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T

검색결과 18,508건 처리시간 0.042초

2003~2004년 경남 마산 지역에서 분리된 A군 연쇄구균의 T 혈청형과 emm 유전자형의 계절별 분포 (Seasonal Distribution of T Serotyping and emm Genotyping of Group A Streptococci Obtained from Children with Streptococcal Infections in Masan, Korea, 2003~2004)

  • 전호상;박화진;이희주;마상혁;차성호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1호
    • /
    • pp.52-60
    • /
    • 2005
  • 목 적 : 류마티스열이나 사구체신염과 같은 합병증의 집단발생 및 GAS 감염의 역학조사를 위해서는 감염균의 혈청형분석이 필수적이다. T 단백은 GAS의 역학적 상황을 이용하는데 유용하여 선별검사로 가장 많이 이용한다. 혈청형 검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emm 유전자를 증폭하여 자동염기서열 분석기를 이용한 emm형별 분석이 최근에 보고가 되고 있다. 그래서 저자들은 emm 유전자를 이용한 자동염기서열 분석과 T 혈청학적 분석을 통하여 마산의 어느 한 센터에서 얻은 GAS의 계절별 분포에 대해서 알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6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경남 마산시에 위치한 창원파티마병원에서 급성 인두염이나 성홍열 또는 봉소염이 의심되는 환아에게 인후배양을 시행하였고, 그 중 GAS로 동정된 100개의 균주를 분리하여 미국 미네소타대학의 WHO Collaborating Center on Group A Streptococci에 보내 T 항원형을 혈청학적 동정을 하였고 emm 유전자 분석을 하였다. 이 결과들을 다시 계절별과 질병별로 분류하였다. 결 과 : T단백 혈청형은 총 19종이 분리되었다. 계절별로 분류하면 여름철에는 빈도순으로 T4(27.5%), T1(17.6%), T6(13.7%), T12(13.7%)이 흔히 분리되었고, 겨울철에는 T4(28.3%), T12(15.2%), T12/B3264(8.7%)의 순서로 흔히 발생하였다. T4, T12는 계절별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 질환별로 분리하면 급성 인두염은 89례를 차지하였는데 T 혈청형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계절별 분포에서와 마찬가지로 T4(26.7%), T12(14.0%), T1(12.8%), T6(11.6%) 순으로 전체 균주의 빈도순과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emm 유전자형은 총 15종류가 분류되었다. emm 1, emm 6, emm 9, emm 44는 겨울철에 많이 감소하거나 없어졌고, emm 3, emm 12, emm 89는 겨울철에 새로 생기거나 빈도가 비교적 많이 증가한 유전자형이었다. 급성 인두염에서 emm 유전자형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계절별 분포에서와 마찬가지로 emm 4(26.7%), emm 22(18.6%), emm 1(12.8%), emm 6(11.6%)의 순서로 분리되었다. 결 론 : 2003년과 2004년에 걸쳐 조사한 T단백 혈청형과 emm 유전자형의 계절별 분포는 각각 19종과 15종으로 다양하게 분리되었다. 이 중 EM 내성과 관련이 있는 T 혈청형으로는 T12, T28, T4, T1, NT 등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들의 비율이 전체의 56.7%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항생제 선택에 있어서 EM 내성률이 높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T 혈청형과 emm 유전자형의 분석이 GAS 질병의 역학과 병인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앞으로 매년 감시를 해야하고, 특히 침습성 연쇄구균 감염으로부터 얻은 GAS을 T 혈청형 분석과 emm 유전자형 분석을 통해서 감시해야 하겠다.

  • PDF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에서 미량요소(Fe, Mn, Cu, Zn, Mo,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여러 특성에 미치는 영향 II. 초종별 건물수량 및 식생 경합지수의 변화 (Effects of Combined Micronutrient(Fe, Mn, Cu, Zn, Mo and B) Application on Forage Traits in Pure and Mixed Swards of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II. Changes in the yields and concurrence index of forage plants)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7-246
    • /
    • 2003
  •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 Mo 및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및 식생구성비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다량료소 양분을 동일 량 시비한 조건에서 7 수준의 미량요소 조합시비는 T$_1$; 대조구, T$_2$; Fe, T$_3$; Fe+Mn, T$_4$; Fe+Mn+Cu, T$_{5}$; Fe+Mn+Cu+Zn, T$_{6}$;Fe+Mn+Cu+Zn+Mo 및 T$_{7}$; Fe+Mn+Cu+Zn+Mo+B로 하였다. 본 II집에서는 조합시비가 목초의 건물수량 및 식생구 성비율/경합지수 특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조합시비가 수량에 미치는 효과는 초정, 재배방법(단파/혼파), 추파(특히 N) 및 예취 회수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조합시비의 효과가 orchardgrass보다 white clover(특히 혼파재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두 목초 공히 T$_{7}$ 에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붕소(B)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조정자 역할을 한 것으로 보였다. 2. 단파재배에서 두 목초의 수량은 T$_{7}$과 T$_2$에서 높았으며 그리고 T$_3$와 T$_{6}$ 에서 낮았다. Fe/Mn/Cu/Zn, Fe/Mo, Mo/B 및 ∑양이온/∑음이온간 비율이 상대적으로 조화된 T$_{7}$에서 수량이 가장 양호하였다. 그리고 Fe${\times}$Mn${\times}$Mo${\times}$B 간다종 교호작용이 있으며 이 때 B의 조정자 역할이 큰 것으로 보였다. white clover에 대한 이러한 효과는 추파 시보다 무추파(특히 N) 시에 더 크게 나타났다. 3. 혼파재배에서는 조화된 조합시비는 white clover의 식생구성비율과 수량제고에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 이였다. 반면에 orchardgrass는 반대적인 경향을 보였고(특히 무추비 시), 단지 T$_{7}$에서만 대조구(T$_1$)와 비슷한 수량을 보였다.다.한 수량을 보였다.

잎새버섯 병재배시 발생방법에 따른 자실체 생산성 (Fruiting body productivity of Grifola frondosa by various primordium formation methods)

  • 김정한;강영주;전대훈;장명준;지정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6-89
    • /
    • 2018
  • 잎새버섯을 병재배 새로운 소득 품목으로 개발하고자 적정 발이방법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이는 모든 처리구에서 6일째 개시가 되었으나, T7(균긁기후 역상)은 9일로 다른 처리보다 3일 늦었다. 발이율은 T3(페트리디쉬)과 T7이 98.9%로 가장 높고, 전체 재배기간은 T7이 51일로 다른 처리구의 46~47일보다 3일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성은 T3과 T7이 각각 110g과 112g으로 우수하였으나, T7의 방법이 자실체의 발생도 균일하고, 품질도 우수하여(장단비 0.89) 잎새버섯 병재배에 적합한 발이방법으로 판단되었다.

유산군(Lactobacillus confusa)과 효모균(Pichia anomala) 발효 액체비료의 시용이 크리핑벤트그래스(A. palustris Huds. CV. Pennlix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quid Fertilizer Contained Fermentation of Lactobacillus confusa and Pichia anomala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A. palustris Huds. CV. Pennlixs))

  • 김영선;함선규;김택수;정현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9-56
    • /
    • 2008
  • 본 연구는 효모균과 유산균의 발효액을 함유한 비료가 크리핑벤트그래스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8월부터 11월까지 SKY72 골프클럽 증식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시험처리는 무처리구, 대조구, 처리구1, 처리구2, 처리구3로 3반복 난괴법으로 수행하였다. 시험기간 동안에는 토양화학성, 엽색지수, 엽록소함량 및 예초물량, 잔디분석 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토양화학성은 공시비료의 시비가 토양에는 별다른 영향이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엽색지수는 무처리구보다 비료처리구(대조구, 처리구)에서 7.6% 증가하였으나 대조구와 처리구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처리구 2에서 가장 높은 엽색지수 값을 나타내었다.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구보다 비료처리구(대조구, 처리구)에서 48.3% 증가하였고,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는 처리구 2과 처리구 3에서 각각 4.4%와 2.7% 높게 나타났으며, 시험기간 중 가장 좋은 잔디생육을 나타내는 처리구는 처리구 2로 조사되었다. 예초건물중은 무처리구 보다 비료처리구(대조구, 처리구)에서 83.6% 증가하였고,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는 처리구 2와 처리구 3에서 각각 13.8%와 13.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험 종료 후 채취한 잎의 무기성분은 시비구(CF, T-1, T-2, T-3)가 무처리구보다 질소는 82%, 인은 19%, 칼리는 42% 정도 증가하였고, 대조구(CF)와 처리구(T-1, T-2, T-3)사이에서는 비슷하였다.

K11 RNA 중합효소의 Cloning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K11 Phage RNA Polymerase)

  • 이상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9-24
    • /
    • 1997
  • PCR 방법을 이용하여 K11 RNA 중합효소를 coding하는 Klebsiella phage gene 1을 cloning 하였고 lac 전사촉진제 조절 하에 발현시켰다. K11 RNA 중합효소는 DAEA-sephacel과 Affigel blue column chromatographies를 사용하는 상용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DAEA-sephacel의 0.2-0.3 M $NH_4Cl$ 분획에서 K11 RNA 중합효소의 활성을 보였고, 다음 단계의 Affigel blue column에서 SDS-polyacryl amide gel 상의 단일 band로 분리되었다. K11 RNA 중합효소는 T7 그룹 phage RNA 중합효소로 다른 T7 그룹phage RNA 중합효소와 많은 상동성을 보인다. (대장균 phage T7, T3과 Salmonella tyhimurium phage SP6 RNA 중합효소). 이미 우리는 T7과 SP6 전사촉진제 변이체를 제조한 바 있고 T7과 SP6 RNA 중합효소의 전사촉진제 특이성을 연구한 바 있다 (이상수와 강창원, 1993). K11 RNA 중합효소의 전사촉진제 특이성을 알아보기 위해 SP6 전사촉진제 변이체를 사용하여 in vitro K11 RNA 중합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변이체 중 K11 전사촉진제와 가장 유사한 것이 가장 높은 K11 RNA 중합효소 활성을 보였다.

  • PDF

태평양 대구 Gadus macrocephalus 채란, 부화 및 자어성장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on Egg Development, Hatching and Laval Growth Rearing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 이정용;이채성;김완기;박상언;민병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0-26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구 Gadus macrocephalus의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온(4, 7, 10, 13 및 $16^{\circ}C$)에 따른 난발생, 자어의 성장 및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복부압박법으로 채란 하였으며, 채란양과 어체의 관계는 $F=80,220{\times}TL-3,397,700$ ($R^2=0.7528$)이었다. 수정란은 원형의 침성 점착란이었으며, 그 크기는 $0.90{\sim}1.11\;mm$였다. 습식법에 의한 수정률은 68%였다. 난발생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T: $^{\circ}C$)에 따른 발생속도(t: hour)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았다. 4세포기: 1/t=0.0175T+0.0356 ($R^2=0.9579$), 16세포기: 1/t=0.0100T+0.0350 ($R^2=0.9759$), 상실기: 1/t=0.0083T-0.0181 ($R^2=0.9586$), 낭배기: 1/t=0.0035T-0.0058 ($R^2=0.871$), Kupffer씨 포 출현기: 1/t=0.0021T-0.0014 ($R^2=0.871$), 부화자어기: 1/t=0.0006T-0.0006 ($R^2=1$). 또한 대구의 난발생이 개시되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0.4^{\circ}C$로 나타났다. 부화가능한 수온의 범위는 $7{\sim}10^{\circ}C$로 나타났다. 수정란에서 부화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7^{\circ}C$$10^{\circ}C$에서 각각 288시간(12일)과 192시간(8일)이었으며, 이때 부화율은 각각 65.0% 및 33.4%로 $7^{\circ}C$에서 3배정도 높았다. 부화자어를 40일간 $7^{\circ}C$$10^{\circ}C$에서 사육하였을 때, 성장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생존율은 각각 18.3% 및 5.2%로 $7^{\circ}C$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대구 종묘생산을 위한 수온은 $7^{\circ}C$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CCR7 Ligand의 Memory CD4+ T 세포 증가유도 및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방어효과 (CCR7 Ligands Induced Expansion of Memory CD4+ T Cells and Protection from Viral Infection)

  • 어성국;조정곤
    • IMMUNE NETWORK
    • /
    • 제3권1호
    • /
    • pp.29-37
    • /
    • 2003
  • Background: CC chemokine receptor (CCR) 7 and cognate CCR7 ligands, CCL21 (formerly secondary lymphoid tissue chemokine [SLC]) and CCL19 (formerly Epstein-Barr virus-induced molecule 1 ligand chemokine [ELC]), were known to establish microenvironment for the initiation of immune responses in secondary lymphoid tissue. As described previously, coadministration of DNA vaccine with CCR7 ligand-encoding plasmid DNA elicited enhanced humoral and cellular immunity via increasing the number of dendritic cells (DC) in secondary lymphoid tissue. The author hypothesized here that CCR7 ligand DNA could effectively expand memory CD4+ T cells to protect from viral infection likely via increasing DC number. Methods: To evaluate the effect of CCR7 ligand DNA on the expansion of memory CD4+ T cells, DO11.10.BALB/c transgenic (Tg)-mice, which have highly frequent ovalbumin $(OVA)_{323-339}$ peptide-specific CD4+ T cells, were used. Tg-mice were previously injected with CCR7 ligand DNA, then immunized with $OVA_{323-339}$ peptide plus complete Freund's adjuvant. Subsequently, memory CD4+ T cells in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PBL) were analyzed by FACS analysis for memory phenotype ($CD44^{high}$ and CD62 $L^{low}$) at memory stage. Memory CD4+ T cells recruited into inflammatory site induced with OVA-expressing virus were also analyzed. Finally, the protective efficacy against viral infection was evaluated. Results: CCR7 ligand DNA-treated Tg-mice showed more expanded $CD44^{high}$ memory CD4+ T cells in PBL than control vector-treated animals. The increased number of memory CD4+ T cells recruited into inflammatory site was also observed in CCR7 ligand DNA-treated Tg-mice. Such effectively expanded memory CD4+ T cell population increased the protective immunity against virulent viral infec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document that CCR7 and its cognate ligand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racellular infection through establishing optimal memory T cell. Moreover, CCR7 ligand could be useful as modulator in DNA vaccination against viral infection as well as cancer.

The Use of Pedicle Screw-Rod System for the Posterior Fixation in Cervico-Thoracic Junction

  • Cho, Won-ik;Eid, Ahmed Shawky;Chang, Ung-Ky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8권1호
    • /
    • pp.46-52
    • /
    • 2010
  • Objective : In cervico-thoracic junction (CTJ), the use of strong fixation device such as pedicle screw-rod system is often require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natomical features of C7 and T1 pedicles related to screw insertion and to evaluate the safety of pedicle screw insertion at these levels. Methods : Nineteen patients underwent posterior CTJ fixation with C7 and/or T1 included in fixation levels. Seventeen patients had tumorous conditions and two with post-laminectomy kyphosis. The anatomical features were analyzed for C7 and T1 pedicles in 19 patients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CT). Pedicle screw and rod fixation system was used in 16 patients. Pedicle violation by screws was evaluated with postoperative CT scan. Results : The mean values of the width, height, stable depth, safety angle, transverse angle, and sagittal angle of C7 pedicles were $6.9{\pm}1.34\;mm$, $8.23{\pm}1.18\;mm$, $30.93{\pm}4.65\;mm$, $26.42{\pm}7.91$ degrees, $25.9{\pm}4.83$ degrees, and $10.6{\pm}3.39$ degrees. At T1 pedicles, anatomic parameters were similar to those of C7. The pedicle violation revealed that 64.1% showed grade I violation and 35.9% showed grade II violation, overall. As for C7 pedicle screw insertion, grade I was 61.5% and grade II 38.5%. At T1 level, grade I was 65.0% and grade II 35.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olation rate between the whole group, C7, and T1 group. Conclusion : C7 pedicles can withstand pedicle screw insertion. C7 pedicle and T1 pedicle are anatomically very similar. With the use of adequate fluoroscopic oblique view, pedicle screw can be safely inserted at C7 and T1 levels.

감 껍질을 함유한 분쇄 돈육의 냉장 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ound Pork Meat Containing Persimmon Peel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최강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92-799
    • /
    • 2019
  • 본 연구는 감 껍질을 함유한 분쇄 돈육의 냉장 중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쇄 돈육의 제조는 돈육 68%, 돼지 지방 20%, 소금 2%, 냉수 10%로 배합된 대조군(T0), 냉수에 0.3%의 감 껍질이 함유된 T1, 0.7% 함유된 T2 그리고 1.0% 함유된 T3 등으로 하였다. 분쇄 돈육의 pH는 냉장 중 증가하였으며, T3가 가장 낮았다(p<0.01). L-value 및 b-value는 냉장 저장 중 변화가 없었지만 a-value는 감소하였다. 냉장 10일째 T2 및 T3의 a-value가 T0 및 T1보다 더 높았다(p<0.001). TBARS는 냉장 기간과 함께 증가하였으며,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더 낮았다(p<0.001). DPPH free radical 소거 능력은 냉장 저장 중 감소하였으며, T0가 가장 낮았다(p<0.001). VBN 함량은 냉장 중 증가하였으며, 10일째 T0의 VBN함량이 가장 높았다(p<0.05). 보수력은 냉장 중 감소하였으며, 가열 감량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냉장 중 시료들 사이의 보수력과 가열 감량의 차이는 없었다. 냉장 중 경도와 저작성은 증가하였지만 탄성과 뭉침성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쇄 돈육 제조과정에 감 껍질 분말의 첨가는 항산화 작용, 적색도 유지, 물리적 품질 유지 등의 효과가 있었으며, 첨가량은 0.7%가 가장 적당하였다.

토끼에서 경막외강으로 투여한 조영제의 분포양상 (Spreading Pattern of Epidurally-Administered Contrast Media in Rabbits)

  • 이상철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0권2호
    • /
    • pp.231-234
    • /
    • 1997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cise spreading pattern of contrast media in small increments in rabbits. Following pentobarbital anesthesia, the epidural puncture was done surgically with a blunt hook. Methods: The tip of epidural catheter was located at the mid-portion of T7 and T12, in the T7 group (n=7) and T12 group (n=8), respectively. Injection of the contrast media was started at 0.1 mL/kg and increased by 0.1 mL/kg up to a maximum of 0.6, mL/kg, under fluoroscopy. Results: In both groups, the extent of spread increased continuously as a Starling resistor with increasing injected volume(T7 group: $y=4.0+41.8x-28.1x^2$, T12 group: $y=0.2+57.7x-43.5x^2$) the total spread of contrast media was similar. The contrast media spread equally, both rostral and caudal, from catheter tip in T7 group; media spread approximately twice as far rostral as compared to caudal in T12 group (P<0.05). Conclusions: In rabbits, the position of epidural catheter tip should be positioned 2~3 segments below the aimed segment in lower thoracic or lumbar region, whereas in mid-thoracic region it should be positioned close to the level of aimed segment. Rabbits have relatively small epidural space therefore, the volume of injectant should be carefully determined with the suggested equations of this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