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M 관리제어 시스템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4초

AIM (Agile and Intelligent Manufacturing) 관리 제어 시스템을 위한 PGL(Petrinet-type Graphical Language)의 설계

  • 김홍록;신연용;신석신;서일홍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18-218
    • /
    • 2004
  • 자동화된 조립 생산분야에서 복잡하거나 정교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Workcell 안에서 여러개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지능적인 제어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새롭게 만들어지는 생산 장비의 각 디바이스에서 센서들과 엑츄에이터들을 동시성(Parallelism)과 실시간성(Real timeness)을 고려하여 어떻게 작업 지시를 프로그래밍하는가 하는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대부분의 장비에서 사용하는 작업 교시 방법들은 특정한 동작을 나타내는 의미 명령어로 구성된 작업을 기술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비업체가 일방적으로 정한 작업 지시를 입력하는 형태로서 개발되었다.(중략)

  • PDF

페트리네트 기반 AIM 관리 제어 시스템의 설계 (A Design of Petri net-based AIM Supervisory Control System)

  • 공성학;김홍록;서일홍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3-206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experience of supervisory control system for agile and intelligent manufacturing(AIM). For effectively program job instructions, a Petri net-type graphical language is proposed and it can be applied to a various task such as concurrency and synchronization. PGL is consisted of PGL editor, PGL analyzer and PGL translator; PGL editor generates a job instruction program using graphic symbol. PGL analyzer prevents a deadlock or resource allocation of unit cell. PGL translator transfers to adequate sequential job commands of each unit cell.

  • PDF

페트리네트 기반 AIM 관리시스템의 플랫폼의 설계 (Design of Petri net based AIM Supervisory Control System Platform)

  • 공성학;서일홍;조영준;강희석;이규봉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9-630
    • /
    • 2006
  • This paper present a design experience of supervisory control system platform for agile and intelligent manufacturing(AIM). Embodied integrated environment that can do in place that do work direction, analysis command file generation, achievement using Petrinet-type Graphical Language(PGL) in proposed Supervisory Control System. Also, embodying whole system software in Modular done form, did to have extensity to fit in developer's requirement.

  • PDF

동적 과점시장의 관리제어: 기업들은 어떻게 이윤극대화에 이를 수 있는가? (Supervisory Control of Dynamic Oligopolistic Markets: How can Firms Reach Profit-Maximization?)

  • 박성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04-312
    • /
    • 2011
  • In an oligopolistic market, only a few firms account for most or all of total production, e.g., automobile, steel, and computer industries. For a dynamic oligopolistic market with two firms competing in quantities, we show that supervisory control theory of discrete event systems provides a novel approach to solve the dynamic oligopoly problem with the aim of maximizing the profits of both firms. Specifically, we show that the controllability, observability, and nonblocking property (which are the core concepts in supervisory control theory) are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wo oligopolistic firms in disequilibrium to eventually reach equilibrium states of maximizing the profits of both firms.

2차 전지용 충방전 시스템 설계 (Design of Charge and Discharge System for Secondary Batteries)

  • 이준하;심재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90-69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용 충방전 전지에 들어갈 2차전지 충방전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개발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방전 시스템에 대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개발을 포함하고 있으며, 충방전 상태를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효율적인 시스템 관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

원격 공동 실험을 위한 플랫폼 (A Platform for Remote Collaborative Experiment)

  • 김상욱;진민;손종경;김우년;김정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2호
    • /
    • pp.206-215
    • /
    • 2000
  • 본 논문은 원격 공동 실험을 위한 플랫폼인 PCS(Platform for Collaborative System)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PCS는 특정 응용 분야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모든 분야의 공동 실험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범용의 공동 실험 플랫폼이다. PCS는 공동 실험에 필요한 객체인 통신, 세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메시지 객체와 이들에 대한 관리 메커니즘 함수를 가진 관리 객체로 구성된다. 관리 객체는 공동 실험 객체와 이들을 관리하는 오퍼레이션으로 구성되며, 관리 객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제어정보 및 데이타를 처리한다. 또한, PCS는 공동 실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공유 기술을 통하여 단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다중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원격기기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PCS 플랫폼은 원격 공동 실험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며, 여러 공동 실험 시스템의 하부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인터넷 기반의 실시간 협업 설계 시스템 (Internet-Based Real-Time Collaborative Design System)

  • 차주헌;이선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7호
    • /
    • pp.701-707
    • /
    • 2011
  • 일반적인 본 논문은 인터넷상에서 원격접근으로 3 차원 솔리드 모델을 수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협업설계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시스템은 주어진 구속조건에서 만질 수 있는 설계대상을 설계하기 위해 함께 작업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관점의 충돌을 해결할 수 있게 해준다. 협업설계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협업설계가 분산환경에 있어서 어떻게 3 차원 솔리드 모델을 실시간으로 수정하도록 구현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었다. 본 시스템은 설계 요소들간의 일관성을 유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분산환경에서의 실제적인 적용 예를 통해 그 유효성을 확인한다. 전체 시스템은 협업관리서버, 파일서버, 솔리드 모델러 클라이언트, 원격제어모듈, 클라이언트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주거자 만족도를 고려한 주택 에너지관리 시스템의 부하제어 방법 연구 (A Study on Load Control Method for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H-EMS) Considering the Human Comfort)

  • 전정표;김광호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8호
    • /
    • pp.1025-1032
    • /
    • 2014
  • The effective energy management method will provide the significant advantage to the residential customers under real time pricing plan since it can reduce the electricity charge by controlling the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electricity rate. The earlier studies for load management mainly aim to minimize the electricity charges and peak power but put a less emphasis on the human comfort dwelling in the residence. The discomfort and displeasure from the energy management only focusing on reduction of electricity charge will make the residential customer reluctant to enroll the real time pricing plan.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opose optimal load control strategy which aim to achieve not only minimizing the electricity charges but also maintaining human comfort by introducing "the human comfort coefficient." Using the human comfort coefficient,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can reflect the various human personality and control the loads within the range that the human comfort is maintaine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load control strategy leads to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electricity charges and peak power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load management method.

분산형 저류시설-하수관망 네트워크 시스템의 입자군집최적화 기반 모델 예측 제어 (Model Predictive Control for Distributed Storage Facilities and Sewer Network Systems via PSO)

  • 백현욱;류재나;김태형;오재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22-728
    • /
    • 2012
  • 도심지역의 하수관거 시스템은 우수 수용능력 및 하수 월류 발생 등의 시스템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강우시 우수 유출수로 인한 침수저감과 더불어 도시비점오염원의 저감에 모두 대응할 수 있는 저류시설의 도입이 주목받고 시작하였다. 최근 환경부에서는 방재적 우수관리와 더불어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분류식 우수관거 유출수 처리를 포함하는 다기능 저류시설을 "하수저류시설"이라 통칭하고, 이의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대규모 단일 저류시설 설치의 경우에는 공간 확보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안으로는 중 소규모의 분산형 저류시설 설치 및 운영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산형 저류시설-하수관망 네트워크 시스템의 최적 운용을 위한 모델 예측 제어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첫째로 네트워크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의 수리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하수관망 네트워크의 거동을 모사하고자 한다. 둘째로 제안된 모델을 기반으로 현재의 강우 유입량을 고려하여 각 저류조의 수위, 하수관로의 유입/유출량을 예측하여, 입자군집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모델 예측 제어기법을 바탕으로 주어진 제약조건을 만족하며 상황을 바탕으로 제안된 제어기법의 사용여부에 따른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이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자율학습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 관리에서의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an Energy Efficient Cluster Management Based on Autonomous Learning)

  • 조성철;정규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11호
    • /
    • pp.369-382
    • /
    • 2015
  • 에너지 절감형 서버 클러스터에서는 에너지 절감을 고려하지 않는 기존 서버 클러스터에 비해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면서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현재의 부하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최소수의 서버들만 ON 하도록 고정 주기 또는 가변 주기로 서버들의 전원모드를 조정한다. 이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전력을 절감하거나 열을 낮추는데 노력해왔지만 에너지 효율성을 잘 고려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자율학습기반의 서버 전원 모드 제어 방법의 단위전력당 성능과 QoS를 높이기 위한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 관리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다중임계기반의 자율학습 방법과 전력소모 예측 방법을 결합한 서버 전원 모드 제어이다. 일반적인 부하 상황에서는 다중임계 학습기반의 서버 전원 모드 제어를 적용하고, 급변하는 부하 상황에서는 예측기반의 서버 전원 모드 제어가 적용된다. 일반적 상황과 급변하는 상황의 구별은 현재의 사용자 요청과 관찰된 과거 몇 분의 사용자 요청의 비율에 따라 이루어진다. 또한, 동적종료 기법을 추가로 적용해 서버가 OFF 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한다. 제안 방법은 16대 서버로 구성된 클러스터 환경에서 3가지 부하 패턴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다. 다중임계 학습, 예측, 동적종료를 함께 이용한 실험에서 단위전력당 성능(유효응답 수)과 표준화된 QoS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여준다. 제안하는 방법과 파라미터 로드된 단일임계 학습을 비교할 때 뱅킹 부하패턴, 실제 부하패턴, 가상 부하패턴에서 단위전력당 유효응답 수가 각각 1.66%, 2.9%, 3.84% 향상되고, QoS 관점에서는 각각 0.45%, 1.33%, 8.82%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