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vitis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2초

2021년 국내 포도원에서의 5종 포도 바이러스 감염 실태 조사 (Survey on the Occurrence of Five Grapevine Viruses in Korean Vineyards in 2021)

  • 최여진;곽해련;송명규;김미경
    • 식물병연구
    • /
    • 제30권2호
    • /
    • pp.176-18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2021년 충청북도 및 경상북도에 위치한 7개 지역의 총 29개 포도 과원에서 재배되고 있는 포도 5개 품종에서 총 217의 시료를 채집하였다. 바이러스의 진단을 위해서 5종 바이러스에 대한 종 특이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하였다. 진단 결과 grapevine fleck virus (GFkV)는 126개 시료(58.06%)에서, grapevine leafroll-associated virus (GLRaV)-3는 112개 시료(51.61%)에서, GLRaV-1는 4개 시료(1.84%)에서 확인되었다. 특히 샤인머스캣과 알렉산드리아 품종에서의 감염률이 높았으며, 지역별로는 경북 지역이 높은 감염률을 보였다. 그러나 grapevine red blotch virus (GRBV)와 grapevine berry inner necrosis virus (GINV)는 확인되지 않았다.

한반도 풍혈지의 관속식물상과 보전관리 방안 (Floristic study and conservation management strategies of algific talus slopes on the Korean peninsula)

  • 김진석;정재민;김중현;이웅;이병윤;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13-246
    • /
    • 2016
  • 풍혈지는 여름철에 너덜지대 사면의 암괴 틈에서 찬 공기가 스며 나오며, 또한 결빙현상을 보이는 국소적 저온환경을 형성하는 지역이다. 풍혈지의 국소적인 저온환경은 빙하기에 남하했던 북방계 식물들의 잔존집단이 온대 지역의 해발고도가 낮은 지대에서도 분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한반도에 분포하는 15개소의 주요 풍혈지에 대한 식물상과 식물 종조성, 위협요인 등의 조사를 통하여 풍혈지 식생에 대한 안정적인 보전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15개소의 풍혈지에 대한 식물상 조사결과, 풍혈지의 관속식물은 109과 323속 531종 7아종 47변종 1품종 1교잡종, 총 58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중에서 멸종우려 식물이 8분류군, 한반도 고유종은 26분류군이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인 IV-V등급 식물이 31분류군이었다. 기후온난화에 취약한 북방계 식물이 32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한반도내 식물의 수직적 분포 상에서, 주로 아고산대에서 발견되는 애기가물고사리(Woodsia hancockii), 월귤(Vaccinium vitis-idaea), 좀다람쥐꼬리(Huperzia selago), 토끼고사리(Gymnocarpium dryopteris), 한들고사리(Cystopteris fragilis), 흰인가목(Rosa koreana) 등이 해발고도 100-600 m의 풍혈지에서 생육하고 있었다. 풍혈지는 인위적인 교란과 훼손행위에 대해 어떠한 보호조치 없기 때문에 풍혈지의 주요 식물 종들이 지속적으로 소실되어 가고 있다. 풍혈지에 분포하는 생물종 파악을 위해 모든 분류군을 포함한 생물다양성 조사가 실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풍혈지의 안정적인 관리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국가차원의 보존계획 수립과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관리 방안이 논의되었다.

포도 '캠벨얼리' 품종에서 발생한 아조변이체의 배수성 및 키메라 형태 검정 (Determination of Chimera Types and Ploidy Level of Sports from 'Campbell Early' Grape (Vitis labruscana))

  • 노정호;박교선;윤해근;도경란;허윤영;김승희;이한찬;류명상;박서준;정성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996-1002
    • /
    • 2010
  • '캠벨얼리' 아조변이체의 배수성을 flow cytometry(FCM)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2배체 포도인 '캠벨얼리'와 4배체 포도인 '거봉'과는 달리 '캠벨얼리'에서 발생한 아조변이 3계통의 경우, 잎에서 2배체와 4배체 peak가 동시에 나타났다. 또한 '캠벨얼리' 포도의 과육과 과피의 배수성은 2배체 peak를 보인 반면, '캠벨얼리' 아조변이체는 과피의 배수성은 2배체로, 과육의 배수성은 4배체로 검정되었다. 정확한 염색체 숫자를 알아보기 위해 '캠벨얼리' 유래 아조변이체, '캠벨어리', '거봉' 포도의 근단 조직 염색체 숫자를 현미경 검경하였다. '캠벨얼리'와 '거봉'은 각각 38, 76개의 염색체로 나타난 반면 아조변이체는 2x=38, 4x=76개의 염색체가 혼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캠벨얼리' 아조변이체의 키메라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초정단 분열조직을 현미경 관찰하였다. 대조구로 이용된 2배체 '캠벨얼리'와 4배체 '거봉' 포도는 2개의 tunica 층이 corpus층을 덮고 있었으며, 반면에 아조변이체의 경우 첫번째 tunica 층이 독특하게 분할되어 있었다. '거봉' 포도의 정단분열 조직의 세포 크기는 대체로 '캠벨얼리' 포도보다 더 컸다. 아조변이체의 L-2, L-3 층을 이루고 있는 세포 크기는 4배체인 '거봉' 세포와 유사하였으며 가장 바깥쪽 L-1층을 이루고 있는 세포의 크기는 '캠벨얼리' 포도와 유사한 크기였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 '캠벨얼리' 포도 품종에서 발생한 아조변이체들은 2-4-4형 키메라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Screening Biological Activities of Grape Seed and Skin Extracts of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na B.)

  • Park, Sung-Jin;Lee, Hyeon-Yong;Park, Boo-Kil;Oh, Deog-Hw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31-23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cytotoxicity, sun blocker,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s, and of solvent fractionated 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grape seeds and skins. The strongest lipid oxidative inhibition of 66.9% and 67.6% was observed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20 $\mu\textrm{g}$/$m\ell$ of both ethanol extract and water fraction of grape seeds. Overall, the ethanol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of grape seeds exhibited stronger lipid oxidative inhibition than that of skin extracts. On the other hand, the ethanol extracts of grape skins showed stronger cytotoxicity than that of seeds on MCF-7, Hep3B, and A549 cancer cell lines. However, the water fraction of seed ethanol extracts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 of 76.52% and 67.01% on MCF-7 and Hep3B, respectively among their fractions. Ethanol seed extracts obtained at 3$0^{\circ}C$ had the strongest absorbance both at UVA region (350 nm) and UVB region (308 nm) and the chloroform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bsorbance at W region and butanol fraction at UVA region among their tractions, respectively. In the meantime, the ethanol extracts obtained at 3$0^{\circ}C$ and butanol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39.4% and 37.6%, respectively. This study shows that ethanol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of grape seeds and skins could be potential good materials for functional food and cosmetic products.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캠벨얼리 포도의 총 안토시아닌과 총 페놀의 초음파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anthocyanins and phenolic compounds from campbell early grap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류다연;고은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74-479
    • /
    • 2018
  • 포도의 안토사이아닌과 페놀 화합물의 고효율 추출을 위해 초음파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Box-Behnken design을 사용하여 시료-용매 비율, 추출시간, 초음파의 진폭을 독립변수로 하였으며, 총 안토사이아닌과 총 페놀 함량을 최대로 하는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총 안토사이아닌 함량은 3가지 독립변수가 유의적인 요인으로 시료-용매 비율이 증가할수록, 추출시간과 진폭은 감소할수록 총 안토사이아닌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총 페놀 함량은 3가지 독립변수 모두 유의적인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총 안토사이아닌과 총 페놀 함량의 예측 값과 실측 값이 유사하여 본 연구에서 예측된 회귀식을 신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양진단을 위한 신속한 엽분석 방법으로서 근적외분광분석기의 이용 (Application of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as a Rapid Leaf Analysis Method to Evaluate Nutritional Diagnosis in Apple (Malus Domestica Borkh, Fuji) and grape(Vitis Labrusca, Campbell Early))

  • 서영진;박만;김창배;;윤재탁;조래광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2-246
    • /
    • 2000
  • 근적외 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과수의 영양진단을 위한 신속한 엽분석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사과 '후지'품종 잎 177점, 포도 '캠벨얼리' 품종 잎130점의 시료를 이용하여 1,100~2.500nm까지 근적외영역의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총질소 분석은 살리실산-황산으로 분해후 켈달 증류하여 측정하였다. 근적외 스펙트럼과 총 질소함량과의 상관분석을 이용, 검량식을 개발하였고 화학분석한 결과에 대한 예측식을 구하였다. 사과는 중회귀계수 0.965, 검량식의 표준오차 0.086, 포도는 중회귀계수 0.926, 검량식의 표준오차 0.152이었다. 개발된 검량식을 이용하여 예측식을 작성한 결과는 사과의 경우 0.360, 포도 0.210의 결과를 얻었다. 지역간, 년차간 발생되는 변이가 보정된다면 신속한 엽분석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도시지역 곰솔림의 식생복원모델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of Pinus thunbergii in Urban Areas)

  • 김석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2호
    • /
    • pp.151-16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to restoration model of Pinus thunbergii in Saha-gu,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is presented by separating community planting and edge planting. The community planting species of tree layer were Pinus thunbergii and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dentata and Quercus serrata and Quercus alienna and Quercus variabilis. The community planting species of subtree layer were Platycarya strobilacea and Prunus sargentii and Styrax japonica and Eurya japonica and Morus bombycis. The community planting species of shrub layer are Ulmus pavifolia and Ulmus davidiana and Lindera obtusiloba and Elaeagnus macrophylla and Mallotus japonicus and Ligustrum obtusifolium and Sorbus alnifolia and Rhus trichocarpa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Rosa wichuraiana and Rhus chinensis and Viburnum erosum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Rhododendron yedoense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And the planting species of edge vegetation are Japanese Angelica and Symplocos chinensis and Pittosporum tobira and Lespedeza maximowiczii and Lespedeza bicolor and Rubus coreanus and Rubus idaeus and Vitis thunbergii and Ampelopsis brevipedunculata and Rosa multiflora. Considering the population of individuals up to layers in each $400m^2$ area, it was composed of 24 in tree layer, 35 in subtree layer, 410 in shrub layer and 34% herb layer in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the average of breast-high area and canopy area was $10,852cm^2$ in tree layer, in subtree layer $1,546cm^2$, in shrub layer $1,158,660cm^2$.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rees was calculated as 2.0m in tree layer, 1.9m in subtree layer.

중부지방 낙엽조경수목의 열매색 특성 및 지속 기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uit color characteristics and persisting period of deciduous woody landscape plants in Middle area of Korea)

  • 서병기;심경구;정해준;심재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4-154
    • /
    • 1995
  • The fruit color characteristics and persisting period of deciduous woody landscape plant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field survey in Suwon region from January 1, 1992 to March 20, 1993.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was as follows; The total fruit color persisting period was about 320 days from May 1, 1992 when Prunus mume was beginning of fruit coloring, to March 20, 1993 when the fruits of Platanus occidentalis and platanus X acerifolia were persisting. And the plants of fruit persisting period over 60 days after leaf falling were Vibumum erosum, Ilex serrata, Ilex verticillata 'Christmas Cheer', Platanus X acerifolia, Platanus occidentalis, Berberis thunbergii 'Atropupurea', Ligustrum obtusifolium. According to the KBS standard color number, 52.6% of of the fruit color were red, 18.9% yellow, 11.6% black, green 9.5%, white 2.1%, violet 1.1%, and red is followed black 4.2%. Evodia daniellii, Ilex verticillata 'Christmas Cheer', Ilex serrata, Ginkgo biloba, Lindera obtusiloba, and Lindera erythrocarpa should be planted male and female species together for fruits. We got the new information on the fruit color characteritics and persisting period of Malus 'Hopa', Malus 'Almey', Malus 'Pioneer X', Acer rubrum, Malus prunifolia, Pyrus serotina, Berberis thunbergii 'Atropurpurea', Vibumum rhytidophyllum, Rosa spp. Vitis vinifera, Vaccinium angustifolium, Ilex verticillata 'Christmas Cheer', Magnolia stellata, Aronia arbutifolia, Sorbus alnifolia, Lonicera japonica var. aueroreticulta, and Ligustrum X vicaryi. And we need to introduce new cultivars of woody landscape plants including Malus spp, Berberis spp, Sorbus alnifolia yellow autumn leaf clone etc. for the better planting design. The fruit persisting period of woody landscape plants studied by fruit name was that sorosis 276 days, samara 155 days, legume 153 days, hip 133 days, pome was 124 days, drupe 92 days, berry 73 days, capsule 67 days, follicle 55 days and nut 52 days respectively.

  • PDF

Phenolic plant extracts are additive in their effects against in vitro ruminal methane and ammonia formation

  • Sinz, Susanne;Marquardt, Svenja;Soliva, Carla R.;Braun, Ueli;Liesegang, Annette;Kreuzer, Michae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7호
    • /
    • pp.966-976
    • /
    • 2019
  • Objective: The methane mitigating potential of various plant-based polyphenol sources is known, but effects of combinations have rarely been test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binary and 3-way combinations of such phenol sources affect ruminal fermentation less, similar or more intensively than separate applications. Methods: The extracts used were from Acacia mearnsii bark (acacia), Vitis vinifera (grape) seed, Camellia sinensis leaves (green tea), Uncaria gambir leaves (gambier), Vaccinium macrocarpon berries (cranberry), Fagopyrum esculentum seed (buckwheat), and Ginkgo biloba leaves (ginkgo). All extracts were tested using the Hohenheim gas test. This was done alone at 5% of dry matter (DM). Acacia was also combined with all other single extracts at 5% of DM each, and with two other phenol sources (all possible combinations) at 2.5%+2.5% of DM. Results: Methane formation was reduced by 7% to 9% by acacia, grape seed and green tea and, in addition, by most extract combinations with acacia. Grape seed and green tea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acacia also reduced methane proportion of total gas to the same degree. The extracts of buckwheat and gingko were poor in phenols and promoted ruminal fermentation. All treatments except green tea alone lowered ammonia concentration by up to 23%, and the binary combinations were more effective as acacia alone. With three extracts, linear effects were found with total gas and methane formation, while with ammonia and other traits linear effects were rare.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d methane and ammonia mitigating potential of various phenolic plant extracts and showed a number of additive and some non-linear effects of combinations of extracts. Further studies, especially in live animals, should concentrate on combinations of extracts from grape seed, green tea leaves Land acacia bark and determine the ideal dosages of such combinations for the purpose of methane mitigation.

'캠벨얼리' 포도의 휴면기 눈 발달 및 수삽을 통한 발아 특성 조사 (Bud Development and Bud Break Characteristics in Water Cuttings of 'Campbell Early' Grapevine during Dormancy)

  • 이별하나;박요섭;권용희;한점화;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2호
    • /
    • pp.202-209
    • /
    • 2015
  • 본 연구는 수삽을 이용한 'Campbell Early' 포도나무의 발아 특성 관찰을 통해 눈의 내재 휴면 타파를 위한 저온축적과의 관계를 구명하고, 저온에 노출되는 동안 눈의 발달 양상을 관찰하여 발아와 휴면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만개 120일 후(낙엽기 : 10월 7일)부터 시료를 수집하여 수삽하였으며, 만개 후 125일부터 온도가 $7.2^{\circ}C$도 이하로 내려가 CU 축적이 시작되었다. 발아율은 만개 150일 이후부터 100% 발아하였으나 165일 이후 수집된 가지에 비해 최초 발아까지의 기간이 2배 이상 소요되어 발아속도가 현저히 떨어졌다. 즉, 만개 165일 이후에는 100% 발아할 뿐만 아니라 발아 소요일수가 짧아 내재 휴면이 완전히 타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기간 동안 CH 모델과 Utah 모델에 의한 저온 적산 값 계산 시, 각각 321h와 442CU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 시기 이후부터 주아의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제 1 부아의 생존율은 시기적인 차이 없이 90% 수준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화아형성이 이루어진 눈을 대상으로 조사된 주아 대비 부아의 비율은 내재 휴면이 타파되기 이전인 만개 후 150일에는 1:0.23으로 주아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으나, 내재 휴면이 타파된 이후 최종적으로 만개후 255일에 이르러서는 1:1.54로 주아에 비해 부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액아의 생존율 및 화아형성율과의 각 조사항목 간 상관분석에서는 주아에서만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주아의 생존율 자체는 시기와 가장 밀접한 관련을 나타내었고, 주아의 생존율과 화아형성률 사이에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