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IES KOREANA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특산(韓國特産) 구상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종자(種子).발아특성(發芽特性) 변이(變異) (Variation of Seed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 Populations of Abies koreana Wilson, a Korean Endemic Species)

  • 송정호;장경환;허성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49-854
    • /
    • 2010
  • 우리나라 특산종인 구상나무의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한 변이를 조사하였다. 4개의 천연집단으로부터 구과를 채취하여 종자품질 7가지와 발아특성 3가지를 분석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충실율과 종자활력(TTC)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특성들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의 개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충실율, 발아율 및 발아속도에 대한 변이계수 값(43.5~57.2%)은 다른 특성들(11.0~28.3%)에 비해 변이폭이 컸다. 발아패턴을 보면 종자 파종 후 17일부터 최초 발아가 시작되었으며 79일 이후에는 더 이상 발아가 진행되지 않았다. 발아율은 덕유산집단(8.5%)을 제외한 나머지 집단에서는 높게 나타났으며 39.7~47.7%까지 다양하였다. 이때의 평균발아일수는 38.1~43.6일, 발아속도는 0.98~1.39개/일로 나타났다. 특히 구상나무의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충실율이 높을수록 발아율이 높고 발아속도가 빠른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반면 평균발아일수는 짧게 걸리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구상나무 천연집단(天然集団)의 침엽형질(針葉形質) 변이(變異) (The Variation in Needle Characteristics of Natural Population of Abies koreana Wilson)

  • 이강영;김현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9-44
    • /
    • 1982
  • 우리 나라의 지리산(智異山), 덕유산(德裕山), 한라산(漢拏山)에 천연분포(天然分布)되어 있는 구상나무 집단(集團)의 침엽형질변이(針葉形質變異)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집단별(集團別), 집단내(集團內)의 개체별(個體別)로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침엽장(針葉長), 기공열수(氣孔列數)에 있어서는 집단간(集團間)에 1%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집단내(集團內)의 개체간(個體間)에는 형질(形質) 모두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모수(母樹)의 흉고직경(胸高直徑)과 침엽장(針葉長), 침엽폭(針葉幅) 간(間)에 있어서는 집단(集團) 모두 상관(相關)이 없었다. 침엽장(針葉長)과 침엽폭(針葉幅) 간(間)에서 덕유산(德裕山)과 한라산(漢拏山) 집단(集團)은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지리산(智異山) 집단(集團)은 상관(相關)이 없었으며 침엽장(針葉長)과 기공열수(氣孔列數) 간(間)에서는 덕유산(德裕山) 집단(集團)이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침엽폭(針葉幅)과 기공열수(氣孔列數) 간(間)에는 집단(集團) 모두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침엽폭(針葉幅)과 거치밀도(鋸齒密度) 그리고 기공열수(氣孔列數)와 거치밀도(鋸齒密度) 간(間)에는 상관(相關)이 없었다. 거치밀도(鋸齒密度)의 변이계수(變異係數)는 다른 형질(形質)에 비(比)해 큰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제주도 남동사면의 산림식생구조와 해발고별 산림군집 및 개체군 분포 특성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orest Community along Elevation on Mt. Hallasan)

  • 이정은;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2호
    • /
    • pp.141-154
    • /
    • 2021
  • 본 연구는 한라산 남동사면을 대상으로 해발에 따라 변화하는 산림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발 16 m부터 1,565 m까지 100 m 간격으로 총 59개의 조사구에서 식생조사를 수행하고, 클러스터 분석으로 군집유형을 분류하였으며, 해발고별 수종 구성과 종다양도를 분석하였다. 군집유형은 유형1 졸참나무군집(Quercus serrata community), 유형2 개서어나무군집(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유형3 서어나무군집(Carpinus laxiflora community), 유형4 소나무군집(Pinus densiflora community), 유형5 구상나무군집(Abies koreana community), 유형6 구실잣밤나무군집(Castanopsis sieboldii community), 유형7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community)로 분류되었다. 해발고별 교목층의 중요치 분석 결과 100-600 m 까지는 구실잣밤나무와 붉가시나무, 700-800 m에서 서어나무, 졸참나무, 개서어나무, 1,100-1,200 m에서 소나무, 1,500-1,600 m 구간에서 구상나무의 중요치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의 경우 해발 700-800 m, 1,200-1,300 m, 1,400-1,500 m에서 종다양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생태계의 추이대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한라산 구상나무 구과 해충 발생 현황 (Occurrence status of cone insects on Korean fir (Abies koreana) in Mt. Halla)

  • 김도성;이영돈;좌명은;이차영;남영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17-420
    • /
    • 2020
  •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에서 구과 해충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9년 8-10월에 3개 지역의 4개 조사구에서 구과 117개를 수집하여 생육상에서 우화시킨 후 출현종과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지역별 구과 해충의 피해율 조사를 위해 4개 조사구에서 93그루 1,235개 구과의 구과해충 피해를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 채집된 117개 구과에서 솔알락명나방 233개체, 구상애기잎말이나방 101개체, 똥파리 4개체가 확인되었다. 구과 당 평균 개체수는 솔알락명나방 1.99, 구상애기잎말이나방은 0.86개체로 솔알락명나방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라산 4개 조사구 전체 구상나무 구과의 평균 피해율은 49.7에서 80.1%로 조사구별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구과 피해율은 수목 당 구과 수가 많을수록, 피해 구과에서 우화하는 구과해충 수는 구과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확인된 구과 해충은 수목 당 구과 수가 많으면서 상대적으로 큰 구과를 갖는 구상나무를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목재(木材)의 흡음(吸音)과 음향(音響)임피이던스에 미치는 함수율(含水率)의 영향(影響) (Effect of Moisture Content on Acoustic Absorption and Impedance of Wood)

  • 홍병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2호
    • /
    • pp.25-29
    • /
    • 1994
  • The effect of moisture content on acoustic absorption coefficient and impedance of the woods of Pinus densiflora, Chamaecyparis pisifela, Cryptomeria japonica, Abies koreana, Melia azedarch var. japonica, Shorea bracteolata and Shorea acuminata was investigated by standing wave metho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coustic absorption coeffici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moisture content, but acoustic impedance decreased with increasing moisture content.

  • PDF

지리산 반야봉 아고산 침엽수림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on Banyabong in Mt. Jiri)

  • 조민기;정재민;임효인;노일;김태운;김충열;문현식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65-476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on Banyabong, Mt. Jiri. Soil pH was 4.20.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total N, available P and CEC were 14.15%, 0.43%, 10.1 ppm and $17.17cmol^+/kg$, respectively. Sub-alpine coniferous forest had a relatively soil moisture content with 22.9%.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mportance value analysis, Picea jezoensis (42.7) and Abies koreana (34.0) for tree layer,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25.5) for subtree layer and Tripterygium regelii (18.4)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16.6) for shrub layer were high, respectively. Shannon's diversity ranged from 0.3560 to 1.050. Evenness and dominance ranged from 0.398 to 0.733 and 0.267 to 0.601, respectively. A. koreana population had a reverse J-shaped DBH distribution, while P. jezoensis population had a normal DBH distribution. Height growth according to DBH of A. koreana was higher than that of P. jezoensis, which indicate than A. koreana have more effective water use efficiency than P. jezoensis. Annual mean tree ring growth of P. jezoensis and A. koreana showed up 1.792, 1.652, 1.389 mm/yr and 2.081, 1.921, 1.576 mm/yr for small, middle and large diameter tree, respectively.

덕유산의 침광혼효림에 분포하는 임상선태류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Terricolous Bryophyte Community in the Mixed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on Deongnyusan)

  • 송종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1-140
    • /
    • 2002
  • 덕유산에 분포하는 침광혼효림의 임상선태류군락을 식물사회학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그 결과 고등식물군락의 조성에 대응하여 조릿대-구상나무/아기호랑꼬리이끼-여우꼬리이끼군락을 식별하였다 이 군락은 지리산에 분포하는 조릿대-구상나무/비꼬리이끼-수저잎산주목이끼군락의 동위군락으로 해석되었으나 군락 사이에 임상선태류군락의 조성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식물사회학적으로 조릿대-구상나무/아기호랑꼬리이끼-여우꼬리이끼군락은 쇠물푸레-구상나무군집에 속하는 하나의 분층군락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가 지리산지와 덕유산에 분포하는 침엽수림을 아한대(=아고산대)의 식생으로 취급하였다. 그렇지만, 현 연구결과는 식물사회학적 입장에서 덕유산의 침광혼효림이 냉온대 낙엽수림대의 식생임을 명백히 나타내었다. 덕유산 침광혼효림의 임상선태류의 종다양성은 지리산의 침광혼효림의 것과 대개 비슷한 수준이었다. 덕유산 침광혼효림의 임상선태류 분류군은 19과, 25속, 38종으로 구성되었다.

한반도 주요 산정의 식물종 분포와 기후변화 취약종 (Distribution of High Mountain Plants and Species Vulnerability Against Climate Change)

  • 공우석;김건옥;이슬기;박희나;조수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2호
    • /
    • pp.119-136
    • /
    • 2014
  • This work aims to select the potentially vulnerable plant species against climate change at alpine and subalpine belts of Mts. Sorak, Jiri, and Halla, from central, southern, southern insular high mountains of the Korean Peninsula, respectively. The selection of global warming related vulnerable plants were performed by adapting various criteria, such as flora, endemicity, rarity, floristically specific and valuable species, species composition at mountain summits, horizontal and vertical ranges of individual species, and their distributional pattern in the Korean Peninsula. Line and quadrat field surveys along the major trails from all directions at height above 1,500 meters above sea level of Mts, Sorak, Jiri and Halla were conducted each year during spring, summer, and autumn from 2010 to 2011. Based upon above mentioned eight criteria, high level of climate change related potentially vulnerable arboral plants, such as Rhododendron aureum, Taxus caespitosa, Pinus pumila, Oplopanax elatus, Vaccinium uliginosum, and Thuja koraiensis are noticed from at subalpine belt of Mt. Sorak. Species of Abies koreana, Rhododendron tschonoskii, Oplopanax elatus, Taxus cuspidata, Picea jezoensis, and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belong to climate change concerned vulnerable species at subalpine belt of Mt. Jiri. High level of climate change related species vulnerability is found at alpine and subalpine belts of Mt. Halla from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Salix blinii,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Vaccinium uliginosum,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Taxus cuspidata, Rhamnus taquetii, Abies koreana, Hugeria japonica, Prunus buergeriana, and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rtensis. Countermeasures to save the global warming vulnerable plants in situ are required.

가야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및 희귀식물 (The Flora and Rare Plants in Kayasan National Park)

  • 김용식;강기호;신현탁;배준규;김종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1-211
    • /
    • 1998
  • 1997년 3월부터 9월까지 총 5차례에 걸쳐 가야산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100과 323속 522종 1아종 83변종 5품종 2교잡종 613종류로 조사되었다. 가야산국립공원지 역에서 솔나리, 백리향, 개불알꽃, 뻐꾹나리, 구상나무 등의 멸종 및 희귀식물의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새로 밝혀진 식물은 부들, 점현호색 자난초 등 100종이며, 도로를 따라 외래식물의 침입이 활발한 것으로 밝혀졌다. 가야산 국립공원에는 산림청 및 환경부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총 14종류로 나타났으며 이들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대한 보존대책이 필요하다.

  • PDF

지리산 동부지역의 관속식물상 -거림계곡, 백무동계곡, 한신계곡, 중산리계곡을 중심으로- (Vascular Plants of East Area in Girisan -Areas in Georim Valley, Baekmudong Valley, Hanshin Valley, Jungsanri Valley-)

  • 김용식;오현경;고명희;변무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5-436
    • /
    • 2004
  • 지리산 동부지역 중 거림계곡, 백무동계곡, 한신계곡, 중산리계곡. 세석평전, 천왕봉일대 등 6구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곁과 89과 260속 404종 66변종 8품종 1교잡종 총 479종류(Taxa)로 조사되었다. 또한 지리산 지역에서 자라는 한국특산식물, 산림청$.$임업연구원(1997)과 환경부(2001)의 특정식물종, 조림종과 재배종을 포함한 귀화식물종을 조사한 결과 한국특산식물은 지리산고사리, 구상나무, 좀고채목 등 총 26종류, 특정식물종은 자주솜대, 금강애기나리, 누른종덩굴 등 총 15종류, 귀화식물종은 달맞이꽃, 돼지풀, 지느러미엉겅퀴 등 총 17종류가 확인되었다. 특히 특정식물종은 등산로 주변에서 출현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부에서 위해식물로 지정된 돼지풀이 전구간에서 많은 개체가 자라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