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1B 시나리오

Search Result 18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Selection of Optimal Shelters according to Dam Break Scenario Based on Continuous Rainfall Event (연속호우사상기반의 댐 붕괴 시나리오에 따른 최적대피소 선정에 관한 연구)

  • Kim, Kyunghun;Lim, Jonghun;Kim, Hung Soo;Shin, Soeng Cheo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4
    • /
    • pp.433-447
    • /
    • 2023
  •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the stability of existing dams due to abnormal climate and the aging of dams. Emergency Action Plans (EAPs) for reservoir or dam failure only consider a single rainfall event. Therefore, this study simulates dam failure caused by continuous rainfall events, and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EAP by selecting the optimal shelters. We define a mega rainfall event scenario caused by continuous rainfall events with 500-year frequency in the Chungju Dam watershed and estimate the mega flood. The mega flood event scenario is divided into two cases: scenario A represents the flooding case caused by discharge release from a dam, while scenario B is the case of a dam break. As a result of flood inundation analysis, the flooded damage area by the scenario A is 50.06 km2 and the area by the scenario B is 6.1 times of scenario A (307.45 km2). We select optimal shelters for each administrative region in the city of Chungju, which has the highest inundation rate in the urban area. Seven shelter evaluation indicators from domestic and foreign shelter selection criteria are chosen, and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is used to evaluate the alternatives. As a result of the optimal shelter selection, the six shelters are selected and five are schools. This study considers continuous rainfall events for inundation analysis and selection of optimal shelters.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for establishment of the EAP.

GIS-based Estimation of Climate-induced Soil Erosion in Imha Basin (기후변화에 따른 임하댐 유역의 GIS 기반 토양침식 추정)

  • Lee, Khil Ha;Lee, Geun Sang;Cho, Hong Ye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D
    • /
    • pp.423-429
    • /
    • 2008
  • The object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imate the potential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land use on soil erosion in the mid-east Korea. Simulated precipitation by CCCma climate model during 2030-2050 is used to model predicted soil erosion, and results are compared to observation. Simulation results allow relative comparison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soil erosion between current and predicted future condition. Expected land use changes driven by socio-economic change and plant growth driven by the increase of temperature and are taken into accounts in a comprehensive way. Mean precipitation increases by 17.7% (24.5%) for A2 (B2) during 2030-2050 compared to the observation period (1966-1998). In general predicted soil erosion for the B2 scenario is larger than that for the A2 scenario. Predicted soil erosion increases by 48%~90% under climate change except the scenario 1 and 2. Predicted soil erosion under the influence of temperature-induced fast plant growth, higher evapotranspiration rate, and fertilization effect (scenario 5 and 6) is approximately 25% less than that in the scenario 3 and 4.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is said that precipitation and the corresponding soil erosion is likely to increase in the future and care needs to be taken in the study area.

Outlook of Discharge for Dam Watershed Using RCM and SWAT Based on A1B Scenario (A1B시나리오 기반 RCM과 SWAT모형을 이용한 댐유역 유출량 전망)

  • Park, Jin-Hyeog;Kwon, Hyun-Han;Chae, Hyo-Sok;No, S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54-354
    • /
    • 2011
  • 금강유역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을 기후모형 및 수자원영향평가모형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한반도 최적 GCM모형으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ECHO-G GCM모형과 역학적 다운스케일링 기법을 이용한 공간해상도 27km의 지역규모의 MM5 RCM모형을 이용하였다. A1B시나리오 기반으로 고해상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분석기간을 2015년대(2001-2030), 2045년대(2031-2060), 2075년대(2061-2090)로 구분하여 미래 연평균강수량, 기온 등을 전망하였고, 과거 30년 자료의 100년빈도 강수량과 미래의 100년 빈도강수량의 변동성을 평가하였다. 기본적으로 GCM 및 RCM은 시공간적 스케일의 상이성으로 인해 수자원 영향 평가를 위한 자료로서 직접적인 이용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RCM 격자자료를 유역단위에서 강우관측소 지점 단위로 공간적 Downscaling을 실시하였으며 RCM 월자료에 대해서 일단위 자료로 시간적 Downscaling을 수행하여 기후모델로부터 발생하는 시공간적 스케일의 문제점을 극복하였다. 또한 유역단위의 상세수문시나리오를 생산하기 위해서 다지점 비정상성 Downscaling 기법을 활용하여 기존 일강수량 모의기법에서 간과 되었던 비정상성을 고려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사상의 변동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2001년~2006년 기간동안 SWAT모형을 이용하여 용담댐유역 용담댐 지점의 유입량과 SWAT의 최종방류부의 유량분석값을 비교한 결과 모의치와 실측치가 90.1%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천천수위관측소 지점의 유량을 모형결과와 비교분석 한 결과에서도 91.3%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청댐 지점의 유입량과 SWAT의 최종방류부의 유량분석값을 비교한 결과 모의치와 실측치가 84.4%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금강유역내 용담댐 및 대청댐을 대상으로 유출분석 검토 결과 적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후변화 분석기간은 2011년부터 2090년까지 80년을 대상기간 으로 선정하였으며, 분석결과 2011~2020년 사이 유출량이 18%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Variability analysi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in Korean Peninsular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강수 및 온도 변동성 분석)

  • Kwon, Hyun-Han;Kim, Min-J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63-363
    • /
    • 2012
  • 최근 극심하게 변화하고 있는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서 미래 기후를 좀 더 정확하게 예측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결국,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강수, 습도, 바람 등의 기후정보를 기후모형을 이용하여 얻게 되면 이에 따라 우리가 받게 되는 영향, 취약성 등을 평가하여 다양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형적으로 육지의 70% 정도를 산악 지역이 차지할 만큼 복잡한 지형과 다양한 기후의 특성을 나타나고 있어 미래에 대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하는 기본적인 도구이면서 공간해상도가 약 400km인 전지구 기후모형(Global Climate Model; GCM)으로 그대로 활용하기에는 곤란하다. 따라서 지역기후모형(Regional Climate Model; RCM)을 통해서 추정된 A1B시나리오를 기본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GCM이나 RCM 기반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실제 강수의 특성을 제대로 재현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통계적인 상세화 기법을 통해서 수문학적으로 활용 가능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여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제공되는 RCP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북한을 포함하는 한반도 전체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Decision making for coping with climate change uncertainty in water resources planning: Robust Decision Making (기후변화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수자원계획 의사결정: Robust Decision Making)

  • Kang, No-El;Jung, Eun-Sung;Kim, Young-Oh;Park, Jun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4-94
    • /
    • 2012
  • 기후변화 대응은 온실가스 배출의 감축 및 흡수원을 확대하는 완화(mitigation)와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과 취약성을 평가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적응(adaptation)이 상호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를 포함한 국제사회는 대부분 완화를 위해 노력해 왔지만 최근에 들어 완화만으로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회피하기 어렵다는 사실이 인식되면서 적응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적응 계획의 실현화를 위해서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가 반드시 뒷받침 되어야 한다. 기존의 일반적인 의사결정은 다양한 미래 시나리오들 하에 가장 높은 효용을 가져오는 최적(Optimal)의 대안을 채택하는 고전적 결정분석(Classical Decision Analysis)의 프레임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해 미래 기후 예측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최근에는 최적의 대안을 선정하는 것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며 새로운 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한 새로운 의사결정 기법인 로버스트 의사결정(Robust Decision Making, RDM)을 실제유역의 적용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로버스트 의사결정은 RAND에서 개발한 것으로 최적의 대안을 채택하는 것 대신 모든 가능한 시나리오 가운데 가장 안정적인 전략을 채택한다는 것에서 기존의 의사결정 체계와 차이가 있다. 연구의 적용은 안동-임하댐 유역을 대상으로 온실 가스 배출 시나리오 A1B, A2, B1시나리오에 대해 15개의 GCMs에서 산출된 기후자료를 기반으로 기후변화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며, 다양한 측면의 대안을 설정하여 용수공급량을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산정될 각 대안 별 안정적인 정도와 취약한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는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전제한 의사결정을 할 때 로버스트 의사결정이 갖는 장점이 될 수 있다.

  • PDF

Simulation of Suspended Sediment Load Following a Climate Change Scenario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부유사량 변화 모의)

  • Kim, Min-Seok;Paik, Kyung-Rock;Kim, Joong-Hoo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103.1-103.1
    • /
    • 2010
  • 기후변화가 가속됨에 따라 이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 예측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경안천 유역의 부유사량 변화를 모의하였다. SRES A1B 시나리오를 채택하고 이 시나리오에서의 강수량 변화를 10개 GCM을 이용해 모의하였다. 샘플링 오차를 줄이기 위해 BMA(Bayesian model averaging)기법을 사용해 10개 GCM의 결과를 앙상블했다. 부유사량의 모의를 위해 SWAT 모형이 이용되었다. 모의 결과, 경안천 유역의 경우 강수량과 부유사량 모두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하도를 위한 구조물 설계시,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utlook of Discharge for Daecheong and Yongdam Dam Watershed Using A1B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RCM and SWAT Model (A1B기후변화시나리오 기반 RCM과 SWAT모형을 이용한 대청댐 및 용담댐 유역 유출량 전망)

  • Park, Jin-Hyeog;Kwon, Hyun-Han;No, Sun-He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12
    • /
    • pp.929-940
    • /
    • 2011
  • In this study, the future expected discharges are analyzed for Daecheong and Yongdam Dam Watershed in Geum River watershed using A1B scenario based RCM with 27 km spatial resolutions from Korea Meteorological Agency and SWAT model. The direct use of GCM and RCM data for water resources impact assessment is practically hard because the spatial and temporal scales are different. In this study, the problems of spatial and temporal scales were settled by the spatial and temporal downscaling from watershed scale to weather station scale and from monthly to daily of RCM grid data. To generate the detailed hydrologic scenarios of the watershed scale, the multi-site non-stationary downscaling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fluctuations of rainfall events according to the future climate change with considerations of non-stationary. The similarity between simulation and observation results of inflows and discharges at the Yongdam Dam and Daecheong Dam was respectively 90.1% and 84.3% which shows a good agreement with observed data using SWAT model from 2001 to 2006. The analysis period of climate change was selected for 80 years from 2011 to 2090 and the discharges are increased 6% in periods of 2011~2030. The seasonal patterns of discharges will be different from the present precipitation patterns because the simulated discharge of summer was decreased and the discharge of fall was increased.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Green Water using TRMM and National Standard A1B Climate Change Scenario (TRMM과 국가표준 기후변화시나리오(A1B)를 활용한 토양수(Green Water) 분포특성 분석)

  • Han, Woo-Suk;Shim, Ou-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92-92
    • /
    • 2011
  •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6)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물부족이 예상이 되고 있고, 이러한 물부족 현상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물부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행 지표수 및 지하수(Blue Water) 위주의 수자원관리와 더불어 그전에는 수자원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토양수(Green Water)를 새로운 개념의 수자원으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토양수는 현재 물사용량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농업용수 부분에 효율적으로 활용하면, 지표수나 지하수와 같은 수자원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물부족에 대응한 토양수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서는, 과거 뿐아니라 미래의 지역별 시기별 토양수 공간분포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의 분석을 통한 미래 물부족 해결에 도움이 될 새로운 수자원 관리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토양수 분포특성분석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과거 및 미래의 토양수의 공간분포특성을 분석한다. 토양수 분포특성분석모델은 선행 5일간의 일 강우데이터 값을 표준선행강우지표(Normalized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에 적용하여 일 단위 토양수 상태(Wet, Average, Dry condition)를 계산하는 모델이다. 과거 토양수 분석에는 인공위성 강우데이터(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3B42)를, 미래 토양수 분석을 위해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A1B)를 각각 사용하여, 과거 데이터는 27km의 격자로, 미래는 25km 격자크기로 한반도 전체의 일 단위 토양수 상태를 계산했다. 계산된 토양수 결과를 활용해 연 월별 그리고 토양수를 쓸 수 있는 시기, 즉 식물이 자라는 시기(4-9월)의 특성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물부족 대응 토양수 수자원 활용방안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Size Simulation of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for a B1 Type Mobile Harbor (반잠수식(B1) 모바일 하버에 도입될 자동창고 시스템의 크기 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 KIM, Dae-hwan;HAN, Soon-hung;CHUNG, Hyun
    • The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 /
    • v.27 no.1
    • /
    • pp.79-98
    • /
    • 2011
  • The volume of the world's container transportation has been increasing. To serve this transportation need, the size of the container carrier is getting larger. The global ports are required to deepen the waterways as well as to prepare infrastructure to serve these super-size container carriers. However, few ports around the world could meet the requirements. To solve these difficulties, the concept of the Mobile Harbor has been developed. An onboard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AS/RS) has been proposed for the B1 type Mobile Harbor to maximize the container throughput within the limited space of the Mobile Harbor. A scenario of operations and freight movements of the B1 type Mobile Harbor is prepared and the storage size of the B1 type Mobile Harbor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is estimated. The size of the Mobile Harbor and the size of the AS/RS has also been estimated. The optimized size of the Mobile Harbor could b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