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O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31초

옥외공간에서 수목의 다기능을 고려한 최적의 배식 위치 선정 모델 - 수목의 그림자 효과, 시야차단, 개방성을 고려하여 - (Optimal tree location model considering multi-function of tree for outdoor space - considering shading effect, shielding, openness of a tree -)

  • 박채연;이동근;윤은주;모용원;윤준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2
    • /
    • 2019
  • Open space planners and designers should consider scientific and quantified functions of trees when they have to locate where to plant the tree. However, until now, most planners and designers could not consider them because of lack of tool for considering scientific and quantitative tree functions. This study introduces a tree location supporting tool which focuses on the multi-objective including scientific function using ACO (Ant colony optimization). We choose shading effect (scientific function), shielding, and openness as objectives for test appl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when the user give a high weight to a particular objective, they can obtain the optimal results with high value of that objective. When we allocate higher weight for the shading effect, the tree plans provide larger shadow value. Even when compared with current tree plan, the study result has a larger shading effect plan. This result will reduce incident radiation to the ground and make thermal friendly open space in the summer. If planners and designers utilize this tool and control the objectives, they would get diverse optimal tree plans and it will allow them to make use of the many environmental benefits from trees.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과 최적 경로 탐색을 통한 멀티 재난 드론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Disaster Drone System using Deep Learning-based Object Recognition and Optimal Path Planning)

  • 김진혁;이태희;박종현;정예림;장서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56-559
    • /
    • 2020
  • 최근 태풍, 지진, 산불, 산사태, 전쟁 등 다양한 재난 상황으로 인한 인명피해와 자금 손실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고 현재 이를 예방하고 복구하기 위해 많은 인력과 자금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러 재난 상황을 미리 감시하고 재난 발생의 빠른 인지 및 대처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기반의 재난 드론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이 감시하기 힘든 지역에 여러 대의 재난 드론을 이용하며 딥러닝 기반의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해 각각의 드론이 최적의 경로로 효율적 탐색을 실시한다. 또한 드론의 근본적 문제인 배터리 용량 부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Ant Colony Optimization (ACO) 기술을 이용하여 각 드론의 최적 경로를 결정하게 된다. 제안한 시스템 구현을 위해 여러 재난 상황 중 산불 상황에 적용하였으며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불지도를 만들고, 빔프로젝터를 탑재한 드론이 출동한 소방관에게 산불지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었다.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여러 대의 드론이 최적 경로 탐색 및 객체인식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재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재난 드론 인프라를 구축하고 조난자 탐색(바다, 산, 밀림), 드론을 이용한 자체적인 화재진압, 방범 드론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한국산 살모사속(뱀과) 2종의 지리적 변이 및 종간 잡종 (Geographic Variation and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Two Species of the Genus Agkistrodon (Crotalidae) in Korea)

  • 백남극;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5권1호
    • /
    • pp.77-88
    • /
    • 1989
  • 한국산 살모사속 (Agkistrodom) 2종의 유전적, 형태적 및 종간잡종 형성 유.무를 구명하기 위하여 남한의 7개 지역에서 147개체를 채집하여 전기영동 및 형태형질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5개의 성소 및 단백질에서 19개의 유전자를 검출하여 유전적 변이를 조사한 바 5개 유전자(26.3%)는 종간 및 집단간에 전혀 차이가 없었고 나머지 14개의 유전자중 4개 유전자는 매우 높은 률의 유전적 변이를 나타내었다. 2. 각 집단의 유전적 변이정도를 산출한 결과 A. b. brevicaudus는 평균 A= 1.55, P=42.1%, HD=0.096 및 HG=0.1l5였고 A .ussuriensis는 A= 1.45, P=31.6%, HD=0.1l7 및 HG=0.122로서 타 파충류에 비하여 높은 유전적 변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이들 종의 집단이 크고 안정된 상태에 있다고 사료된다. 3. 형태적으로 2종의 중간형으로 여겨졌던 제주집단은 강릉집단의 A .ussuriensis와 동일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종간 잡종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4. 2종간의 유전적 근록치는 S=0.662로서 이들은 약 180만년전에 분화되었으리라 추산된다.

  • PDF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황정 추출물의 지방질 및 에너지 대사 관련 유전자에 대한 효능 연구 (Effects of Polygonatum sibiricum rhizome extract on lipid and energy metabolism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전우진;김지영;오익훈;이도섭;손서연;서윤지;연승우;강재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2-202
    • /
    • 2017
  • 황정 주정 추출물 ID1216의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확인하고자 단백질과 mRNA 수준에서 지질 및 에너지 대사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지표들 간의 상호 작용 및 ID1216의 조절 여부에 관해 Fig. 10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ID1216은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체중 증가 억제를 나타내었으며, 비만 대사 관련 pathway의 상위 유전자로 사료되는 SIRT1과 AMPK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화된 SIRT1과 AMPK는 $PGC1{\alpha}$의 활성화에 관여하고, 이를 통해 열 발산 대사와 관련된 UCP 단백질과 핵 수용체 단백질인 $PPAR{\alpha}$의 발현이 백색지방, 갈색지방, 간 및 근육에서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각 조직 별로 RT-PCR을 진행한 결과에서는 $PPAR{\alpha}$의 하위 유전자인 aP2, ACO, Acadl, Acadm, CPT1a, CPT1b의 mRNA 발현 수준을 향상시켜 주어 ID1216이 지방산 산화 대사인 ${\beta}$-oxidation의 활성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와는 별개로 ID1216은 중성지질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ATGL의 mRNA 발현 또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ID1216이 조직에 따라 지질 및 에너지 대사와 관련된 인자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체중 조절에 효과적인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만 치료제와의 기전적 차별성과 생약 특유의 섭취 안전성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조절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도 충분히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nadione Sodium Bisulfite-Protected Tomato Leaves against Grey Mould via Antifungal Activity and Enhanced Plant Immunity

  • Jo, Youn Sook;Park, Hye Bin;Kim, Ji Yun;Choi, Seong Min;Lee, Da Sol;Kim, Do Hoon;Lee, Young Hee;Park, Chang-Jin;Jeun, Yong-Chull;Hong, Jeum 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4호
    • /
    • pp.335-345
    • /
    • 2020
  • Tomato grey mould has been one of the destructive fungal diseases during tomato production. Ten mM of menadione sodium bisulfite (MSB) was applied to tomato plants for eco-friendly control of the grey mould. MSB-reduced tomato grey mould in the 3rd true leaves was prolonged at least 7 days prior to the fungal inoculation of two inoculum densities (2 × 104 and 2 × 105 conidia/ml) of Botrytis cinerea. Protection 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eaves inoculated with the lower disease pressure of conidial suspension compared to the higher one. MSB-pretreatment was not effective to arrest oxalic acid-triggered necrosis on tomato leaves. Plant cell death and hydrogen peroxide accumulation were restricted in necrotic lesions of the B. cinereainoculated leaves by the MSB-pretreatment. Decreased conidia number and germ-tube elongation of B. cinerea were found at 10 h, and mycelial growth was also impeded at 24 h on the MSB-pretreated leaves. MSB-mediated disease suppressions were found in cotyledons and different positions (1st to 5th) of true leaves inoculated with the lower conidial suspension, but only 1st to 3rd true leaves showed decreases in lesion sizes by the higher inoculum density. Increasing MSB-pretreatment times more efficiently decreased the lesion size by the higher disease pressure. MSB led to inducible expressions of defence-related genes SlPR1a, SlPR1b, SlPIN2, SlACO1, SlChi3, and SlChi9 in tomato leaves prior to B. cinerea inf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SB pretreatment can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chemical fungicides for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of tomato grey mould.

Xen에서 메모리 이용률 향상을 위한 동적 할당 기법 (A Dynamic Allocation Scheme for Improving Memory Utilization in Xen)

  • 이권용;박성용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7권3호
    • /
    • pp.147-160
    • /
    • 2010
  • 최근 서버의 통합을 통해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가상화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시스템 가상화 기술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시스템 자원을 활용하고 가상화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CPU 측면에서 동적으로 가상머신에 할당된 양을 조절하거나 마이그레이션 기능을 활용하여 머신 간 자원 관리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메모리 측면에서는 그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서버 통합에서의 메모리 자원의 이용은 가상머신 탑재 시에 정적으로 할당된 메모리를 사용하는 수준에서 머물고 있다. 하지만 본 논문의 성능 비교 환경인 Xen 가상화에서 가상머신에 정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하는 방식은 유휴메모리를 다량 발생시켜 메모리 이용률을 낮추게 된다. 메모리 이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가상머신에 할당하는 메모리양을 줄일 경우 다른 시스템 자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가상머신에서 운영되는 서비스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머신 사이의 메모리 할당량을 조절하여 가상머신의 서비스에 성능저하가 없으면서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모리의 동적 할당을 제안한다. 메모리 사용량 예측을 위한 AR 모델과 메모리 이용률 최적화를 위한 개미 군집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구현한 메모리의 동적 할당 시스템을 통하여 정적 할당의 경우에 비하여 더 많은 수의 가상머신을 운영할 수 있게 되고 서버로 운영되는 가상머신의 서비스 성능 저하 없이 약 1.4배의 이용률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가미한다열소탕(加味寒多熱少湯)이 고지방식이 비만생쥐의 체지방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i-Handayeolso-Tang on Body Fat Reduction in High Fat Diet-Fed Obese Mice)

  • 이하일;이종하;권영미;송용선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31
    • /
    • 2016
  • Objectives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Gami-Handayeolso-Tang (HDYST) medication has anti-obesity effects in high fat diet (HFD)-fed obese mice. Methods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normal diet-fed (ND), high fat diet-fed control (HFD), HFD+HDYST 150, HFD+HDYST 300, and HFD+orlistat as a positive drug. The obese markers such as body weight, diet efficiency ratio,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ipid contents, leptin, adiponectin, and GOT/GPT were measured. Also, white adipose tissue, liver weight, abdominal fat mass, hepatic lipid contents, and mRNA expression of obese-associating genes were examined in obese mice. Results In high fat diet-fed mice, HDYST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diet efficiency ratio,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as well as leptin and GOT/GPT, compared to the HFD group in a dose-dependent manner. HDYST increased significantly the serum levels of HDL-cholesterol and adiponectin. It also reduced the accumulation of lipids, such as total lipid and triglycerides, in organs such as liver and abdominal adipose tissue. Moreover, HDYST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fatty acid synthetic genes, such as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FAS and Stearoyl-Coenzyme A desaturase 1 (SCD-1), in the liver tissues, while it increased the messenger RAN (mRNA) levels of fatty acid catalytic gene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alpha (PPAR-${\alpha}$), acyl-COA oxidase (ACO), and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a (CPT-1a).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bove, HDYST reveals anti-obesity effects declining body fat accumulat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fatty acid metabolism and leptin/adiponectin serum levels. It therefore suggests that HDYST can be clinically useful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Allyl Isothiocyanate (AITC) Adsorbed in Oyster Shell on Food-borne Bacteria

  • Han, Jung-Ho;Ahmed, Raju;Chun, Byung-Soo
    • 청정기술
    • /
    • 제21권4호
    • /
    • pp.241-247
    • /
    • 2015
  • 굴 패각은 한국 남쪽의 해안의 바다 양식 폐기물로써 처리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폐기물인 굴 패각을 실용화하기 위해서, 현지 회사에서 구입한 소성된 굴 패각(COS)에 AITC (allyl isothiocyanate)를 흡착시킨 후 식품 감염 질병을 일으키는 박테리아에 대해 성장억제능력을 시험하였다. COS 분말은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hyphimurium 균에 대해 1% 정도의 농도에서 세균 발육 억제 효과를 3에서 5 log 10 CFU/mL로 나타냄으로써 세균 발육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순수 AITC의 MIC 결과는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hyphimurium에 대해 각각 1 mg/mL, 0.8 mg/mL 0.7 mg/mL을 나타내었다. 소성된 굴 패각은 소성과정에서 기공이 생성되어 225 mg/g의 AITC를 흡착하였고, FTIR 결과로 COS에 AITC가 흡착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입자의 특성은 매우 미세한 입자 크기 및 높은 선상 표면을 나타내었다. AITC가 흡착된 소성된 굴 패각(ACOS)은 1% 농도에서 완전히 세균 세포를 억제함에 따라, ACOS는 COS보다 더 나은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박테리아에 대해 AITC와 소성된 굴 패각의 상승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전대뇌동맥과 중대뇌동맥 동맥류 수술시 체성감각유발전위의 모니터링의 비교, 분석 (Comparison of Intraoperativ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SEP) Monitoring During Aneurysm Surgery : ACA Aneurysms vs MCA Aneurysms)

  • 최광영;김국기;임영진;김태성;임언;이봉암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sup2호
    • /
    • pp.281-288
    • /
    • 200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SSEP monitoring during intracranial aneurysm surgery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wave change in relation to neurologic changes between ACA aneurysms and MCA aneurysms. Methods : During recent three years(between January 1997 and November 1999), intraoperative SSEP monitoring had been done in 63 operations for intracranial aneurysms. We had monitored the median nerve SSEP during surgery for aneurysms of MCA and the posterior tibial nerve SSEP for aneurysms of ACoA or ACA. A more than 50% reduction of any cortical SEP response was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SEP change, compared to its baseline value before the start of surgery. Changes in the SEP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 Type IA, no significant amplitude changes without temporary clipping ; Type IB, no significant amplitude changes with temporary clipping ; Type II, significant changes with temporary clipping and complete return to control amplitude ; Type III, significant changes with temporary clipping and incomplete return to control amplitude ; Type IV, significant changes with temporary clipping and more decreased amplitude changes. Results : Among the 63 intraoperative monitoring, there were 37 cases of ACA aneurysms(An), and 26 of MCA An. The temporary proximal arterial occlusion during surgery were performed in 31(83.8%)cases of ACA An, 22(84.6%) of MCA An. Seven of the 31 ACA An(22.6%) and ten of the 22 MCA An(45.5%) had significant changes. The type were as follows : 4 patients with type II and 3 with type III in the ACA An ; 3 patients with type II and 3 with type III and 4 with type IV in the MCA An. In both group type II changes had no new postoperative neurological deficit. All 6 patients with type III had new neurological deficits ; However, One case in the ACA An and two cases in the MCA An. had transient neurologic deficit and improved markedly over the next two months. All 4 type IV changes in the MCA An. had permanant neurologic deficits. Two out of 30 cases(6.7%) in the ACA An. and one out of 16 cases(6.3%) in the MCA An. without significant amplitude change had new neurologic deficit postoperatively. Conclusion : Based on this study, Intraoperative SSEP monitoring during aneurysm surgery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tecting cerebral ischemia. SSEP response during surgery for MCA An. is more sensitive than ACA An. Otherwise,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 in rate of false nega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