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artificial reef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1초

인공어초 안정성 해석 프로그램 개발 - 컴퓨터 코딩시스템 적용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Analyzing the Stability of Artificial Reefs - Application of a Computer Coding System -)

  • 전용호;박재형;윤한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37-54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해수 중 유체력에 의한 인공어초의 활동 및 전도를 평가하기 위한 간편하고 효율적인 사용자 중심의 전산 프로그램(SCAR program)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전산 프로그램은 인공어초의 안정성 평가 공식인 모리슨(Morison) 식을 기반으로 델파이(Delphi) 코드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방식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SCAR 프로그램은 학부 및 대학원 과정, 실제 현장 전문가들의 수산구조물(인공어초 또는 수중구조물 등) 설계 및 안정성 평가에 널리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서해연안 잠보형 인공어초 어장에서의 수산자원 조성효과와 사이드스캔 소너에 의한 인공어초 상태조사 (An Effect on Fisheries Resources Enhancement of Hollow Jumbo Structure and a Search for Artificial Reefs by Side Scan Sonar in the Western Sea of Korea)

  • 박해훈;신종근;김재오;박승윤;김호상;임동현;박영철;조성환;홍승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3호
    • /
    • pp.230-238
    • /
    • 2003
  •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충청남도 보령군 오천면 횡견도 지선의 잠보형 인공어촉, 자연초구 및 비교구 어장에서 해양환경, 상대어획효과, 종조성 조사와 2001년 사이트스캔 소너 등을 이용하여 인공어초 상태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해역에서 잠보형 어초시설구의 저질은 입도분석 결과, 니질성분8.4%, 모래성분 79.6%, 자갈성분이 12%로 사질이 우세하였다. 삼중자망에 의한 잠보형 어초시설구의 비교구에 대한 어획효과는 마리수로는 2.0배, 중량으로는 2.7배의 효과가 있었는데, 최소유의차(LSD)로 검정한 결과, 평균 중량 및 마리수 사이에 5%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발에 의한 어획시험 결과, 전체 어획량은 적었으나 어초시설구가 비교구 보다 마리수로는 3.2배, 중량으로는 5.0배의 어획 효과가 있었으며, 최소유의차로 검정한 결과, 시설구와 비교구 사이에는 중량에서만 5% 유의수순에서 차이가 있었다. 2000년 10월 어초시설구와 비교구 두곳에서 많이 어획된 도다리의 전장은 어초시설구에서 21.3$\pm$2.3cm로 비교구의 22.4$\pm$2.1cm보다 작은 것으로 차이가 나타났고(p=0.01), 체중은 어초시설구에서 132.4$\pm$42.6g, 비교구에서는 155.0$\pm$46.1g으로 사설구의 체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2). 따라서, 시설구는 소형어의 성육장 역학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이트스캔 소너에 의한 인공어초의 영상은 어초가 밀집하여 쌓인 것, 분산하여 시설된 것, 인공어초가 줄 또는 그물에 덮여 훼손된 것, 세굴현상이 일어난 것 및 어초의 일부가 매몰이 된 것을 보여주었다 서해 같이 조류가 빠른 해역에서, 저질이 모래인 경우는 조류에 의해 표사 이동이 일어나므로, 현재의 적지선정 기준에 대해서 지역에 따른 특수성을 고려한 기준이 추가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고층 강제어초의 유체력 산출을 위한 예인시험 및 구조해석 (Structural Analysis and Towing Test for Predicting Drag Coefficients of a Very High-rise Steel Artificial Reef)

  • 신현경;박호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44-52
    • /
    • 2001
  • 초고층 강제어초를 대상으로 3차원 형상표현, 도면 자동 추출, 자재물량정보 산출, 구조해석 입력정보 산출 등이 가능한 모델링 프로그램이 연구(I)에서 개발된 이래 강제어초에 미치는 유체 항력을 구하기 위해 해양공학광폭수조에서 모형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구조적인 문제를 점검하기 위해서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초고층 강제어초를 설계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사각형 인공어초의 실체적율 및 개수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pplication Method for Counting and Volume Ratio of Artificial Reefs)

  • 김진호;유재근;홍준표;손팔원;최낙중;김병균;최용석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6년도 전기학술대회논문집
    • /
    • pp.211-212
    • /
    • 2006
  • 인공어초에 대한 정확한 개수산정은 인공어초 사후관리사업의 필요충분조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정립된 기준 산정방법이 없으며, 개수 산정시 필요한 실체적율 또는 0.8을 관례적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어초를 투하한 직후 멀티빔에코사운더를 이용한 조사를 통하여 정확한 실체적율값을 알아보았다.

  • PDF

IT 정보기기 융합 인공어초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T Convergence Artificial Fish-reef System)

  • 송봉수;김원영;이영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9-122
    • /
    • 2010
  • 본 논문은 황폐화된 어장의 생산성을 제고하고 자원을 증강시키는 목적으로 최근 국내외에서 추진되고 있는 인공어초에 대한 사후관리와 성능 평가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보안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바다목장 내에 시설된 인공어초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주변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IT 융합 인공어초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 하였다.

  • PDF

컴퓨터 그래픽스 기법을 이용한 초고층 강제어초에 관한 연구(I) - 설계지원 프로그램 개발 (A Study on Very High-rise Steel Artificial Reefs Based on Computer Graphics - part I (Design Aided Program Development))

  • 신현경;박호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99-108
    • /
    • 1999
  • 초고층강제어초(VEry High-rise Steel Artificial Reef, VEHSAR)의 형상 표현과 해석을 위해서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을 Windows 95(또는 Windows NT) 환경하에서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를 기반으로 한 Visual C++로 개발하였다. 컴퓨터를 통해 미리 초고층 강제어초 건조를 실제와 같이 구현해 봄으로써 문제점의 사전 예측 및 대책 수립 등을 가능케 하는 저비용 고효율의 일관설계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이 프로그램은 객체지향프로그램 기법과 CAD/CAM기술의 도입으로 생산성 향상이 기대되며, OpenGL이라는 그래픽 라이브러리를 도입하여 좀더 빠른 고화질의 3차원 그래픽을 화면상에 나타나게 할 수 있다.

  • PDF

한·중 어업자원관리제도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System between Korea and China)

  • 차철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146-167
    • /
    • 2001
  • Korea and China are two opposite countries located aside Yellow Sea and co-utilize the East China Sea. The two countries are close together from geological point of view, however, the competitive development of resources was more emphasized than the cooperative development of resour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because the special policy relationship. Additionally, after the communist government of China was founded in 1949, the political concep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quite different.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international fisheries co-operation was impossible, and the international management problems of fisheries resources in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were let alon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came to force in 1994, Korea and China adopted the exclusive economic zone system in 1996. On the other hand, Fisheries Law in Korea was enacted in 1953 in order to management of fisheries resources, and also China was enacted fisheries law in 1986. The two countries control the fisheries effort through fisheries license system, meanwhile through prohibition fishing area, prohibition fishing period, limitation of net size, and limitation of body length to conserve and manage the fisheries resource. The serious management methods of resource management in the two countries are similar such as the creation of promptly decreased species and those species that have commercial value, discharge of fish seedling stock, settlement of artificial reef and clean of fishing ground. Therefore, the two countries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improvement of formal law system, but also how to recover the fisheries resources in circumference water zone and how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Specially the settlement and management of artificial reef should be chosen in the area that have the highest benefit to two countries, and should establish the common management system of discharge of fish seedling stock. And the two countries should adopt the same criteria through technical management and limitation of net size, limitation of body length, and prohibition area of special fisheries to ensure the highest fisheries benefit of fisherman in the two countries and the highest efficiency of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 PDF

파랑특성(波浪特性)에 따른 월파량산정(越波量算定)에 관한 연구(硏究) (The Estimated Model of Wave Overtopping Volume according to Wave Characteristic)

  • 박상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13-128
    • /
    • 1990
  • 해안지대(海岸地帶)의 토지(土地) 이용(利用)이 고도화(高度化) 되면서 호안배후지(護岸背後地)에 발생(發生)하는 재해(災害)에 대한 관심도(觀心度)가 날로 증가(增加)하고 있다. 재해(災害)는 태풍(颱風)이 해안지대(海岸地帶)에 내습(來襲)하여 호안(護岸)을 파괴하고 해수(海水)가 육지(陸地)에 침입함으로써 발생(發生)하고 있다. 이러한 월파(越波)에 대한 재해(災害)는 과거(過去)에는 방재불능(防災不能)의 재해(災害)로 인식(認識)되어 왔지만 현재(現在)는 월파(越波)에 대한 연구(硏究)와 대책(對策)이 충분히 강구(講究)되어 있는 실정(實情)이다. 이들 재해(災害)를 방지(防止)하고 호안배후지(護岸背後地)를 유지관리(維持管理)하기 위해서는 내습(來襲)하는 고파랑(高波浪)을 먼 바다에서 강제쇄파(強制碎波) 시킴으로 인해서 월파(越波)가 발생(發生)하기 직전(直前)에 파고(波高)를 저감(低減)시키는 것도 면적방어공법(面的防禦工法) 가운데 하나이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내습(來襲)하는 파랑(波浪)의 특성(特性)(쇄파(碎波), 비쇄파(非碎波) 그리고 불규칙파(不規則波), 규칙파(規則波))을 고려(考慮)하여 불규칙파(不規則波)의 인공(人工)Reef상에서 파고(波高) 주기결합분포(週期結合分布)의 적용성(適用性)을 검정(檢定)하고, 월파량(越波量)을 산정(算定)함으로써, 보다 정도(精度) 높은 월파량(越波量)을 산정(算定) 할 수 있는데 특성(特性)이있다. 한편, 불규칙파(不規則波)의 월파량(越波量) 실험(實驗)을 통하여 기존식(旣存式)들과 비교(比較)하여 본(本) Model의 적용성(適用性)을 밝히고, 규칙파(規則波)와 불규칙파(不規則波)의 월파량(越波量)의 차(差)를 밝혀서 직접(直接) 설계(設計)의 기초자료(基礎資料)로 이용(利用) 하도록 하였다.

  • PDF

균일 흐름에 놓인 테트라포드 후류 유동특성에 대한 PIV 계측 (PIV measurement on flow characteristics behind a Tetrapod in uniform flow)

  • 김옥석;이경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4권3호
    • /
    • pp.207-217
    • /
    • 2008
  • Costal regions in Korea often suffer severe damages due to wave-induced disasters, storm surge disasters and so on. therefore, many engineers and researchers have devoted their energy to prevent these costal disasters.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reefs including sunken vessels is one of their remarkable achievements and various kind of these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s have been designed and applied. However,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a Tetrapod under the water has not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So in this article, in uniform flow of circulating water channel and some different velocities, PIV measurement has been conducted on the flow characteristics behind a Tetrapod. The results were analyzed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both cases of a Tetrapod.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both cases have its own distinctive flow characteristics behind the bluff body; Case A has an steep upstream flow pattern. On the contrary, Case B has an developed downstream flow pattern in the near wake of the Tetrapod. The velocity gradient at position x=150mm of Case-A appears gently up and down But, the velocity gradient at the same position of Case-B appears better highly up and down.

동아시아의 인공어초 개발과 연구 현황 (A Review-Status of Development and Research of Artificial Reefs in the East Asian Countries-)

  • 이문옥;김종규;김병국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630-644
    • /
    • 2016
  •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review on artificial reefs (ARs) including seaweed reefs for marine afforestation in relation to their development and research from 1972 to 2016, and then systematically analyzed their current a state-of-the-art and practice. From the review, the followings conclusions are made. First, the objectives of AR projects in the Southeast Asi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i.e. protection and increase of fishery resources, local community's profits, and ecological tourism. Second, fish gathering effects by ARs can be determined in terms of wake region or wake length that tends to increase with the K-C (Keulegan-Carpenter) number. Third, ARs are desirable to deploy across a direction of the main flow but it is essential to keep the deployment interval two to four times the length of a single reef. Fourth, stability of ARs depends on how to evaluate drag coefficient, and Morison formula turns out to be practical. Fifth, local scours of ARs are likely to occur due to a downward flow around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Finally, it is natural for ARs to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marine ecosystem but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n evaluation method for the effects of ARs on the marine eco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