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UAL VEGETATION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32초

광주광역시 도시림의 현존식생과 식생구조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Urban Forest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 이규완;오구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8-156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urban forest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Thirty eight plots in the urban forest were set up by the clumped sampling method.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6 that is artifical planting area covered 10.9%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vered 48.7% of the actual vegetations of urban forest. Canopy height, Diameter of breast height (DBH) and No. of species in urban forest were 13.5m, 21cm and 24 species, respectively. The soil conditions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urban forest were differenced by location of urban and suburban area. The plant communities divided into six groups which were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 acutissima-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Pinus rigida Community, P. rigida-P. densiflora community, P. densifrora-Q. acutissima community and Q, serrata-P. densiflora community. Successional series of the urban forest in the surveyed area were proceeding from P. dinsiflora to Quercus species. The species diversity of plant were high in natural plant community but low in artificial plant community. Tree density in the canopy layer varied from 600ea/ha to 2,800ea/ha.

  • PDF

백두대간 만복대-복성이재 구간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the Baekdudaegan from the Manbokdae to the Bokseongijae, Korea)

  • 오구균;최송현;나경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34
    • /
    • 2003
  • 지리산국립공원 만복대에서 남원시 복성이재까지의 백두대간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를 2002년에 조사하였다. 조사구간의 현존식생은 총 17개 식물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 2차림은 10개의 식물군락, 일본잎갈나무림, 잣나무림, 밤나무림 등 인공림은 6개의 산림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도로비탈면이나 훼손지에서 과거에 조림한 일본잎갈나무와 잣나무의 치수가 활착하고 있었다. 조사구간의 녹지자연도는 8등급이 약 64%(9,113ha)로 넓게 분포하였고, 9등급이 9.58%(1,349ha)로 나타났다. 백두대간상 녹지자연도 1, 2등급이 7.65%(1,078ha)로 덕치리와 매요리 등에서 나타났다.

지리산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식생 (The Actual Vegetation of Nature Ecology Con-servation Area in Mt. Chiri)

  • 김준선;김갑태;주혜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24
    • /
    • 1991
  • 지리산 국립공원중 반야봉을 중심으로 피아골과 심원계곡을 포함하는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43개 조사지의 종조성 및 식생상관에 의하여 삼림군집을 구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지리산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식생은 냉온대남부에서 아한대에 이르기까지 13개의 삼림군집이 형성되었으며 확인된 삼림군집은 다음과 같다. 1. 졸참나무군집 2. 서어나무군집 3. 졸참나무-서어나무군집 4. 노각나무군집 5. 고로쇠나무군집 6. 까치박달나무군집 7. 들메나무군집 8. 개서나무군집 9. 소나무군집 10. 신갈나무군집 1) 신갈나무-철쭉 하위군집 2) 신갈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11. 분비나무군집 12. 구상나무군집 1) 구상나무-신갈나무 하위군집 2) 구상나무-잣나무 하위군집 13. 철쭉군집 확인된 삼림식생중에서 졸참나무군집은 해발 700m에서 1,000m에 분포하였으며 서어나무군집, 개서나무군집은 동지역의 계곡부에 분포하였다. 해발 1,000m에서 1,400m에는 신갈나무군집이 그 이상 1,700m까지에는 구상나무군집, 분비나무군집등 아고산대림이 발달하였다.

  • PDF

치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 사정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n The Actual Vegetation and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 김용식;김갑태;김준선;임경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8
    • /
    • 1988
  • 치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식생상관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녹지자연도 조사에 관한 사정기준에 따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악산의 현존식생은 농경지와 인공 조림지를 포함하여 모두 11개의 식생군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소나무 군집이 36.83%로 가장 넓었으며, 신갈나무 군집이 22.35%. 소나무-신갈나무 군집이 7.37%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와 신갈난무의 순림 또는 이 수종에 의한 혼효림은 총 면적의 74.50%로 거의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한편 치악산의 녹지 자연도 등급은 자연성이 높은 녹지 자연도 9가 전체의 35.9%로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녹지 자연도 8은 28.5%를 차지하여, 결과적으로 볼 때에 현재 치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자연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월악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관리 (Actual Vegetation and Management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

  • 오구균;박상규;심항용;김태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9-129
    • /
    • 2005
  • 월악산국립공원의 현존식 생 및 녹지자연도와 조경수목 식재현황을 2004년에 조사하였다. 월악산국립공원의 현존식 생은 총 12개의 식물군락과 기타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림, 침활혼효림 등 자연림은 8개 군락으로, 일본잎갈나무림, 잣나무림 등 인공림은 3개 산림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조사지역의 녹지자연도는 8등급 지역이 약$73.08\%$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고, 9등급 지역이 약$11.32\%$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의 조경수목 식재현황은 총 44과 129종류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약 $65.65\%$가 외래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