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F

검색결과 948건 처리시간 0.036초

헤어리베치 신품종 조생종 콜드그린과 중만생종 청파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New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Early-Maturing "Cold Green" and Medium-Late Maturing "Cheong Pa")

  • 신정남;고기환;김종탁;이종경;서성;성병렬;최기준;김종덕;오명곤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57-262
    • /
    • 2007
  • 본 시험의 목적은 대구 경북에 자생하는 헤어리베치로 다수성 조생품종과 중만생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경북 성주와 경남 사천에서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자료수집 및 순화, 생육이 왕성한 조생 및 중만생계통 선발, 상호교잡의 단순순환선발법으로 조생종인 콜드그린과 중만생종인 청파를 육성하였다. 육성종자는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경북성주와 경남사천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을 평가하였다. 줄기의 털은 콜드그린과 청파는 있었으나, 헤이메이커프러스와 라티고는 없었다. 잎의 모양은 콜드그린은 엽폭이 넓은 장타원형이고, 청파, 헤이메이커프러스, 라티고는 좁은 장타원형이었다. 꽃색은 콜드그린은 자주색이고 청파는 보라색이었다. 내한성은 성주에서 콜드그린, 청파, 라티고가 헤이메이커프러스 보다 높았으며 사천에서는 차이가 적었다. 개화기는 콜드그린과 헤이메이커프러스가 조생종으로 유사했고 중만생종인 청파는 라티고 보다 다소 빨랐다. 성주에서 건물수량은 콜드그린이 다른 품종 보다 높았으며 청파와 헤이메이커프러스는 라티고 보다 높았다(P<0.05). 2005년 사천에서는 콜드그린과 헤이메이커프러스는 다른 품종보다 높았으며, 청파는 라티고 보다 높았다(P<0.05). 베치의 조단백질 함량은 높고 ADF의 함량은 낮았다.

톨 페스큐 신품종 '그린마스터2호'의 품종 특성 및 수량성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Tall fescue Variety 'Greenmaster2ho')

  • 이상훈;김기용;지희정;황태영;박형수;채현석;이기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6-30
    • /
    • 2015
  • 본 시험은 엔도파이트 프리 톨 페스큐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 학원 초지사료과에서 수행되었다. 톨 페스큐 신품종 '그린마스터2호'는 6배체 품종으로서 잎은 녹색이며, 출수기가 5월 16일경으로서 대비품종인 'Fawn' 보다 5일 늦은 중생품종이고, 출수기에 초장은 82.5 cm 정도이다. 지역적응시험 4개 지역평균 건물수량은 '그린마스터2호'가 15.1톤/ha로서 대비품종인 'Fawn' 보다 29% 많았으며, 지역별로는 4개 지역 모두에서 'Fawn' 보다 생산성이 우수하였다. '그린마 스터2호'의 사료가치는 조단백질(CP) 함량이 13.9%, 건물소화율(IVDMD)이 69.9%, 가소화양분총량(TDN)이 63.8%, 중성세제불용섬유(NDF)가 59.4%, 산성세제불용섬유(ADF) 는 33.5%로서 Fawn과 대등하였다. '그린마스터2호'는 엔도파이트에 감염되지 않는 품종이면서 'Fawn' 보다 국내 기후환경 적응성과 영속성이 우수하여 초지조성에 알맞은 품종으로서 우리나라 전국에서 재배 가능하다.

백수 벼의 사일리지의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Study on Nutritive Values of White Panicled Rice Silage)

  • 김원호;류재혁;김다혜;박형수;정민웅;서성;최기준;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5-130
    • /
    • 2012
  • 본 연구는 전남 신안군 비금도 간척 논에서 백수현상이 나타난 벼를 조사료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백수 벼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및 유기산 등 품질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벼 백수현상이 가장 심한지역의 총체 벼의 수량은 정상지역보다 약 800 kg/ha 정도 감소되었다. 그리고 벼 백수현상이 가장 심한지역에서의 총체 벼의 조단백질 함량 및 TDN 함량은 벼 백수현상이 없는 정상생육 지역 보다 약간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ADF 및 NDF 함량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p<0.05). 벼 백수현상이 가장 심한지역과 정상지역의 총체 벼 사일리지 pH는 4.0~5.0을 나타냈으며 젖산균 접종에 의해 pH가 저하되었다. 벼 백수지역과 정상생육 지역 모두 젖산균 접종에 의해 젖산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초산과 낙산함량은 감소되었다(p<0.05). Flieg법에 의한 총체 벼 사일리지의 품질등급은 젖산균을 접종함으로써 2~3단계 상승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백수현상이 나타난 벼도 조사료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Effects of Cultivars and Seeding Dates on Chemical Composition and Energy Content of Switchgrass (Panicumvirgatum L.) in Republic of Korea

  • Ji, Do-Hyeon;Kim, Byong-Wan;Sargolzehi, Mohammad Mahdi;Kang, Shin-Gon;Lee, Bae-Hun;Peng, Jing-Lun;Nejad, Jalil Ghassemi;Min, Doo-Hong;Sung, Kyung-Il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9-186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best performing switchgrass (Panicumvirgatum L.) cultivar with three different seeding dates as a bioenergy source in Republic of Korea. Split-plot in time with three replications was performed and three switchgrass cultivars, Carthage (CT), Cave-in-Rock (CIR), and Forestburg (FB)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from 2009 to 2012. Plots were seeded on April 23, May 4, and May 13, 2009 and were harvested once in November each year. No fertilizer was applied to the field for the first year; however, in second and third years (June 2010 and May 2011, respectively), N, $P_2O_5$ and K2O fertilizers were applied in 67,45 and 90 kg $ha^{-1}$, respectively. Soil pH (5.9) and climate condition including temperature ($10.4{\sim}17.5^{\circ}C$) and precipitation (89.4~109.8 mm $month^{-1}$) were suitable for switchgrass cultivation. Total dry matter yields were higher in CT and CIR compared to FB and were 16.9, 15.9, and 4.5 ton $ha^{-1}$, for CT, CIR, and FB, respectively (p<0.0001).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crude fiber (CF), ether extract (EE), and as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ergy content (p = 0.96) and chemical composition among cultivars (p>0.05) were found. Seeding dates did not affect DM yield (ton $ha^{-1}$), chemical composition and energy content significantly (p>0.05).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or heights among CT, CIR, and FB (177.59, 169.98, and 94.89 cm, respectively, p = 0.0002). In conclusion, based on soil characteristics and climate condition in Korea compared to other countries, switchgrass can be cultivated successfully. Considering dry matter yield and energy content of these three cultivars of switchgrass CT and CIR adapted better to climate in Middle Eastern of Republic of Korea than Forestburg for bioenergy purpose.

수확시기와 품종이 춘파연맥의 생육특성 ,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Harvesting Date and Cultivar Effect on the Growth Charateristics , Forage Yield and Quality of Spring Sown Oats)

  • 김종근;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7-256
    • /
    • 1994
  • 본 시험은 수확시기 및 품종이 춘파연맥(Avena sativea L.)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3년 3월 22일부터 6월 20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수확시기로서 조기(5월 24일), 중기(6월 8일)및 만기(6월 20일)를 주구로 하고, 품종(Speed oat, Cayuse, Foothill, Sv841034, Magnum)을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종에 따른 출수시작일은 조생품종의 경우 파종후 50일, 중, 만생품종은 평균 82일후에 출수가 시작되었다. 2. 연맥의 건물함량은 Speed oat가 조기, 중기 및 만기 수확시 13.6, 18.1 및 19.9%로 높았던 반면 중, 만생품종은 만기 tnghkrtlRK지 14.1~15.6%로 낮았다. 3. CP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생육이 진행된에 따라 평균 19.7%에서 10.0%로 감소되었으며 조기 수확기에서만 중, 만생품종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4. 연맥의 ADF, NDF함량은 중, 만생품종에서 수확이 지연됨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나 조생품종에서는 만기 수확기에서 오히려 감소하였다. 5. In vitro건물소화율도 중, 만생품종에서 수확이 지연됨에 따라 계속 감소하였으나 조생품종은 만기수확기에서 증가하였다. 6. 매 수확시기별 ha당 평균 건물수량은 4,020kg에서 8,851kg으로 나타나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며 품종간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7. 평균 조단백질 수량은 모든 수확시기에서 중, 만생품종이 더 높게 나타났다. 조기 및 만기는 수확시는 Sv841034가 838 및 945kg으로 중기 수확시는 Cayuse가 996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IVDDM 수량은 수확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며 중, 만생품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확시기간의 유의성만 인정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조생 연맥품종은 건초 제조 적기인 5월 하순~6월 상순에 사초의 건물함량이 중생 및 만생 연맥품종보다 높기 때문에 건초생산이 전제가 되는 곳에서는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 PDF

보리 품종간 혼파 비율에 따른 수량과 사료적 가치 (Effect of Mixed Seeding Types and Ratios of Whole Crop Barley for High Yield and Feed Value)

  • 송태화;박태일;오영진;한옥규;박형호;현종내;권영업;김경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58-463
    • /
    • 2015
  • 사료용으로 개발된 청보리 품종들은 일반 곡실용 보리품종에 비해 조사료 생산량이 30%이상 증수하고 가축선호성이 우수한 품종이다. 이러한 사료용 전용품종을 이용하여 품종이 가지고 있는 생육특성별 단점을 보완한 품종간 혼파 재배기술의 개발을 통한 군락공간의 최대 활용 및 영양가치 등을 고려한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최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양보리는 직립초형이고 다수성이며, 유연보리는 삼차망이면서 키가 크고, 다미보리는 무엽이 특성이 있고, 우호보리는 포복형이면서 키가 크고 매끈망을 지니고 있다. 소만보리는 숙기가 빠르고, 분얼이 많은 특성이 있다. 2조보리인 호품보리는 청보리에 비해 등숙이 빠르고 분얼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품종을 이용하여 청보리 최적 혼파 조합을 선발하고자 시험조사한 결과, 영양50+호품50 조합, 유연70+호품30 조합, 다미50+호품50 조합이 가장 좋았고, 이 중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인 조합은 유연70+호품30 조합이었다. 품질특성면에서는 조단백함량이 높고, NDF와 ADF 수치가 낮고, TDN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품질로 인정받는데 품종간의 조합 중 유연보리와 호품보리, 다미보리와 호품보리 조합이 우수한 성적을 나타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화산 104호'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Growth Characters and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 New Variety 'Hwasan 104')

  • 최기준;임용우;성병렬;임영철;김맹중;김기용;박근제;박남건;홍윤기;김상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75-280
    • /
    • 2005
  • 본 시험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내한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축산기술연구소 초지사료과에서 수행되었으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화산 104호"는 2002년 직무육성신품종선정심의회에서 명명되었다. "화산 104호"는 4배체 품종으로서 엽의 색은 농녹이며, 월동전 초형은 반부복형, 봄의 초형은 중간형이다. 특히, "화산 104호"는 "화산 101호" 보다 지엽의 폭과 길이가 넓고 길며, 초장이 105cm로 화산 101호 보다 7cm 정도 길고, 줄기의 두께는 화산 101호에 비하여 두꺼운 특성을 갖고 있다. 화산 104호의 내한성은 기존 내한성 품종인 화산 101호 보다 다소 강한 품종이었다. 화산 104호의 건물수량은 9,857 kg/ha로서 화산 101호 보다 $5\%$ 많았다. "화산 104호"의 사료가치는 in vitro 소화율이 $74.3\%$,가 소화양분 총량 (TDN)이 $63.1\%$로서 화산 101호보다 $1.5\%$ 낮고, 산성세제불용섬유(ADF)와 중성세제불용섬유(NDF)는 32.6 및 $55.8\%$로서 "화산 101호"보다 각각 1.9 및 $2.4\%$ 높았다.

사료자원으로서 Chufa (Gyperus esculentus L.)의 생장특성과 사료가치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Chufa (Cyperus esculentus L.) for Forage Resource)

  • 이성규;황의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
    • /
    • 2002
  • Chufa(Cyperus esculentus L.)는 고온성 사초과 식물의 일종으로 여름기간에 잘 자란다. 지상부는 주로 잎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부는 수염뿌리가 뭉쳐 나있고 끝에 괴경이 달린다. 파종 당년에는 출수가 되지 않고 괴경을 많이 생산한다. 번식은 괴경에서 분얼이 많이 나오는 영양번식을 하며 이 분얼이 다발모양(bunch type)의 포기를 형성한다. 성숙기의 초고는 73~75cm 전후이며 7월 중순에 거의 성장이 완료된다. 포기당 분얼의 수는 7월말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8월 이후는 서서히 증가하지만 생장이 빈약하였다. 지상부의 최종 생초수량은 40.3ton/ha, 건물수량은 12.2ton/ha이다. 재생력은 생장초기에는 강하지만 2회 예취후는 재생력이 급격히 떨어진다. 무예취구에서 최종 수확기의 포기당 괴경의 수는 722개, 1$m^2$ 당 생체량은 4.2kg, 건물량은 1.9kg이었다. 예취구의 경우 괴경의 생산량은 예취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8월 이후에는 이미 괴경생산이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보였다. chufa의 영양생장기 지상부 사료가치는 우수하였으나 생장이 진행될수록 낮아졌다. 최종 수확한 지상부의 조단백질, NDF, ADF, DMD, TDN 함량은 각각 6.1%, 81.5%, 39.8%, 33.2%39.40%, 괴경의 영양성분은 각각 6.0%, 68.3%, 15.5%, 50%, 51.8%였으며, 특히 지방 함량은 16.2%로 높았다.

동계사료작물 사일리지를 첨가한 TMR 급여가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Total Mixed Rations Containing Different Winter Forage Crop Silages o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Korean Black Goats)

  • 정기웅;조익환;황보순;이성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9-398
    • /
    • 2009
  • 본 연구는 동계사료작물 사일리지를 첨가한 TMR을 급여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 섭취량, 일당 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동계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의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를 4처리구(T1: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 T2: 유채사일리지 첨가구, T3: 호밀 사일리지 첨가구 및 T4: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첨가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개체별 대사케이지 에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 두당 건물, 유기물 및 조단백질 섭취량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조단백질 및 ADF 가소화 섭취량 또한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p<0.05). 1일 증체량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 호밀 사일리지 첨가구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첨가구가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건물, 조단백질 및 섬유소 소화율은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질소섭취량과 질소축적율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동계사료작물 중 유채 사일리지 첨가시 사료 섭취량 및 질소 축적율 증가로 인해 흑염소의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rediction of 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Parameters in Forage Sorghum and Sudangrass Silage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 Park, Hyung-Soo;Lee, Sang-Hoon;Choi, Ki-Choon;Kim, Ji-Hye;So, Min-Jeong;Kim, Hyeon-Seop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7-263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otential of using NIRS to accurately determine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parameters in fresh coarse sorghum and sudangrass silage. Near Infrared Spectroscopy (NIRS) has been increasingly used as a rapid and accurate method to analyze the quality of cereals and dried animal forage. However, silage analysis by NIRS has a limitation in analyzing dried and ground samples in farm-scale applications because the fermentative products are lost during the drying process. Fresh coarse silage samples were scanned at 1 nm intervals over the wavelength range of 680~2500 nm, and the optical data were obtained as log 1/Reflectance (log 1/R). The spectral data were regressed, using partial least squares (PLS) multivariate analysis in conjunction with first and second order derivatization, with a scatter correction procedure (standard normal variate and detrend (SNV&D)) to reduce the effect of extraneous noise. The optimum calibration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minimizing the standard error of cross validation (SECV).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NIRS predicted the chemical constituents with a high degree of accuracy (i.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cross validation ($R^2{_{cv}}$) ranged from 0.86~0.96), except for crude ash which had an $R^2{_{cv}}$ of 0.68. Comparison of the mathematical treatments for raw spectra showed that the second-order derivatization procedure produced the best result for all the treatments, except for neutral detergent fiber (NDF). The best mathematical treatment for moisture, acid detergent fiber (ADF), crude protein (CP) and pH was 2,16,16 respectively while the best mathematical treatment for crude ash, lactic acid and total acid was 2,8,8 respectively. The calibrations of fermentation products produced poorer calibrations (RPD < 2.5) with acetic and butyric acid. The pH, lactic acid and total acids were predicted with considerable accuracy at $R^2{_{cv}}$ 0.72~0.77. This study indicated that NIRS calibrations based on fresh coarse sorghum and sudangrass silage spectra have the capability of assessing the forage quality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