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549 cell line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3초

Korean Red Ginseng water extract inhibits cadmium-induced lung injury via suppressing MAPK/ERK1/2/AP-1 pathway

  • Mitra, Ankita;Rahmawati, Laily;Lee, Hwa Pyoung;Kim, Seung A.;Han, Chang-Kyun;Hyun, Sun Hee;Cho, Jae You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5호
    • /
    • pp.690-699
    • /
    • 2022
  • Background: Few studies reported the therapeutic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KRG) in lung inflammatory diseases. However, the anti-inflammatory role and underlying molecular in cadmium-induced lung injury have been poorly understood, directly linked to chronic lung diseases (CLD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cancer etc.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activities of water extract of KRG (KRG-WE) in mouse cadmium-induced lung injury model. Method: The anti-inflammatory roles and underlying mechanisms of KRG-WE were evaluated in vitro under cadmium-stimulated lung epithelial cells (A549) and HEK293T cell line and in vivo in cadmium-induced lung injury mouse model using semi-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 luciferase assay, immunoblotting, and FACS. Results: KRG-WE strongly ameliorated the symptoms of CdSO4-induced lung injury in mice according to total cell number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and severity scores as well as cytokine levels. KRG-W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upregulation of inflammatory signaling comprising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and their upstream enzymes. In in vitro study, KRG-WE suppressed expression of interleukin (IL)-6,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and IL-8 while promoting recovery in CdSO4-treated A549 cells. Similarly, KRG-WE reduced phosphorylation of MAPK and c-Jun/c-Fos in cadmium-exposed A549 cells. Conclusion: KRG-WE was found to attenuate symptoms of cadmium-induced lung injury and reduce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genes by suppression of MAPK/AP-1-mediated pathway.

인체유암세포주 MCF-7의 형태변화와 증식에 영향을 주는 항암활성물질, MCH-201 (Antitumoral Compound , MCH-201 , an Effector on Proliferation and Morphology of Human Breast Tumor Cell Line, MCF-7)

  • 김항섭;김세은;김영호;이성우;오구택;김환묵;이정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6-321
    • /
    • 1993
  • MCH-201 was isolated from the mycelium of Streptomyces sp. Ba16 as a potent effector on proliferation and morphology of human breast tumor cell line, MCF-7. Morphological change could be observed at concentration between 2.5${\mu}$g/ml and 250pg/ml and showed cytotoxic effect at the concentration of more than 5${\mu}$g/ml. This compound also showed inhibitory effect on DNA synthesis of hepatoma cells, Hepa 1c1c7, and strong cytotoxic effect on proliferation of human tumor cell lines, A549 and XF498.

  • PDF

선택적 Cyclooxygenase-2 억제제인 Celecoxib가 상이한 Cyclooxygenase-2 발현량을 가진 인간 암세포주들에 대하여 유도하는 방사선 감수성 증진 작용 (The Enhancement of Radiosensitivity by Celecoxib, Selective Cyclooxygenase-2 Inhibitor, on Human Cancer Cells Expressing Differential Levels of Cyclooxygenase-2)

  • 표홍렬;신유근;김현석;성진실;서창옥;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3호
    • /
    • pp.216-221
    • /
    • 2003
  • 목적: Cyclooxygenase-2 (COX-2)를 과발현하는 A549 인간폐암세포주와 발현하지 않는 MCF-7 인간유방암세포주에서 선택적 COX-2 억제제인 celecoxib의 방사선 감수성 증진 작용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A549 세포와 MCF-7 세포에 대해서 방사선 혹은 방사선과 celecoxib를 병용 투여한 후에 clonogenic radiation survival 실험을 시행하였다. 같은 실험을 각각 $10\%$$1\%$의 FBS를 포함한 배지에서 반복하였다. 각 세포에 방사선과 celecoxib를 동시 혹은 단독 투여한 후에 각 실험 그룹의 세포사멸을 측정하였다. 결과: 약물 투여 기간 동안 $10\%$의 혈청을 포함한 배지 조건에서 배양된 A549세포에서는, $30\muM$$50\muM$ 농도의 celecoxib가 투여된 상태에서 surviving fraction=0.1에서의 Radiation enhancement ratio (RER)가 각각 1.58과 1.81로 celecoxib가 A549 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방사선 감수성의 증가는 세포를 $1\%$의 혈청을 포함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때는 소실되었다. MCF-7 세포에서는 $10\%$$1\%$ 혈청을 포함한 각각의 배지조건 하에서celecoxib에 의한 방사선 감수성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A549와 MCF-7 세포의 각 그룹에서 세포사멸을 측정한 결과 celecoxib와 방사선이 병용 투여되었을 때 유도되는 세포사멸은 상호 상승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COX-2 선택적 억제제인 celecoxib는 COX-2를 과발현하는 A549 세포에서 선택적으로 방사선 감수성을 증진시켰으며, 저농도의 혈청을 포함한 배지 조건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소실되었다. COX-2를 발현하지 않는 MCF-7 세포주에서는 celecoxib에 의해서 방사선 감수성이 변화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celecoxib의 방사선 감수성 증진 작용 기전에 세포 사멸은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비소세포폐암주에서 산소 농도에 따른 미세 배양 환경과 세포 증식능 (Microenvironments and Cellular Proliferation Affected by Oxygen Concentrat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

  • 신종욱;전은주;곽희원;송주한;이영우;정재우;최재철;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3호
    • /
    • pp.242-250
    • /
    • 2007
  • 배경 및 목적: 암세포는 빠른 증식 속도로 인하여 상대적인 저산소증에 노출되면서 비정상적인 종양 혈관을 형성하여 치명적인 병인을 형성한다. 저산소증에서의 암세포 내의 유전자 표현을 연구하는 것은 병인의 규명과 나아가 치료에 결정적인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외 배양한 비소세포폐암의 증식과 저산소증 상태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비소세포폐암주인 A549를 RPMI 배지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저산소 유사 상태는 Modular Incubator Chamber(MIC-101)을 이용하였고 5% 이산화탄소와 95% 질소 혼합 가스를 5분간 공급하여 저산소 상태를 만들었으며 세포 배양액을 채취하여 혈액가스분석기(Blood Gas Analyzer ABL 725)로 세포 배양 상태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5% $CO_2$와 멸균한 대기 공기 95%가 혼합된 가스를 사용하였다. 세포의 증식 상태는 MTT 방법을 실시하였다. 결과: 1. MIC-101을 이용하였을 때, 무산소혼합가스를 투여 후 30분에 50%의 산소 분압저하를 확인하였으며, 대기 가스에 의해 산소농도를 회복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무산소 혼합가스로 정화(purging)를 하면 산소의 분압을 더 낮출 수 있었다. 3. 저산소 상태에서 세포 배양액 내에는 pH 감소, 젖산 증가, 포도당의 감소와 같은 미세환경이 변하였다. 4. 세포배양액에 따라 저산소에 의해 유도되는 포도당 저하에 차이가 있었다. 5. 비소세포폐암주는 저산소에 의해 증식능이 억제되었다. 결론: 저산소 상태는 세포 배양액 내 포도당 농도의 감소, 젖산의 증가, pH의 감소 등 세포 배양 미세 환경을 변화시키며, 비소세포폐암세포는 증식이 억제된다. 저산소는 미세 환경 변화와 함께 직접적으로 그리고 간접적으로 비소세포의 증식능에 영향을 미친다.

폐암 세포주에서 광역학 치료에 의한 유전자 발현 분석 (Gene Expression Profile of Lung Cancer Cells Following Photodynamic Therapy)

  • 성지현;이미은;한선숙;이승준;하권수;김우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1호
    • /
    • pp.52-58
    • /
    • 2007
  • 연구배경: 광역학 치료는 폐암 치료에 실질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많은 연구들에서 폐암 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일으킨다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세포사멸의 기전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에 암세포의 전사에서 초기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방 법: 광과민성 물질인 DH-I-180-3으로 A549 세포에 처리를 하고 광역학 치료를 한 후 관찰하였다. 광역학 치료 후 DEG kit를 이용하여 폐암 세포주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보았으며,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세포 사멸을 측정하였다. 광역학 치료 후 의미있는 변화를 보인 유전자는 염기서열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결 과: 유세포분석 결과 폐암세포주는 대부분 세포괴사에 의하여 사멸되었다.광역학 치료 후, 9개의 유전자에서 명확한 변화가 있음을 발견했으며 이 중8개의 유전자를 밝혀내었다. 3-phosphoglycerate dehydrogenase와 리보솜 단백질 S29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으며, carbonic anhydrase XII, clusterin, MRP3s1 protein, complement 3, membrane cofactor protein, ${\beta}$-1 integrin의 유전자 발현은 감소되어 있었다. 결 론: 본 연구는 광과민성 물질인 DH-I-180-3을 이용한 광역학 치료에서 폐암 세포의 세포사멸의 주된 기전이 세포괴사에 의해 이루어 진 것임을 밝혀냈으며, 이와 관련된 유전자들 대부분이 막단백의 변화를 통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TNFR)-associated factor 2 (TRAF2) is not Involved in GM-CSF mRNA Induction and TNF-Mediated Cytotoxicity

  • Kim, Jung-Hyun;Cha, Myung-Hoon;Lee, Tae-Kon;Seung, Hyo-Jun;Park, Choon-Sik;Chung, Il-Yup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11-116
    • /
    • 1999
  •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TNFR)-associated factor 2 (TRAF2) is known to act as a signal transducer that connects TNFR2 to its downstream effector functions such as proliferation of thymocytes,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and cell death. TRAF2 consists of largely two domains, the N-terminal half that contains a signal-emanating region and the C-terminal half that is responsible for binding to the intracellular region of TNFR2.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ossible roles of TRAF2 i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gene expression and cell death. A truncated mutant of TRAF2 ( 2-263) that contains only a C-terminal half was generated, and transiently transfected to the A549 cell, a human lung cancer cell line, and L929 cell, a murine TNF-sensitive cell line. GM-CSF mRNA was induced in untransfected A540 cells both in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upon the exposure of TNF. However, neither the full length TRAF2 nor the mutant altered GM-CSF mRNA production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NF. Furthermore, neither TRAF2 versions significantly changed the cytotoxic effect of TNF on L929 cells. These data suggest that TRAF2 may not be involved in the signal transduction pathway for GM-CSF gene induction and cell death mediated by TNF.

  • PDF

재래종 무와 갯무 추출물의 암세포주 증식 저해 활성 및 Glucosinolate와 Sulforaphane의 함량 (The Glucosinolate and Sulforaphane Contents of Land Race Radish and Wild Race Radish Extracts and Their Inhibititory Effects on Cancer Cell Lines)

  • 최선주;최아름;조은혜;김소영;이건순;이수성;채희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58-563
    • /
    • 2009
  • 무의 유방암 및 폐암 세포주에 대한 증식 저해 활성을 분석하였고, 항암 관련 지표 물질로 알려진 glucosinolate의 함량 및 sulforaphane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유방암 세포주의 하나인 MCF-7 세포주를 이용한 CCK(cell counting kit) assay분석법을 사용하여 재래종 무와 갯무 추출물의 세포 증식 저해율을 조사한 결과, 재래종 무보다 갯무의 세포 증식 저해율이 높았으며, sulforaphane 함량에서도 갯무가 재래종 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 세포주의 하나인 A-549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 증식 저해율을 조사한 결과, 갯무가 재래종 무보다 높은 세포 증식 저해율을 보였으며, 총 glucosinolate함량에서도 갯무가 재래종 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갯무를 이용하여 재래종 무의 품질 특성을 개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Inhibitors of AKT Signaling Pathway and their Application

  • WONG, Chin Piow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33
    • /
    • 2019
  • The AKT signaling pathway is a highly regulated cell signaling system that forms a network with other cell signaling pathways. Hence, the AKT signaling pathway mediates several important cellular functions that include cell survival, proliferation, cell migration, and et cetera. Irregularities that led overactive AKT signaling have been linked to many diseases such as cancer and metabolic-associated diseases. Hence, modulating the overactive AKT signaling pathway via inhibitor is a tantalizing prospect for treatment of cancer and metabolic-associated diseases. Two inhibitors of the AKT signaling pathway will be presented in this symposium: 1) Bisleuconothine A (BisA), a bisindole alkaloid that inhibit autophagy and 2) Ceramicine B (CerB), a limonoid that inhibit adipogenesis. The first topic is on a bisindole alkaloid, BisA and its mechanism in inducing autophagosome formation in lung cancer cell line, A549.(1) Since most autophagy inducing agents generally induce apoptosis, we found that BisA does not induce apoptosis even in high dose. BisA up-regulation of LC3 lipidation is achieved through mTOR inactivation. The phosphorylation of PRAS40, a mTOR repressor was suppressed by BisA. This observation suggested that BisA inactivates mTOR via suppression of PRAS40 phosphorylation. Interestingly, the phosphorylation of AKT, an upstream regulator of PRAS40 phosphorylation was also down-regulated by BisA.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Bis-A induces autophagosomes formation by interfering with the AKT-mTOR signaling pathway. The second topic is on CerB and its mechanism in inhibiting adipogenesis in preadipocytes cell line, MC3T3-G2/PA6.(2,3) CerB inhibits the phosphorylation of protein kinase B (AKT) at the Thr308 position but not the Ser473. Consequently, the phosphorylation of FOXO3 which is located downstream of AKT is also inhibited. Considering that FOXO3 is an important regulator of PPARγ which is a key factor in adipogenesis, CerB may inhibit adipogenesis via the AKT-FOXO3 signaling pathway. Taken together, both BisA and CerB highlighted the potential of AKT signaling pathway modulation as an approach to induce autophagy and inhibit the formation of fat cells, respectively.

  • PDF

Effects of Heat Shock Treatment on Enzymatic Proteolysis for LC-MS/MS Quantitative Proteome Analysis

  • Arul, Albert-Baskar;Han, Na-Young;Jang, Young-Su;Kim, Hyojin;Kim, Hwan-Mook;Lee, Hookeun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7권1호
    • /
    • pp.1-11
    • /
    • 2016
  • Various effort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sample preparation steps, which strongly depend on hands-on processes for accurate and sensitive quantitative proteome analysi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heating the sample prior to trypsin digestion using an instrument to improve the tryptic digestion process. The heat shock generated by the system efficiently denatured proteins in the sample and increased the reproducibility in quantitative proteomics based on peptide abundance measurement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tocol, three cell lines (A human lung cancer cell line (A549), a human embryonic kidney cell line (HEK293T), and a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line (HCT-116))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of heat shock was compared to that of normal tryptic digestion processes. The tryptic digests were desalted and analysed by LC-MS/MS, the results showed 57 and 36% increase in the number of identified unique peptides and proteins, respectively, than conventional digestion. Heat shock treated samples showed higher numbers of shorter peptides and peptides with low inter-sample variation among triplicate runs. Quantitative LC-MS/MS analysis of heat shock treated sample yielded peptides with smaller relative error percentage for the triplicate run when the peak areas were compared. Exposure of heat-shock to proteomic samples prior to proteolysis in conventional digestion process can increase the digestion efficiency of trypsin resulting in production of increased number of peptides eventually leading to higher proteome coverage.

삼해주와 시판 곡주의 생리 기능성 및 세포 독성 효과 (Physiological Functionality and Cytotoxic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Noble Wine, Samhaeju, and Commercial Rice Wine on Various Tumor Cell Lines)

  • 임채란;손희진;조인영;김계원;최수진;김인선;한기영;최진영;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87-693
    • /
    • 2009
  • 잊혀져가고 있는 전통주의 우수함을 알리고자 한국의 전통 반가주인 삼해주를 제조하고 시판되고 있는 곡주와 비교 실험하며, 생리활성 및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문헌에 소개된 방법을 변형하여 3가지 종류의 삼해주를 제조하였으며, 시중에서 곡주 5종을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DPPH 라디칼 제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곡주 G가 가장 뛰어났으며, ABTS 라디칼 제거능은 삼해주가 가장 우수하였다. 삼해주 중에서는 C 시료가 DPPH 라디칼 제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뛰어났다. 혈전용해능의 경우 삼해주 A-C가 13-17U로 다른 곡주에 비해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각 시료에 대하여 10-160배까지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HeLa, A549, L-132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인체유래 자궁암 세포주인 HeLa 세포의 경우 10배 희석액에서 삼해주가 강한 세포 독성을 보였고, A549 세포의 경우 10배 희석액에서 삼해주의 세포독성 효과가 크나 시료에 따라 그 편차가 심하였다. L-132의 경우 10배 희석액에서 삼해주의 세포독성 효과가 다른 시료에 비해 강하였으나, 다른 암세포에 비해 약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삼해주에 존재하는 미지의 약리 성분이 생리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삼해주 제조 시 사용된 누룩과 오랜 발효 기간에 의한 영향으로 생각되며, 누룩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