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I 기법

Search Result 57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I Model Repository for Realizing IoT On-device AI (IoT 온디바이스 AI 실현을 위한 AI 모델 레포지토리)

  • Lee, Seokjun;Choe, Chungjae;Sung, Nak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597-599
    • /
    • 2022
  • When IoT device performs on-device AI, the device is required to use various AI models selectively according to target servic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lso, AI model can be updated by additional training such as federated learning or adapting the improved technique. Hence, for successful on-device AI, IoT device should acquire various AI models selectively or update previous AI model to new one. In this paper, we propose AI model repository to tackle this issue. The repository supports AI model registration, searching, management, and deployment along with dashboard for practical usage. We implemented it using Node.js and Vue.js to verify it works well.

  • PDF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Crack Detection Techniques Using Object Detection (객체 탐지를 이용한 건축 문화재 크랙 탐지 기법)

  • Kim, Inki;Lim, Hyunseok;Kim, Beom-Jun;Gwak,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649-65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노후화된 목조·석조 건축물의 균열을 탐지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본 기법의 목적은 석조·목조 문화재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관리 소홀, 균열(벌레, 날씨, 기온 등), 배부름 현상에 의한 문화재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기존에 존재하는 목조·석조 건축물의 균열, 노후, 배부름 등 다양한 결함과 변형의 탐지 방법은 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탐지를 해왔지만, 문화재 자체의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문화재를 추가로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제시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재 비 접촉형 탐지 기법을 사용한다. CCTV 및 DSLR과 같은 관측장비로 촬영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문화재의 결함과 변형을 AI 영상분석 기반 방법으로 판단하는 문제를 제안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Autonomous IoT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based on AI Component Abstract Model (AI 컴포넌트 추상화 모델 기반 자율형 IoT 통합개발환경 구현)

  • Kim, Seoyeon;Yun, Young-Sun;Eun, Seong-Bae;Cha, Sin;Jung, Jinma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1 no.5
    • /
    • pp.71-77
    • /
    • 2021
  • Recently, there is a demand for efficient program development of an IoT application support frameworks considering heterogeneous hardwar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cope of hardware support is expanding with the development of neuromorphic architecture that mimics the human brain to learn on their own and enables autonomous computing. However, most existing IoT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support AI(Artificial Intelligence) or to support services combined with various hardware such as neuromorphic architectures. In this paper, we design an AI component abstract model that supports the second-generation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the third-generation SNN(Spiking Neural Network), and implemented an autonomous IoT IDE based on the proposed model. IoT developers can automatically create AI components through the proposed technique without knowledge of AI and SNN. The proposed technique is flexible in code conversion according to runtime, so development productivity is high. Through experimentation of the proposed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version delay time due to the VCL(Virtual Component Layer) may occur, but the difference is not significant.

AI-Based Particle Position Prediction Near Southwestern Area of Jeju Island (AI 기법을 활용한 제주도 남서부 해역의 입자추적 예측 연구)

  • Ha, Seung Yun;Kim, Hee Jun;Kwak, Gyeong Il;Kim, Young-Taeg;Yoon, Han-S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4 no.3
    • /
    • pp.72-81
    • /
    • 2022
  • Positions of five drifting buoys deployed on August 2020 near southwestern area of Jeju Island and numerically predicted velocities were used to develop fiv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odels (AI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particle tracks. Five AI models consisted of three machine learning models (Extra Trees, LightGBM, and Support Vector Machine) and two deep learning models (DNN and RBFN). To evaluate the prediction accuracy for six models, the predicted positions from five AI models and one numerical model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positions from five drifting buoys. Three skills (MAE, RMSE, and NCLS) for the five buoys and their averaged values were calculated. DNN model showed the best prediction accuracy in MAE, RMSE, and NCLS.

State Visualization Design of AI Speakers using Color Field Painting (색면추상 기법을 통한 AI 스피커의 상태 시각화 디자인 연구)

  • Hong, Seung Yoon;Choe, Jo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2
    • /
    • pp.572-580
    • /
    • 2020
  • Recently released AI speakers show a pattern of interacting with the user by mainly with voice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simple and formal visual feedback through status LED light. This i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product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nteract variously, and even such visual feedback is not standardized for each product, and thus does not give a consistent user experience. By maximizing the visual elements that can be expressed through color and abstract movement to assist voice feedback, the product can provide the user with an extended experience that includes not only functional satisfaction but also emotional satisfaction. In this study, after analyzing the interaction methods of the existing AI speakers, we examined the theory of color communication in order to expand the visual feedback effect, and examined the meaning and expression technique of Color Field Painting, an art genre that maximizes the emotional experience by using only color. Through this, the AI speaker's visual communication function was expanded by designing a way to feedback communication status using LED light.

Deep Analysis of Causal AI-Based Data Analysis Techniques for the Status Evaluation of Casual AI Technology (인과적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석 기법의 심층 분석을 통한 인과적 AI 기술의 현황 분석)

  • Cha Jooho;Ryu Minwoo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v.19 no.4
    • /
    • pp.45-52
    • /
    • 2023
  • With the advent of deep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has experienced rapid advancements, extending its application across various industrial sectors. However, the focus has shifted from the independent use of AI technology to its dispersion and proliferation through the open AI ecosystem. This shift signifies the transition from a phas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o an era where AI technology is becoming widely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However, as this dispersion continue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the verification of outcomes derived from AI technologies. Causal AI applies the traditional concept of causal inference to AI, allowing not only the analysis of data correlations but also the derivation of the causes of the results, thereby obtaining the optimal output values. Causal AI technology addresses these limitations by applying the theory of causal inference to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to derive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This paper analyzes recent cases of causal AI technology and presents the major tasks and directions of causal AI, extracting patterns between data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production technique of observing variety program using AI-based reframing technology (AI 기반 리프레이밍 기술을 이용한 관찰예능 제작 기법)

  • Lee, Yoon Jae;Choi, Sung Woo;Hong, Min Soo;Lee, Yong Gun;Hong,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253-1255
    • /
    • 2022
  • 예능 프로그램에서 관찰예능 포맷은 널리 사용되는 형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AI기반 리프레이밍 기술을 활용하는 새로운 관찰 예능 제작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방식은 실제 방송프로그램 KBS2 신상출시 편스토랑에 적용되었다. 연구의 조건에 부합하는 촬영 장비의 기능조건과 조사결과를 다룬다. 센서타입와 연속녹화시간은 장비선정에 있어 핵심 고려요소로 나타났다. 시스템 구성은 제작 워크플로우에 따라 촬영파트와 편집파트로 나누어 소개한다. 촬영파트는 실제 제작현장의 기록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편집파트의 경우 자체 개발한 편집도구로 이루어지며, 핵심모듈인 AI엔진과 고속렌더링모듈에 대한 소개를 하였다. 향후 최신 촬영 장비의 도입, 처리성능의 향상 등을 통해 제안방식의 적용처를 넓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I methodologies for Tetris Game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테트리스 AI 기법의 설계 및 구현)

  • Park, Jong-Kir;Lee, Seong-Sil;Choi, Kyoung-Am;Choi, Jun-Hyeok;Kim, Ji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805-807
    • /
    • 2017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스로 테트리스 게임을 플레이하는 AI 기법을 제안한다. 테트리스에 필요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각 요소마다 가중치를 곱한 값을 통해 블록을 이동시킬 자리를 정한다. 해당 알고리즘은 8가지의 고려 요소를 가지며, 각 요소별 최적의 가중치를 구하기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직접 설계 제작한 테트리스로 게임을 정확하게 진행해 나가는가를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 기법에 따라 테트리스를 진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State Normalization and Dense Reward Based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 in Basketball Game. (농구 게임에서 상태 정규화 및 Dense 보상 기반 강화 학습 기법)

  • Choi, Taehyeok;Cho, Ky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475-477
    • /
    • 2022
  • 최근 강화 학습을 적용한 게임 AI 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상용게임은 유한 상태 머신(Finite State Machine, FSM)을 이용한 스크립트 기반 AI 를 사용하기 때문에 복잡한 환경의 게임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인해 적절한 강화 학습의 수행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용 게임 강화 학습 적용을 위하여 상태 정규화 및 Dense 보상 기반 강화 학습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을 상용 농구 게임에 적용하고 학습된 모델의 성능을 기존 FSM 기반 AI 와 비교를 통해 성능이 약 80% 증가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Multifaceted Evaluation Methodology for AI Interview Candidates - Integration of Facial Recognition, Voice Analysis,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I면접 대상자에 대한 다면적 평가방법론 -얼굴인식, 음성분석, 자연어처리 영역의 융합)

  • Hyunwook Ji;Sangjin Lee;Seongmin Mun;Jaeyeol Lee;Dongeun Lee;kyusang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55-58
    • /
    • 2024
  • 최근 각 기업의 AI 면접시스템 도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AI 면접에 대한 실효성 논란 또한 많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AI 면접 과정에서 지원자를 평가하는 방식을 시각, 음성, 자연어처리 3영역에서 구현함으로써, 면접 지원자를 다방면으로 분석 방법론의 적절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첫째, 시각적 측면에서, 면접 지원자의 감정을 인식하기 위해, 합성곱 신경망(CNN) 기법을 활용해, 지원자 얼굴에서 6가지 감정을 인식했으며, 지원자가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는지를 시계열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지원자가 면접에 임하는 태도와 특히 얼굴에서 드러나는 감정을 분석하는 데 주력했다. 둘째, 시각적 효과만으로 면접자의 태도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원자 음성을 주파수로 환산해 특성을 추출하고, Bidirectional LSTM을 활용해 훈련해 지원자 음성에 따른 6가지 감정을 추출했다. 셋째, 지원자의 발언 내용과 관련해 맥락적 의미를 파악해 지원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음성을 STT(Speech-to-Text) 기법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사용 단어의 빈도를 분석하여 지원자의 언어 습관을 파악했다. 이와 함께, 지원자의 발언 내용에 대한 감정 분석을 위해 KoBERT 모델을 적용했으며, 지원자의 성격, 태도, 직무에 대한 이해도를 파악하기 위해 객관적인 평가지표를 제작하여 적용했다. 논문의 분석 결과 AI 면접의 다면적 평가시스템의 적절성과 관련해, 시각화 부분에서는 상당 부분 정확도가 객관적으로 입증되었다고 판단된다. 음성에서 감정분석 분야는 면접자가 제한된 시간에 모든 유형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또 유사한 톤의 말이 진행되다 보니 특정 감정을 나타내는 주파수가 다소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연어처리 영역은 면접자의 발언에서 나오는 말투, 특정 단어의 빈도수를 넘어, 전체적인 맥락과 느낌을 이해할 수 있는 자연어처리 분석모델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음을 판단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