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S

검색결과 56,072건 처리시간 0.06초

LINC01272 Suppressed Cell Multiplication and Induced Apoptosis Via Regulating MiR-7-5p/CRLS1 Axis in Lung Cancer

  • Ma, Xuan;Liu, Yang;Tian, Hao;Zhang, Bo;Wang, Meiling;Gao, Xi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7호
    • /
    • pp.921-932
    • /
    • 2021
  • LINC01272 is a long non-coding RNA (lncRNA) that has been considered as a biomarker for many diseases including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Here, we investigated the function and mechanism of LINC01272 on lung cancer (LC).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LINC01272 in LC and normal samples was analyzed by GEPIA based on the data from TCGA-LUAD database, as survival prognosis was analyzed through Kaplan-Meier Plotter. LINC01272 overexpression plasmid and miR-7-5p mimic were transfected into A549 and PC-9 cells. LINC01272, miR-7-5p and cardiolipin synthase 1 (CRLS1) mRNA expression was measured b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Cell viability was detected through MTT assay. Cell multiplication was evaluated by cell formation assay. Cell apoptosis was assessed through flow cytometry assay. Through bioinformatics, the target miRNA of LINC01272 and downstream genes of miR-7-5p were predicted. The targeting relationship was tested by dual luciferase reporter analysis. CRLS1, B-cell lymphoma-2 (Bcl-2), BCL2-associated X (Bax) and cleaved caspase-3 protein levels were detected through western blot. LINC01272 was downregulated in LC and low LINC01272 expression had poor prognosis. In A549 and PC-9 cells, LINC01272 inhibited cell viability and multiplication and induced apoptosis. LINC01272 negatively regulated miR-7-5p and CRLS1 was a target of miR-7-5p. MiR-7-5p reversed the effect of LINC01272 on viability, multiplication, apoptosis and expression of miR-7-5p and CRLS1 as well as apoptosis-related factors (Bcl-2, Bax and cleaved caspase-3). LINC01272 suppressed cell multiplication and induced apoptosis via regulating the miR-7-5p/CRLS1 axis in LC.

THP-1 세포에서 거품세포 형성과 단핵구 분화 및 활성화에서 7-ketocholesterol의 역할 (Suppression of PMA-induced Differentiation via Foam Cell Formation in THP-1 Cells by 7-Ketocholesterol)

  • 이미선;박시은;김관회;박영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2-147
    • /
    • 2022
  • Oxysterols은 콜레스테롤의 산화 유도체로서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에서 병태생리학으로 큰 관련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oxysterols 중 많은 양을 차지하는 7-ketocholesterol (7-KC)이 단핵구(monocyte)의 분화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인간 단핵구세포주 THP-1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7-KC를 처리한 THP-1 세포는 세포독성 없이 약간의 세포증식이 감소하였고, 세포내 lipids의 양이 크게 증가함을 Nile red 염색에 의해 관찰하였다. 7-KC는 단독으로 세포의 부착능(adhesion)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로 자극한 THP-1 세포에서는 부착능의 뚜렷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형광이 부착된 latex beads를 이용하여 7-KC의 phagocytosis (포식능)를 조사하였다. 7-KC는 PMA로 분화를 자극한 세포의 phagocytosis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한, 7-KC를 처리한 THP-1 세포는 대식세포(macrophage)의 막표면 인자인 ICAM-1, CD11a, scavenger receptor(SR, 청소수용체) SR-A1, SR-B2 (CD36)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하지만, 7-KC는 단독으로 혹은 PMA로 자극한 세포에서도 SR-D1 (CD68)의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이를 종합하면, 7-KC는 단핵구를 sterols이 풍부한 거품세포(foam cell)로 변형시킴으로써 생리적 자극에 의한 정상적인 단핵구의 분화와 활성화를 저해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단백분해효소(蛋白分解酵素)에 의한 대두(大豆) 7S 및 11S 단백질(蛋白質)의 가수분해(加水分解) (Hydrolysis of 7S and 11S Soy Proteins by Commercial Proteases)

  • 강영주;이기춘;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8-343
    • /
    • 1988
  • 분획(分劃)된 대두(大豆) 7S 및 11S 단백질(蛋白質)의 단백질분해효소(蛋白質分解酵素)(trypsin, alcalase 및 pronase)에 대한 반응성(反應性)을 동력학변수(動力學變數)인 Km 과 Vmax 및 가수분해도(加水分解度)(DH)를 측정(測定)하여 검토(檢討)하였으며 가수분해물의 전기영동분석(電氣泳動分析)을 실시하였다. 효소(酵素)의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에 대한 친화력(親化力)은 대체로 가열처리(加熱處理)된 단백질(蛋白質)은 기질농도(基質濃度) 1.5(w/w) 이하(以下)에서 가수분해(加水分解)에 대하여 기질조해작용(基質阻害作用)을 보였다. 1시간(時間) 가수분해(加水分解)에 따라 alcalase에 의하여 가장 큰 가수분해도(加水分解度)가 얻어졌으며 7S 단백질(蛋白質)에 대하여 60% 및 11S 단백질(蛋白質)에 대하여 80%였다. Trypsin 은 가열처리(加熱處理)되지 않은 단백질(蛋白質)에는 11S 단백질(蛋白質)의 acidic subunit 이외에는 거의 작용(作用)하지 못했으며 alcalase는 특이적으로 2S 단백질(蛋白質)에 변화(變化)를 가져오는 것으로 전기영동분석(電氣泳動分析)에서 나타났다.

  • PDF

여성건강에 관한 간호연구 분석 : 1988 - 1997 (Analysis of Published Nursing Research on Women's Health : 1988-1997)

  • 이숙희;박영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9-16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search contents and designs of nursing papers on women's health. 1010 articles published in 9 Korean nursing journals and 2070 mats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in nursing science for 10 years from 1988 through 1997 were reviewed. The percent of nursing papers on women's health was 12.7%(390) out of a total of 3080 papers. Major findings of 390 nursing papers analyzed were as following : 1. The contents of nursing papers on women's health were classified by 8 categories such as childbirth(19.5%), women's health state and behavior(18.5%), motherhood(14.9%), cultural and social issues(12.8%), menstruation(8.7%), mental health(8.2%), caring activities(8.2%), and surgery(7.7%). 2. The principal designs used in nursing papers on women's health were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survey(70.8%), experimental design(14.4%), and qualitative research design(14.1%).

  • PDF

식중독세균에 대한 솔잎 Ethanol 추출물의 항균작용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Pine Needl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80-385
    • /
    • 1998
  • 5종류의 식중독세균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196E,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솔잎 ethanol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조사하였다. 솔잎 ehanol 추출물을 0-2% (w/v) 함유한 tryptic soy broth(TSB)에 각 식중독세균을 약 $10^4$-$10^{6}$ CFU/ml 정도 되게 접종하여 35$^{\circ}C$에서 48시간 배양하면서 증식억제 정도를 생균수 변화로서 비교하였다. Gram 양성균인 L. monocytogenes, S. aureus와 Gram 음성균인 A. hydrophila는 솔잎 ehanol 추출물에서는 0.5% 이상의 농도에서 증식이 억제되어 솔잎 ethanol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Gram 음성균인 E. coli O157:H7과 S. typhimurium은 2%의 솔잎 ethanol 추출물에서 약간 증식이 억제되었으나 대체로 두 균주 모두 솔잎 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솔잎 ethanol 추출물에 의한 증식억제 효과는 S. aureus > A. hydrophila> L. monocytogenes > E. coli O157:H7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S. typhimurium에서 가장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 PDF

양돈장(養豚場)에 있어서 Salmonella감염증(感染症)의 역학적(疫學的) 연구(硏究) : I. 발생(發生) 및 오염상황(汚染狀況), 혈청형(血淸型)과 Salmonella typhimurium의 생물형(生物型) (Epizootiological Study of Salmonella Infection on Piggery: I. Study on Distribution, Occurrence, Serovars and Biovars)

  • 최원필;이희석;여상건;이헌준;정석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9
    • /
    • 1986
  • This paper deals with the distribution, reservoir and mode of spread of salmonella infection on 7 pig farms in Taegu, Gyeongbuk, Gyeongnam and Chungnam and a slaughter house in Teagu during the period from May 1984 to May 1985. Isolated salmonella were examined for serotypes and biotyping of S. typhimurium.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sed as follows; 1. Of total 7,995 samples from 7 pig farms and a slaughter house, 319 salmonella were isolated from 234 samples (2.9%) and their serovar strains were S. derby 77, S. infantis 41, S. enteritidis 20, S. typhimurium 18, S. bredeney 16, S. london 14, S. paratyphi B 9, S. anatum 8, S. montevideo 8, S. senftenberg 7, S. thompson 6, S. pullorum 4, S. paratyphi A 1 and untypable 70. 2. The incidence rate of diarrhea of piglets, weaned pigs and fattening pigs was 9.8%, 2.3% and 0.5%, respectively whereas the rate by salmonella infection was 4.2%, 1.2% and 11.3%, respectively. 3. The isolation rate of salmonella was higher in summer and autumn. 4. The isolation rate of salmonella varied from 1.1% to 4.5% in 7 pig farms, it was higher in sewages(4.4%), weaned pigs(3.7%), boars(3.7%) and other(3.7%) included soils, manure and wild rats according to samples. Three out of 7 pig farms were contaminated heavily with various serovars of salmonella. 5. The isolation rate of salmonella from pigs slaughtered was 8.1%, it was 13.6% in rectal contents and 1.6% in mensenteric lymph nodes. 6. Eighteen strains of S. typhimurium were classified into 3 different biovars(1, 10 and 10a) by the method of Brandis and were subdivided into 6 different full biovars(1a, 1d, 1dh, 3d, 26i and 26ei) by the method described by Duguid et al. Appearance of different biovars indicated the occurrence of different exotic infection sources on the farms.

  • PDF

과산화수소와 유산ol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및 Listeria monocytogenes의 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by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 장재선;이미연;이제만;김용희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4호
    • /
    • pp.69-75
    • /
    • 2004
  •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food processing agent on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as performed with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and combina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The minimun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hydrogen peroxide in E coli O157:H7 was 100 ppm at pH 5.0, 6.0, 6.5 and 7.0, while in Listeria monocytogenes 25 ppm at PH 5.5, 6.0 and 50 ppm at PH 6.5, 75ppm at pH 7.0. MIC of lactic acid in E coli O157:H7 was 2500 ppm at pH 5.0, 6.0, 6.5 and 7.0. MIC of lactic acid in S. Enteritidis was 1250 ppm at pH 5.0, 2500 ppm at pH 5.5, 6.0, 5.5 and 7.0, while in L monocytogenes 625 ppm at pH 5.5 and 125 ppm at pH 6.0, 6.5 and 7.0. MIC of combined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in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 monocytogenes was 75 ppm of hydrogen peroxide with 2500 ppm of lactic acid at pH 6.5. The correlations between MICs of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in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 monocytogene were obtained throug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R^2$ value were 0.9994, 0.9935 and 0.9283, respectively. The inhibitory effect of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in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 monocytogenes could be confirmed from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he food process would increase or maintain by using lactic acid together with hydrogen peroxide.

미생물 호흡률 측정에 의한 관거시스템 유형별 하수의 기질 분율 평가 (Assessment of the Organic and Nitrogen Fractions in the Sewage of the Different Sewer Network Types by Respirometric Method)

  • 박종부;허형우;강호;장성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649-654
    • /
    • 2009
  • 산소소비속도 측정에 의한 미생물 호흡률 분석방법에 의해 하수의 유기물질과 미생물 분율을 평가하였다. 하수의 유기물과 미생물 분율은 생물학적 공정의 모델링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이다. 본 연구에서 하수의 유기물 분율을 측정한 결과,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빠른 유기물, 분해가 느린 유기물, 분해되지 않는 용존성 유기물, 분해되지 않는 고형 유기물과 종속영양미생물의 분율은 각각 26.6%, 41.5%, 8.5%, 14.7% 및 8.7%였다. 또한, 질소 분율을 측정한 결과, 질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용존성 비분해 유기성 질소, 용존성 분해 유기성 질소 및 분해가 느린 유기성 질소의 분율은 각각 약 3.7%, 64.9%, 4.7%, 9.4% 및 17.4%였다.

탄도 충격을 받는 Steel/Kevlar 혼합복합재 헬멧 수치 시뮬레이션 (Numerical Simulation of Steel/Kevlar Hybrid Composite Helmet Subjected to Ballistic Impact)

  • 조종현;이영신;김해란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12호
    • /
    • pp.1569-1575
    • /
    • 2012
  • 본 논문은 AUTODYN-3D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탄 헬멧의 탄도충격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두 가지 유형의 재료가 방탄 헬멧에 사용되었다. Kevlar 및 Steel/Kevlar 혼합복합재 이다. 강구와 7.62 mm 금속피복탄이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되었다. 시뮬레이션에서 발사체의 변형된 형상과 내부에너지가 계산되었다. 결과는 Steel/Kevlar 헬멧을 관통하기 위해 요구되는 충격속도는 강구와 7.62 mm 금속피복탄에 따라 각각 655 m/s 와 845 m/s 이상이다. 결과로부터 Kevlar 와 Steel/Kevlar 헬멧 사이의 탄도 저항에 큰 차이를 볼 수 있었다. NIJ-STD-0106.01 Type II헬멧에 대한 시뮬레이션으로 충격 속도 358 m/s 의 7.62 mm 금속피복탄이 사용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Steel/Kevlar 헬멧이 충격 속도 358 m/s 의 7.62 mm 금속피복탄을 방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의 가족력분석 (Analysis of Family History of Visual Acuity)

  • 박윤숙;박수진;박상신;백도명;이은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9-94
    • /
    • 2008
  • 목적: 본 논문은 소아 및 학동기 그리고 청소년과 부모시력의 유전적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4~18세까지의 소아 및 학동기 그리고 청소년기에 속하는 어린이 208명과 피검자의 부모 340명이 참여하였다. 시력측정은 5 m용 한천석식 시력표를 이용하였으며, 각 단안씩 나안 및 교정시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6세미만의 소아에서 아버지의 시력은 아무런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으나, 남아에서는 어머니의 시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동기의 경우는 특히 부모와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력이 0.7이하인 그룹에서는 부모 모두 0.7이하가 많았으며, 0.7초과인 그룹에서는 부모도 같이 0.7을 초과하는 경향을 보였다. 청소년기의 경우에서도 어머니의 시력이 남아의 시력과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 부모의 가족력이나 특히 어머니의 시력이상은 자녀의 시력이상에 더욱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