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356

검색결과 1,982건 처리시간 0.033초

콘택트렌즈의 저장 케이스의 위생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gienic Control of contact lens Storage case)

  • 신재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3-42
    • /
    • 2000
  •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렌즈 보존케이스의 위생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마산의 N 안경원을 내원한 고객을 대상으로 사용실태에 대한 교환한 보존케이스의 세균검출여부를 실험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존케이스소독방법은 15~19세는 식염수(43.6%), 20~24세도 식염수(33.3%), 25세 이상은 끓는물(26.3%)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타났고(p< .001), 신분별로는 학생은 식염수, 전문보존용액, 하지않는다 순이었고 일반인은 식염수, 끓는물, 하지않는다 순이었다(p< .001). 2) 보존케이스세척액종류는 주로 식염수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경제수준별로는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식염수가 상에서는 85.7%, 중에서는 48.0%, 하에서는 44.4%로 나타났다(p< .01). 3) 보존케이스보존액종류는 신분별로 학생은 전문보존용액이 74.6%, 식염수가 25.4%였고 일반인은 전문보존용액이 64.2%, 식염수 32.1%, 생수와 수돗물이 각각 1.9% 순이었다(p< .05). 4) 보존케이스 총 70개 중 66개(94.3%)에서 박테리아가 검출되었고 33개(47.1%)의 보존케이스에서 Serratia marcescens가 분리되었다.

  • PDF

채취시기와 크기에 따른 주름 미더덕의 항산화 및 항고혈압 활성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Styela plicata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and Size)

  • 박지원;유동현;배명숙;김정미;이종화;김석주;전유진;박은주;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0-356
    • /
    • 2011
  • 주름 미더덕(Styela plicata)을 8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채취하여 크기에 따라 큰 것(9.82~11.66 g)과 작은 것(0.93~2.21 g)으로 분류한 후 네 가지 용매(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로 각각 추출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고혈압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 그리고 ACE 저해능으로 분석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1월에 채취된 큰 주름 미더덕의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환원력은 11월의 작은 미더덕의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ACE 저해능은 물 추출물로만 측정하였는데, 11월에 채취된 큰 주름 미더덕의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또한 주름 미더덕은 채취시기, 크기, 추출용매에 상관없이 거의 모든 시료에서 $H_2O_2$에 의해 유도된 백혈구의 DNA 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특히 8월 또는 9월에 채취한 큰 주름 미더덕이 월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NA 손상 억제에 있어서 추출 용매별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일부 물 추출물은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해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끓이기 등의 일상 조리를 통한 주름 미더덕의 유효 성분 섭취를 기대할 수 있겠다. 이상의 결과로 채취시기, 크기, 용매에 따라 항산화, 항유전 독성 및 ACE 저해능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주름 미더덕을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반도 동해상에서의 Topex/Poseidon 고도자료와 현장 조위계 관측 자료의 비교연구 (Comparison of Sea Level Data from Topex/Poseidon in-situ Tide-Gauges in the East Sea)

  • 윤용훈;김나영;김기현;황종선;김정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49-356
    • /
    • 2002
  • 한반도 동해에서 Topex/Poseidon위성 고도레이더로부터 관측된 해수면과 울릉도, 포항, 속초의 조위계에서 관측된 해수면을 비교하여 두 자료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위성에서 관측된 해수면자료의 객관성을 검증하였다. 1992년부터 1997년 사이에 관측된 T/P MGDR 관측자료로부터 해수면을 추출하기 위하여 대기보정 및 지구물리학적인 보정을 실시하였다. 조위계로부터 관측된 해수면과의 비교를 위해 조위관측소로부터 반경 약 55km내에 위치하는 관측값들을 평균하였다. 위성 해수면과 조위계 해수면을 비교한 결과 내해역에 위치한 포항 및 속초가 외해역에 위치한 울릉도에비해서 낮은 연관성을 보였다. 200일을 기준으로 저역통과필터를 처리했을 때 외해역에 위치한 울릉도는 상관값이 0.91로 매우 높은 유의성을 보였고, 내해역에 위치한 포항 및 속초는 각각 0.58 및 0.65로서 울릉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유의성을 보였다. 이러한 큰 차이는 M2, S2, K1 분조 등에 의한 조석변형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고, 이는 주로 T/P 자료처리에 사용된 조석모델의 오차로 볼 수 있고, 이를 저역통과필터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대체로 외해역의 경우는 60, 120, 180, 200일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처리함에 따라 상호 두 자료간의 유의성이 점차적으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내해역의 경우에는 거의 유의성이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련(Magnolia denudata Desr.)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Magnolia denudata Desr. Flower Extracts)

  • 노진우;황인국;정은미;김현영;장성준;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478-1484
    • /
    • 2009
  • 목련 꽃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항암활성 및 항염증활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련꽃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16.14 및 86.93 mg/g이었고,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_{50}$값은 0.232 mg/mL이었으며, 용매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보였다($IC_{50}$: 0.197 mg/mL, AEAC: 0.90 mg AA eq/100 mg). 또한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은 대장암, 폐암 그리고 간암세포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낮은 농도에서 증식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유도 일산화질소 생성 저해효과를 보였다($IC_{50}$: 49.5 $\mu$g/mL).

황기청국장의 발효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 of Hwangki(Astragalus membranaceus) Chungkukjang during Fermentation)

  • 최혜선;주선종;윤향식;김기식;송인규;민경범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56-363
    • /
    • 2007
  •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를 첨가한 청국장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조단백은 약간 증가하였다. pH는 발효초기에 약간 감소한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아미노태질소는 24시간까지는 황기 첨가구가 높았으나 이후에는 대조구가 높았다. 색도(명도, 적색도,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발효온도 $40^{\circ}C$에서 ACE 저해도는 대조구 48시간 86.0%, 황기첨가구 24시간 95.3%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였다. $40^{\circ}C$에서 48시간 발효 시 혈전 용해능은 대조구 100.7%, 황기 첨가구 74.4%로 나타났다. $40^{\circ}C$에서 48시간 발효 시 청국장의 향기성분인 2,6-dimethyl pyrazine양은 대조구 19.0 ppm, 황기 첨가구는 3.3 ppm 이었으며, 관능검사는 황기첨가구의 전반적 기호도가 7.67(p<0.001) 으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Evaluation for Impacts of Nitrogen Source to Groundwater Quality in Livestock Farming Area

  • Lee, Gyeong-Mi;Park, Sunhwa;Kim, Ki-In;Jeon, Sang-Ho;Song, Dahee;Kim, Deok-hyun;Kim, Tae-Seung;Yun, Seong-Taek;Chung, Hyen Mi;Kim, Hyun-Ko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45-356
    • /
    • 2017
  • We investigated 52 livestock farming complexes in Gyeong-Gi and Incheon provinces based on low, medium, and high livestock density and groundwater qua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relationship between nitrate N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and animal factors, such as livestock density and animal species. 2,200 groundwater samples for 3 years from 2012 to 2014 at Gyeong-Gi and Incheon provin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pH, EC, DO, ORP, temperature, major anions and cations, such as $NO_3-N$, ${HCO_3}^-$, ${PO_4}^-$, ${SO_4}^{2-}$, $Cl^-$, $NH_4-N$, $K^+$, $Na^+$, $Ca^{2+}$, $Mg^{2+}$, T-N, and TOC. Average concentration of total N for generated load density was $23,973g\;day^{-1}\;km^{-2}$ for cattle, $51,551g\;day^{-1}\;km^{-2}$ for pig, and $52,100g\;day^{-1}\;km^{-2}$ for poultry. For animal feeding species, average ratio for generated load over discharge load was 16.1% for cattle, 7.8% for pig, and 7.1% for poultry. Therefore, cattle feeding region is highly vulnerable for water pollution compared to pig and poultry feeding areas. The concentrations of chloride, nitrate, and total N in the groundwater samples were higher at high animal farming regions than other region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nitrate, and chloride in groundwater samples was $5.0mg\;L^{-1}$, $16.6mg\;L^{-1}$ for low livestock density, $6.9mg\;L^{-1}$, $17.7mg\;L^{-1}$ for medium livestock density and $7.6mg\;L^{-1}$, $22.7mg\;L^{-1}$ for high livestock density and total nitrogen (T-N) was $7.7mg\;L^{-1}$ for low livestock density, $9.4mg\;L^{-1}$ for medium livestock density, $10.7mg\;L^{-1}$ for high livestock density. In conclusion, based on this research, for managing groundwater quality near livestock farming regions, $Ca-(Cl+NO_3)$ group from the Piper diagram is more efficient than using 19 factors for water quality standard.

중.노년층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모 관리 효과에 관한 연구 - 피부 관리 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Skin Management which is based on the Lifestyle of Middleaged and Old Age Women)

  • 임희경;최인려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4호
    • /
    • pp.670-686
    • /
    • 2010
  •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action types of skin management which is base on age, marriage or not, family composition, school career, and income which are demographic variables centering around the lifestyle of middleaged and old age women. As for study method, this researcher executed literature study and questionnaire on adult women over 45 years old who dwell in Seoul and Kyounggi area. Survey period was Mar. 1, 2009 to Jun. 30. And, after distributing 1,000 copies of questionnaire, this researcher used effective 869 copies of questionnaire for analysis out of collected questionnaire, 895 copies. As for analysis method, this researcher executed DUNCAN test with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anin component analysis, K-average, multitude analysis, dispersion analysis and post verification by using SPSS 12.0 program. As for demographic feature for middle aged and old age women, 50~59 years old women were most by age as 302 persons(33.7%). It is emerging that spouse existence is very high as 674 persons(75.3%) in the answer for marriage or not, couple family to live with unmarried children is very high as 483 persons(54.0%) in the answer for family composition, leaving high school in mid-course or gradation of high school are very high as 356 persons(39.8%) in the answer for school career, income from 3 million Won under 4 million won is very high as 260 persons(29.1%) in the answer for monthly income of family members, and women to use under 50 thousand won is very high as 510 persons(57.0%) in the monthly average expense to be used for skin management.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extracted total 5 factors (economic saving, displaying consumption, confidence inclination, centering around family, and leisure application) by executing factor analysis with 12 question items of lifestyle so as to grasp factor structure of lifestyle of middleaged and old age people, and whole explanatory variable quantity was 70.9%. This researcher named as economic saving type, diplaying consumption style, and type centering around leisure and family, after making multitude analysis about 5 factors analyzed by measuring lifestyle feature. As the result of structure analysis of question items of skin management(pursuit of skin management, life of skin management, and inclination of skin management), this researcher extracted total 3 factors, and whole explanatory variable quantity was 71.30%. Thus, it emerg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C-MS/MS를 이용한 수중의 과염소산이온 분석방법 최적화 및 한강수계내 분포조사 (Determination of Trace-Level Perchlorate by IC-MS/MS and Distribution in the Han River)

  • 김현희;한인섭;정관조;박현;한선희;조완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9-356
    • /
    • 2010
  • 과염소산이온의 분석을 위해 전기전도도 검출기(CD; conductivity detector)를 연결한 이온크로마토그래피(IC; ion chromatography) 방법이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시료의 조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정량한계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량의 과염소산이온 분석을 위해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IC-MS/MS; ion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을 제시하였다. IC-MS/MS를 이용한 과염소산이온의 분석방법을 적용한 결과 평균회수율 104.4 ${\pm}$ 5.7%, 상대표준편차 1.9 ${\pm}$ 1.3%를 얻었으며, 검출한계(MDL; method detection limit)는 0.0207 ${\pm}$ 0.0099 ${\mu}g/L$를 얻을 수 있었다. IC-MS/MS를 한강수계 지류천과 본류에 적용시킨 결과, 최소 <0.1 ${\mu}g/L$에서 최고 18.30 ${\mu}g/L$ 범위로 나타났다. 서울시 6개 아리수정수센터의 취수원수와 정수에서는 과염소산이온이 0.18~0.34 ${\mu}g/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성인 대사증후군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동과 치주염의 관련성 (Associations among the health status, behavior,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 한수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3-324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association among the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and periodontitis according to total, age and sex in cases of adult metabolic syndrome(Met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collected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conducted from 2016 to 2018 with 3,394 adults with MetS aged 19-79 years. The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e relevant factors for periodontitis. Results:Periodontitis was diagnosed in 43.6% of all MetS cases. Diabetes (Odds Ratio [OR]=1.554), abdominal obesity (OR=1.336), current smoking (OR=2.465), past smoking (OR=1.379), and not-using oral care products (OR=1.414) were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in MetS. In the age of 19-39 years with MetS group, diabetes (OR=5.379), elevated blood pressure (OR=3.975), current smoking (OR=7.430), and not using oral care products (OR=3.356) were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In the 40-79 age group, diabetes (OR=1.398), abdominal obesity (OR=1.360), current smoking (OR=2.022), and not using oral care products (OR=1.416) were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In the male MetS group, current smoking (OR=3.119), past smoking (OR=1.625), and brushing teeth more than three times (OR=0.743) were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In the female MetS group, diabetes (OR=1.733), impaired fasting glucose (OR=1.434), abdominal obesity (OR=1.479), and not using oral care products (OR=1.992) were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Conclusions: Improvement in blood sugar control, obesity, smoking cessation, and oral health education, including how to use oral care products in all individuals with MetS may result in improved oral health. In addition, improvement in elevated blood pressure in the MetS group aged under 40 years, and brushing teeth more than three times a day in the male MetS group can reduce the risk of periodontitis. Therefore, public and oral health professionals should emphasiz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sex during the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and share relevant information with patients.

수술실 간호사 안전역량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afety Competency Tool for Perioperative Nurses)

  • 송미옥;장금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345-356
    • /
    • 2016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역량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도구의 개발 과정은 문헌고찰을 통한 예비 문항 개발, 예비 문항의 개념적 기틀에 맞는 구성 타당도 검증으로 이루어졌다. 개발된 문항은 전문가 타당도를 거쳐 30개의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377명의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30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예비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도구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평행선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지식, 기술, 태도 3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27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도구의 내적 구조를 도식화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최종 모델의 적합도는 TLI=.90, CFI=.91, RMSEA=.07 SRMR=.07 로 매우 적합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를 토대로 27문항 3개 요인(지식 6문항, 기술 13문항, 태도 8문항)으로 이루어진 최종 도구를 확정하였다. 최종 도구의 Cronabach' ${\alpha}$ 는 .94로 나타나 내적일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역량 도구는 환자 안전에 대한 수술실 간호사의 역량을 사정하고 환자 안전 연구나 경력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