암 및 알츠하이머 병 분야에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artesunate가 collagen 유도의 혈소판 활성화와 응집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에 대해서는 규명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collagen이 유도하는 사람 혈소판 응집에 있어 artesunate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artesunate의 작용 기전을 명확히 하였다. Artesunate은 혈소판가 활성화 될 때 신호 전달 과정에 작용한다고 알려진 인단백질인 PI3K/Akt 및 MAP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artesunate는 TXA2 생성을 감소시켰고, ATP 및 serotonin 방출 등의 혈소판 내 과립 분비를 감소시켰다. 그 결과, artesunate는 혈관 내피세포에서 분비되는 강력한 응집 유도 물질인 collagen으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을 106.41 μM의 IC50로 강력하게 억제하였다. 이 결과들을 통해, artesunate가 혈관 손상을 통해 일어나는 사람 혈소판의 활성화 및 응집을 억제하는 데 유효한 항혈전 물질로 가치가 있음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