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8-heptadecen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7초

Polyacetylene Compound from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Inhibited Caspase-1-mediated IL-$1{\beta}$ Expression

  • Shim, Hong;Moon, Jung Sun;Lee, Sookyeon;Yim, Dongsool;Kang, Tae Jin
    • IMMUNE NETWORK
    • /
    • 제12권5호
    • /
    • pp.213-216
    • /
    • 2012
  • Our previous report showed that polyacetylene compound, 1-Heptadecene-11, 13-diyne-8, 9, 10-triol (PA) from the root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has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the PA as inhibitor of caspase-1, which converts prointerleukin-$1{\beta}$ (proIL-$1{\beta}$) to active IL-$1{\beta}$ and is activated by inflammasome involved in the inflammatory process. We tested the effect of PA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1{\beta}$ in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PA inhibited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L-$1{\beta}$ production by macrophages at a dose dependent manner. PA also suppressed the activation of caspase-1. The mRNA level of ASC (apoptosis-associated spec-like protein containing a CARD), an important adaptor protein of inflammasome, was decreased in the PA treated group.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A is due to inhibit the caspase-1 activation.

Polyacetylene Compound from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Inhibits the LPS-Induced Inflammatory Reaction via Suppression of NF-κB Activity in RAW 264.7 Cells

  • Kang, Tae-Jin;Moon, Jung-Sun;Lee, Sook-Yeon;Yim, Dongs-Soo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9권1호
    • /
    • pp.97-101
    • /
    • 2011
  •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is known to have a variety of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algesic activity and antipyretic activ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polyacetylene compound, 1-Heptadecene-11, 13-diyne-8, 9, 10-triol (PA) from the root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as an immune-modulator. PA was evaluated as inhibitors of some macrophage functions involved in the inflammatory process. We tested the effect of PA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nitric oxide (NO) in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There was no effect on cytokine production of macrophages by PA itself. However, PA inhibited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L-$1{\beta}$ and TNF-$\alpha$ production by macrophages at a dose dependent manner. PA also suppressed the NO production of macrophages by LPS. LPS-induced NF-${\kappa}B$ activity was decreased by treatment of PA.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 has anti-inflammatory effect by inhibiting the NF-${\kappa}B$ activation.

유적지에서 출토된 고대 토양의 과학적 분석연구-해남 분토리 및 경주 금장리 유적지 토양을 중심으로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 Archaeological Soil excavated at bunto-ri, Haenam and kumjang-ri, Kyungju)

  • 서민석;김민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7호
    • /
    • pp.203-214
    • /
    • 2006
  • The work focuses on the chemical analysis of organic residues in archaeological soils. Particularly, the detection of manuring in archaeological soils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concerning early human behavior, diet, parasites, ecological adeptation. In this study, archaeological soils excavated at bunto-ri, Haenam and kumjang-ri, Kyungju were used to assess the possibility as indicators of ancient human activity in archaeological areas. The sampled soils were analyzed soil color, pH for thei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GC/MSD to detect and quantify specific compou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mpled soils were normal pH(6.8~7.2) and soil color of light brown to yellowish brown. Also, the result from the GC/MS analysis indicated that their compounds were hexadecanoic acid, octadecanoic acid, nonadecane, docosanoic acid, methyl ester, teracosanoic acidand methyl este from bunto-ri site and 1-heptadecene, cyclotetracosane, tetracosane, cyclotetracosane,1-docosene, n-nonadecane, tetracosanoic acid methyl ester, cyclooctacosane, 1-nonadecene, eicosane, cyclotriacontane from kumjang-ri site. These compounds are not only normal soil materials but also animal lipid compounds. And the more scientific analysis of the soils will solve a curiosity for artificially incoming.

  • PDF

건 갑오징어의 방사선 조사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지방분해산물 분석 (Analysis of Radiolytic Products of Lipid for the Detection of Irradiated Dried Cuttle Fish (Sepia officinalis))

  • 김준형;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72-1078
    • /
    • 2003
  • 방사선 조사된 건갑오징어로부터 유도된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의 양을 비교 분석하였다. 건갑오징어의 지방추출은 Soxtec 기기를 이용하였으며, 지방추출 후 florisil 충진한 column을 이용하여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를 분리하고 GC/MS 분석기기로 확인하였다. 0.5kGy부터 10kGy까지의 방사선 선량별로 조사된 각 시료에서 생성된 hydrocarbon류는 0.5kGy 이상 조사된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조사선량에 따라 생성량도 증가하였다.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로부터 생성된 pentadecane과 1-tetradecene 그리고 heptadecane과 1-hexadecene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함량이 낮은 oleic acid로부터 생성된 8-heptadecene과 1,7-hexadecadiene은 가장 적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2-Alkylcyclobutanone류는 0.5kGy 이상 조사된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palmitic acid로부터 생성된 2-dodecylcyclo-butanone이 두 시료 모두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Stearic acid로부터 생성된 2-tetradecylcyclobutanone 역시 조사선량과 지방산 함량에 따라 생성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함량이 너무 낮게 검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방사선 조사된 건오징어와 건갑오징로부터 생성된 hydrocarbon류는 조사선량에 따라 뚜렷하게 검출되었고 비조사 시료와 비교, 확인이 가능하여 방사선 조사 여부 판별뿐만 아니라 흡수선량을 예측하기 위한 marker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2-alkylcyclobutanone류는 방사선 조사 유무의 marker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국산 및 중국산 두류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Hydrocarbon류의 검출 특성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Hydrocarbons from Irradiated Legumes of Korean and Chinese Origins)

  • 이은영;김미옥;이해정;김경수;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70-776
    • /
    • 2001
  • 방사선 조사 식품의 검지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국산 및 중국산 두류(대두, 땅콩, 적두, 녹두)를 대상으로 0.5~4kGy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hydrocarbon류의 생성특성을 비교하였다. Hexane을 이용하여 추출한 지방질을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hydrocarbon류를 분리시키고 GC-MS에 의해 분석하였다. 방사선 조사된 각종 두류의 hydro-carbon 생성특성은 다소 상이하였고, 두류의 지방산 조성에 영향을 받았다. 대두, 땅콩 및 적두에서는 0.5 kGy 혹은 그 이상으로 조사시켰을 때 16 : 3, 17 : 2, 16 : 2 및 17 : 1을 각각 확인할 수 있었으나, 녹두에서는 17 : 1이 검출되지 않았다. 국산 및 중국산 두류에서 방사선 조사 유래의 hydrocarbon류 생성량은 조사선량에 비례하였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 유래 hydrocarbon류 생성량은 조사선량에 비례하였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 유래 hydrocarbon류의 종류와 양에는 원산지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PSL, TL, ESR 및 GC/MS 분석을 통한 감마선 조사된 유지종실류의 검지 특성 연구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Gamma-Irradiated Seeds by using PSL, TL, ESR and GC/MS)

  • 김규헌;손진혁;강윤정;박혜영;곽지영;이재황;박용춘;조태용;김재이;이화정;이상재;한상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0-137
    • /
    • 2013
  • 본 연구는 비허용 품목인 유지종실류 5종(달맞이꽃씨, 홍화씨, 유채씨, 해바라기씨 및 아마씨)을 선정하여 광자극발광법(PSL), 열발광법(TL), 전자스핀공명법(ESR) 및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GC/MS)을 활용하여 검지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PSL 및 TL 측정 결과, 5종 모두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ESR 분석결과는 5종 모두 조사시료에서 조사유래의 특이 ESR signal이 관찰되지 않아 적용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였다. GC/MS 분석 결과, 홍화씨, 유채씨, 해바라기씨 및 아마씨의 경우에는 조사 유래의 hydrocarbon류가 검출되어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특히, oleic acid에서 유도된 8-heptadecene ($C_{17:1}$), 1,7-hexadecadiene ($C_{16:2}$)이 조사 여부를 확인하는 화학적 마커로 활용 가능성이 높았다. 달맞이꽃씨 경우에는 oleic acid에서 유도된 hydrocarbon류가 검출되지 않아 적용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달맞이꽃씨, 홍화씨 및 해바라기씨에서 감마리놀렌산의 주요 원료인 linoleic acid에서 유도된 1,7,10-hexadecatriene ($C_{16:3}$)과 6,9-heptadecadiene ($C_{16:3}$)이 검출되어 조사여부를 확인하는 화학적 검지 마커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지종실류 5종에 대한 적용 가능성 및 다중분석 체계(PSL-TL-GC/MS)를 확립하였다.

방사선 조사된 현미, 대두 및 참깨의 저장기간에 따른 방사선 조사여부의 이화학적 판별 특성 (Physicochemical Identification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Brown Rice, Soybean and Sesame Seeds during Storage)

  • 이정은;안재준;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46
    • /
    • 2012
  • 현미, 대두 및 참깨에 대하여 감마선 조사(1, 4, 7 kGy)에 따른 판별특성을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thermoluminescence (TL) 및 hydrocarbon 분석에 의해 확인하고, 저장기간에 따른 마커안정성을 관찰하였다. PSL 분석결과, 비조사구에서는 시료 모두 700 이하의 photon counts 값을 나타내었고, 조사된 대두 및 참깨는 5,000 PCs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설정된 negative (700) 및 positive (5,000) 기준에 맞게 비조사구와 조사구의 차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PSL 값은 감소하였으나, 대두는 6개월, 참깨는 12개월까지도 조사여부 스크리닝이 가능하였다. TL 분석결과, 0.5 kGy 이상으로 조사된 세 시료 모두 $150^{\circ}C$ 전후에서 TL glow curve ($TL_1$)을 나타내었고, 12개월 저장 후에도 발광강도만 감소하였을뿐 glow curve의 온도범위는 거의 변화가 없이 조사여부 확인이 가능하였다. 이상의 glow curve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TL ratio ($TL_1/TL_2$)를 축정한 결과, 비 조사구는 0.1 이하, 조사구는 0.1 이상을 내타내어 측정값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Hydrocarbon 분석에서는 oleic acid와 linoleic acid로부터 유도된 $C_{16:1}$, $C_{16:2}$,$C_{16:3}$, $C_{17:1}$, $C_{17:2}$ 생성이 확인되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선량에 따라 생성된 hydrocarbon류는 0.5 kGy 이상 조사된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저장 1년 후에도 조사여부 판별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