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IES KOREANA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5초

구상나무의 잎에서 분리한 두 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Two Unreported Species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eaves of Abies koreana in Korea)

  • 박혁;김동여;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2-27
    • /
    • 2018
  • 제주도 한라산 구상나무의 잎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여 다양성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두 종의 국내 미기록 균주를 확인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적 특징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지역, large subunit (LSU) rDNA 지역 염기서열의 계통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확인된 두 미기록종 균주는 Coleophoma parafusiformis와 Coniochaeta ligniaria이며, 두 균주에 대한 형태적 특징과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A Cytotoxic Secocycloartenoid from Abies koreana

  • Kim, Hyun-Jung;Le, Quoc-Khanh;Lee, Mi-Hyun;Kim, Tae-Sung;Lee, Hyeong-Kyu;Kim, Young-Ho;Bae, Ki-Hwan;Lee, Ik-S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6호
    • /
    • pp.527-531
    • /
    • 2001
  • Two triterpenoids, 24-methylene-3,4-seco-cycloart-4(28)-en-3-oic acid (1) and 3-oxo-$9{\beta}$-lanosta-7,22Z,24-trien-26,23-olive (6) were isolated from Abies koreana, together with $\beta$-sitosterol (2), maltol (3), ${\beta}-sitosterol-O-{$\beta}-D-glucoside$ (4), and hexacosylferulate (5). The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spectroscopic data. The cytotoxic activities of triterpenoids have been evaluated using the sulforhodamine B (SRB) method. Compound 1 showed moderate cytotoxicities against human lung carcinoma (A549), ovarian carcinoma (SK-OV-3), malignant melanoma (SK-MEL-2), and colon carcinoma (HCT-15) cell lines.

  • PDF

침엽수 추출물의 항균.항산화 효과 (The Effect of Antibacteria and Antioxidantion Activities from Needle Leaf Tree)

  • 조춘구;김경례;김주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9-273
    • /
    • 2007
  • 산업발전에 따라 환경분야가 대두됨에 따라 민감성 피부에 화장품을 사용하는데 있어 부작용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저자극성 방부제의 개발을 위하여 항암효과가 입증된 침엽수 중 구상나무, 향나무의 활성성분을 추출하여 항균력을 측정 평가하였다. 항균력 측정에는 Broth dilusion법이 사용되었으며, 균주는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와 그람 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항균효과는 향나무와 구상나무가 625 ppm에서 methyl paraben에 비하여 각각 17.02 %, 8.5 % 더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항산화 효과 측정은 DPPH법,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Nieva Moreno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항산화 효과에서 향나무는 5,000 ppm에서 45 %, 구상나무는 44 %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으며 분석 결과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유량과 비례하였다. 침엽수 추출물의 세포독성실험은 피부섬유아세포인 CCK-986sk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향나무, 구상나무가 39 ppm에서 1,250 ppm까지의 모든 농도에서 95% 이상의 높은 세포 생존률을 나타냈다. 이상을 종합해 본 결과 향나무 줄기, 구상나무 잎은 합성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방부제 및 보조 항산화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만병초와 구상나무 추출물의 RBL-2H3 세포 탈과립, 싸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Brachycarpum and Abies Koreana E.H. Wilson on Degranulation and Cytokine Expression in RBL-2H3 Cells)

  • 정의만;김재우;박미진;이성숙;최돈하;이정복;정의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6호
    • /
    • pp.551-558
    • /
    • 2013
  • 본 연구는 만병초와 구상나무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비만세포 RBL-2H3에 concanavalin A (Con A)를 처리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한 후 만병초와 구상나무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IL-4, IL-13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beta}$-hexosaminidase 분비를 측정하여 탈과립 유도효과를 평가하였다. IL-4의 발현은 만병초 $10^{-7}$, $10^{-5}$, $10^{-3}%$ 농도와 구상나무의 모든 농도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IL-13의 발현은 만병초와 구상나무 모든 농도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만병초 추출물과 구상나무 추출물의 $10^{-5}$, $10^{-3}%$ 농도에서는 ${\beta}$-hexosaminidase 분비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만병초와 구상나무 추출물이 면역반응 표적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면역반응에 의해 유도되는 탈과립유도 효과도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만병초와 구상나무 추출물이 항알러지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Soil CO2 efflux in a warm-temperature and sub-alpine forest in Jeju, South Korea

  • Jeong, Heon-Mo;Jang, Rae-Ha;Kim, Hae-Ran;You, Yo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6호
    • /
    • pp.165-172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mporal variation in soil $CO_2$ efflux and its relationship with soil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the Quercus glauca and Abies koreana forests in Jeju Island, South Korea, from August 2010 to December 2012. Q. glauca and A. koreana forests are typical vegetation of warm-temperate evergreen forest zone and sub-alpine coniferous forest zone, respectively, in Jeju island. Results: The mean soil $CO_2$ efflux of Q. glauca forest was $0.7g\;CO_2\;m^{-2}\;h^{-1}$ at $14.3^{\circ}C$ and that of A. koreana forest was $0.4g\;CO_2\;m^{-2}\;h^{-1}$ at $6.8^{\circ}C$. The cumulative annual soil $CO_2$ efflux of Q. glauca and A. koreana forests was 54.2 and $34.2t\;CO_2\;ha^{-1}$, respectively. Total accumulated soil carbon efflux in Q. glauca and A. koreana forests was 29.5 and $18.7t\;C\;ha^{-1}$ for 2 year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CO_2$ efflux and soil temperate at 10 cm depth was highly significant in the Q. glauca ($r^2=0.853$) and A. koreana forests ($r^2=0.842$). Soil temperature was the main controlling factor over $CO_2$ efflux during most of the study period. Also, precipitation may affect soil $CO_2$ efflux that appea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controlling the efflux rate. Conclusions: Soil $CO_2$ efflux was affected by soil temperature as the dominant control and moisture as the limiting factor. The difference of soil $CO_2$ efflux between of Q. glauca and A. koreana forests was induced by soil temperature to altitude and regional precipitation.

지리산 아고산대의 단기간(2015-2017)에 걸친 구상나무 치수 발생 및 고도별 종구성 변화 (The Change of Seedling Emergence of Abies koreana and Altitudinal Species Composition in the Subalpine Area of Mt. Jiri over Short-Term(2015-2017))

  • 김지동;박고은;임종환;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3-322
    • /
    • 2018
  • 기후변화로 인한 아고산대 산림식생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기초자료의 축적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장기 변화의 추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층식생에 대한 단기간의 생태적 정보 변화의 모니터링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단기간에 걸친 구상나무 치수의 동태와 고도별 식생분포 변화를 구명하고자 2015년도와 2017년도에 지리산 구상나무 분포지를 대상으로 총 36개소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매목조사 및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에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층위별 주요 종에 대한 중요치 및 평균상대우점치, 고도별 주요종의 중요치 및 종다양도, 치수 개체군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상나무 분포지의 식생구조는 교목층 구상나무, 관목층 철쭉, 초본층 실새풀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평균상대우점치는 구상나무, 철쭉, 당단풍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해발고도별 종조성과 종다양도 지수는 1,500 m이하에서 조릿대의 중요도가 높고 종다양도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1,700-1,800 m에서 미역줄나무의 중요도와 초본층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조사구에서 구상나무 치수는 2015년도 1,250 본/ha에서 2017년도 970 본/ha으로 22.4% 감소하였다(p<0.05). 수고급별 감소율은, 10 cm 미만은 22.9%, 10-30 cm 3.4%, 30-50 cm 8.9%, 50-100 cm 39.3%이었으며, 100 cm 이상은 5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발고도별로 살펴보면, 1,500 m 이하는 조릿대의 우점, 1,700-1,800 m는 미역줄나무의 우점과 높은 종 다양도로 인하여 치수 발생량이 적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1,600-1,700 m는 조릿대와 미역줄나무가 출현하지 않은 반면 구상나무 치수발생량은 많았다. 이 고도에서 구상나무 치수의 발생 및 생존이 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리산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식생 (The Actual Vegetation of Nature Ecology Con-servation Area in Mt. Chiri)

  • 김준선;김갑태;주혜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24
    • /
    • 1991
  • 지리산 국립공원중 반야봉을 중심으로 피아골과 심원계곡을 포함하는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43개 조사지의 종조성 및 식생상관에 의하여 삼림군집을 구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지리산 자연생태계보전구역의 식생은 냉온대남부에서 아한대에 이르기까지 13개의 삼림군집이 형성되었으며 확인된 삼림군집은 다음과 같다. 1. 졸참나무군집 2. 서어나무군집 3. 졸참나무-서어나무군집 4. 노각나무군집 5. 고로쇠나무군집 6. 까치박달나무군집 7. 들메나무군집 8. 개서나무군집 9. 소나무군집 10. 신갈나무군집 1) 신갈나무-철쭉 하위군집 2) 신갈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11. 분비나무군집 12. 구상나무군집 1) 구상나무-신갈나무 하위군집 2) 구상나무-잣나무 하위군집 13. 철쭉군집 확인된 삼림식생중에서 졸참나무군집은 해발 700m에서 1,000m에 분포하였으며 서어나무군집, 개서나무군집은 동지역의 계곡부에 분포하였다. 해발 1,000m에서 1,400m에는 신갈나무군집이 그 이상 1,700m까지에는 구상나무군집, 분비나무군집등 아고산대림이 발달하였다.

  • PDF

종 분포 모형을 활용한 새로운 구상나무 서식지 탐색, 그리고 식물보전 활용 (A Detection of Novel Habitats of Abies Koreana by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SDMs) and Its Application for Plant Conservation)

  • 김남신;한동욱;차진열;박용수;조현제;권혜진;조용찬;오승환;이창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35-149
    • /
    • 2015
  • Korean fir(Abies koreana E.H.Wilson 1920), endemic tree species of Korean peninsula, is considered as vulnerable and endangered species to recent rapid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land use and climate change. There are limited activities and efforts to find natural habitats of Korean fir for conservation of the species and habitats. In this study, by applying SDMs (Species Distribution Models) based on climate and topographic factors of Korean fir, we developed Korean fir's predicted distribution model and explored novel natural habitats. In Mt. Shinbulsan, Youngnam region and Mt. Songnisan, we could find korean fir's two novel habitat and the former was the warmest($13^{\circ}C$ in annual mean temperature), the driest(1,200mm~1,600mm in annual rainfall) and relatively low altitude environment among Korean fir's habitats in Korea. The result of SDMs did not include mountain areas of Gangwon-do as habitats of A. nephrolepis, because there were different contributions of key habitat environment factors, summer rainfall, winter mean temperature and winter rainfall, between A. koreana and A. nephrolepis. Our results raise modification of other distribution models on Korean fir. Novel habitat of Korean fir in Mt. Shinbulsan revealed similar habitat affinity of the species, ridgy and rocky site, with other habitats in Korea. Our results also suggest potential areas for creation of Korea fir's alternative habitats through species reintroduction in landscape and ecosystem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