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 PDP

검색결과 670건 처리시간 0.029초

PDP TV의 sustain/reset 구동전원 공급을 위한 1단방식의 역률보상형 AC-to-DC 컨버터 (Single-stage Power Factor Corrected AC-to-DC Converter for sustain/reset Driving Power Supply of PDP TV)

  • 강필순;박진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82-289
    • /
    • 2008
  • PDP TV의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PDP의 구동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불필요한 전력소모와 AC 입력으로부터 원하는 DC를 얻기 위한 과정 중에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PDP 구동을 위한 입력 전원단은 2단 구조의 역률 보상형 컨버터를 채용하고 있으며, PDP 구동시 전력소모가 가장 큰 서스테인 드라이버와 리셋 회로의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DC-to-DC 컨버터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회로의 구현은 저가의 PDP를 요구하는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소의 전력 변환단계를 가지도록 서스테인과 리셋 회로의 전원 공급이 가능한 1단방식의 역률보상형 AC-to-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1단방식의 입력전원부 구성을 통해 전력 변환단을 최소화하여 전력 변환 중에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며, PDP 서스테인/리셋 드라이버의 구동전압을 직접 공급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시스템 부피의 감소,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고해상도 AC PDP를 위한 새로운 구동방식 (A New Driving Method for High Resolution AC PDP)

  • 조영완;권오경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38권4호
    • /
    • pp.45-5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HDTV급 이상의 고해상도 AC PDP를 구동할 수 있는 새로운 구동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구동방식은 유지방전 펄스의 상승부와 하강부를 어드레스 방전에 이용하여 0.85${\mu}s$의 데이터 펄스 및 스캔 펄스 쪽으로 어드레스 방전이 가능하고 위상차이가 있는 유지방전 펄스를 인가하여 어드레스 방전의 횟수를 증가시켜 고해상도의 AC PDP패널을 고휘도로 구동할 수 있다. 유지 방전 주파수가 125kHz이고 4개의 위상차이를 줄 경우 최대 2080 수평해상도의 패널을 구동 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30{\times}58$ 해상도의 4인치 칼라 AC PDP를 제한한 구동방식으로 구동하였으며 전압이 140V이고 주파수가 125kHz인 유지방전 펄스로 화면 잡음 없이 850 $cd/m^2$의 고휘도를 구현하였다.

  • PDF

Effect of Working Gas Pressure on Misfirng of ac PDP at High Ambient Temperature

  • Ryu, Jae-Hwa;Choi, Joon-Young;Kim, Dong-Hyun;Kim, Joong-Kyun;Kim, Young-Kee;Lee, Ho-Jun;Park, Chung-Hoo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4권4호
    • /
    • pp.25-32
    • /
    • 2003
  •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in ac PDP in recent years is the misfiring of ac PDP at high ambient temperatures which consequently degrades the image quality of the ac PDP. This may be due to the change of working gas pressure and/or MgO surface characteristics at high ambient temperatures.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 of working gas pressure on the misfiring of ac PDP at high ambient temperature. 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main cause of the misfiring at high ambient temperature is the increase in discharge firing voltage induced by increased working gas pressure

The Reliability Test of Sealing Glass Frit in AC PDP

  • Jeon, Young-Hwan;Hwang, Jong-Hee;Lim, Tae-Young;Kim, Hyung-Su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5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vol.II
    • /
    • pp.1538-1541
    • /
    • 2005
  • For reliability evaluation of AC-PDP,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sealing property. In this paper, the reliability evaluation test method of the commercialized sealing glass frit in AC-PDP was studied. 6 inch AC-PDP panels were tested for evaluation of sealing glass frit by vibration shock test, thermal shock test, non -destructive X-ray inspection, residual stress inspection and residual gas detection. These test methods are proposed as a standard for testing the reliability of sealing glass frit. The main failure mode of sealing glass frit in AC-PDP seems to be the crack propagation from thermal cycling rather than mechanical factor.

  • PDF

Influence of gas mixing ration on 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 of MgO single crystal with different orientations and MgO protective layer

  • 임재용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9년도 제17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234-234
    • /
    • 1999
  • AC-PDP(Plasma Display Panel)에 사용하는 MgO 보호막의 이차전자 방출계수(${\gamma}$)는 AC-PDP의 방전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MgO 보호막의 이차전자 방출계수는 AC-PDP에 주입하는 기체의 종류에 영향을 받는다. 현재 AC-PDP에는 방전특성의 향상과 VUV 발생을 위하여 He, Ne, Ar, Xe 등의 비활성기체를 두가지 혹은 세가지로 혼합한 혼합기체가 사용되고 있다. 기체를 혼합할 경우 Penning 효과에 의해 더 좋은 방전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이때의 적절한 혼합비율을 찾는 것은 AC-PDP의 효율 개선에 매우 중요하다. 이번 실험에서는 (111), (100), (110) 각각의 방향으로 배향된 MgO Bulk Crystal과 MgO 보호막의 이차전자방출계수를 He+Ne+Xe 삼원기체를 사용하였다. MgO 보호막은 실제 21inch 규격의 Panel을 사용하였으며, 혼합기체의 혼합비율의 Ne:Xe을 99:1, 98:2, 96:4, 93:7과 He+Ne+Xe의 삼원기체로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며 실험하였다.

  • PDF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한 AC PDP 셀의 진공자외선 광자 이동 특성 해석 (Analysis of Vacuum UV Photon Travel Characteristics in AC PDP Cell by Monte Carlo Simulation)

  • 김정호;정희섭;이병호;황기웅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48권9호
    • /
    • pp.634-640
    • /
    • 1999
  • Resonance radiation trapping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haracteristics of vacuum ultraviolet(VUV) photon emissions in AC PDP cell. We calculate the spatial andspectral distributions of VUV photons, which are radiated by excited Xe in AC PDP cell by Monte Carlo method. Especially a dip in the spectrum at center frequency is discovered both in simulation and in experiment. We give a physical explanation of this phenomenon by the concept of frequency-dependent mean free path of VUV photons.

  • PDF

A Study on New-Shaped Sustaining Electrode Showing High Luminous Efficiency in AC PDPs

  • Lee, Sung-Hyun;Kim, Dong-Hyun;Lee, Jae-Young;Park, Chung-Hoo;Ryu, Jae-Hwa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2권1호
    • /
    • pp.20-23
    • /
    • 2001
  • In order to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in ac PDP(Plasma Display Panel), we have suggested a new bridge type sustaining electrode which makes it possible to have free alignment between front and rear panels.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ac PDP with suggested new sustaining electrode is improved by about 28% compared with that of conventional sustaining electrode. However, the luminance of the ac PDP with the suggested electrode is kept the same with the conventional ones.

  • PDF

Spatial Measurement of Plasma Temperature & Density in a microdischarge AC-PDP cell

  • 김진구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9년도 제17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231-231
    • /
    • 1999
  • PDP(Plasma Display Panel)는 21세기 디스플레이 시장을 대체할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넓은 시야각, 얇고, 가볍고, 메모리기능이 있다는 여러 가지 장점들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 고휘도, 고효율, 저소비전력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해서는 명확한 미세방전 PDP 플라즈마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해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 면방전 AC-PDP 플라즈마의 기초 변수들 (플라즈마 밀도 & 온도, 플라즈마 뜬 전위, 플라즈마 전위 등의 측정을 통해 고휘도, 고효율 PDP를 위한 최적의 방전환경을 알아내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의 밀도는 방전전류에 비례하는 관계를 보인다. 전류에 대해 방전전압이 일정하다면 전자밀도가 커짐에 따라서 휘도는 포화되며 상대적으로 휘도와 전류의 비로 표시되는 발광효율은 감소하게 된다. 반면 전자밀도가 상당히 작다면 휘도는 전자밀도에 비례하고 효율은 최대값을 보인다. 따라서 미세구조 PDP에서 휘도와 발광효율, 양쪽에 부합하는 최적의 방전환경을 플라즈마 전자밀도와 온도의 측정을 통해서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방전기체의 종류와 Ne+Xe 방전기체의 조성비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온도의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진단하기 위해서 초미세 랑뮈에 탐침(지름: 수 $mu extrm{m}$)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초미세 탐침을 컴퓨터로 제어되는 스텝핑모터를 장착한 정밀 X, Y, Z stage에 부착하여서 수 $\mu\textrm{m}$간격의 탐침 삽입위치에 따라서 미세면방전 AC-PDP의 플라즈마 밀도 및 온도분포 특성을 진단하였다. PDP 방전공간에 초미세 랑뮈에 탐침을 삽입해서 -200~+200V의 바이어스 전압을 가해준다. 음의 바이어스 전압구간에서 이온 포화전류를 얻어내어 여기서 플라즈마 이온 밀도를 측정하고 양의 바이어스 전압구간에서 플라즈마 전자온도를 측정하면 미세면방전 AC-PDP 플라즈마의 기초 진단이 가능하다.

  • PDF

AC PDP 유전층의 절연내력과 투명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IELECTRIC LAYER ON THE DISCHARGE ELECTRODES IN AC PDP)

  • 이성현;김방주;김규섭;박정후;조정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E
    • /
    • pp.1788-1790
    • /
    • 1998
  • The dielectric layers in AC plasma display panel(AC PDP) are essential to the discharge cell structure, because they protect metal electrodes from sputtering by positive ion bombarding in discharge plasma and form a sheath of wall charges which are essential to memory function of AC PDP. This layer should have high dielectric strength and also be transparent because the luminance of PDP is strongly correlated this layer. In this paper, we discussed the dielectric strength and transparency of the dielectric layer under various conditions. As a result, on the $15{\mu}m$ thickness, the minimum dielectric strength was $29V/{\mu}m$ and the transmittance coefficient was about 80% after $570^{\circ}C$ firing process. It can be proposed that the resonable dielectric thickness in AC PDP is $15{\mu}m$ because it has about 80V margin on the maximum applied voltage.

  • PDF

Effects of MgO Thin Film Thickness and Deposition Rate on the Relative Life Time of ac PDP

  • Choi, Min-Seok;Lee, Young-Kwon;Ham, Myung-Soo;Choi, Joon-Young;Kim, Dong-Hyun;Lee, Ho-Jun;Park, Chung-Ho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778-783
    • /
    • 2003
  • For ac Plasma Display Panel (PDP), the lifetime should be guaranteed over 30000 hours. The lifetime is correlated with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weakest element in ac PDP.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lifetime of ac PDP, a short-term relative lifetime test method for a given element in the ac PDP is proposed. By this method, the effects of MgO thin film thickness and deposition rate on the relative lifetime of ac PDP are investigated. The relative lifetime is increased with MgO thin film thickness but it was almost saturated over 5000. The relative lifetime decreased with increase in the MgO deposition rate and increased with Xe% in the working gas of He+Ne+X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