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P

검색결과 44,305건 처리시간 0.067초

Low Ruminal pH Reduces Dietary Fiber Digestion via Reduced Microbial Attachment

  • Sung, Ha Guyn;Kobayashi, Yasuo;Chang, Jongsoo;Ha, Ahnul;Hwang, Il Hwan;Ha, J.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2호
    • /
    • pp.200-207
    • /
    • 2007
  • In vitro rumen incubation studi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initial pH on bacterial attachment and fiber digestion. Ruminal fluid pH was adjusted to 5.7, 6.2 and 6.7, and three major fibrolytic bacteria attached to rice straw in the mixed culture were quantified with real-time PCR. The numbers of attached and unattached Fibrobacter succinogenes, Ruminococcus flavefaciens and Ruminocococcus albus were lower (p<0.05) at initial pH of 5.7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at higher initial pH. Lowering incubation media pH to 5.7 also increased bacterial numbers detached from substrate regardless of bacterial species. Dry matter digestibility, gas accumulation and total VFA production were pH-dependent. Unlike bacterial attachment, maintaining an initial pH of 6.7 increased digestion over initial pH of 6.2. After 48 h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verage increases in DM digestion, gas accumulation, and total VFA production at initial pH of 6.2 and 6.7 were 2.8 and 4.4, 2.0 and 3.0, and 1.2 and 1.6 times those at initial pH of 5.7, respectively. The lag time to reach above 2% DM digestibility at low initial pH was taken more times (8 h) than at high and middle initial pH (4 h). Current data clearly indicate that ruminal pH is one of the important determinants of fiber digestion, which is modulated via the effect on bacterial attachment to fiber substrates.

pH 충격에 의한 Chlamydomonas acidophila (Chlorophyta), UTCC 122의 생리적 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 of an Acid pH Shock on Physiological Changes of Chlamydomonas acidophila (Chlorophyta), UTCC 122)

  • 이경;기장서;김세화;한명수;최영길;유광일
    • 생태와환경
    • /
    • 제35권3호통권99호
    • /
    • pp.145-151
    • /
    • 2002
  • 녹조류 Chlamydomonas acidophia, UTCC 122균주를 이용하여 pH변화에 따른 조류의 생리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성장률(${\mu}$)은 pH 3.7${\sim}$6.7의 배양에서 $0.5{\sim}0.7\;day^{-1}$이었으며 (ANOVA, p=0.134),점차 세포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H 2.7의 배양에서는 성장하지 않았으며, 세포의 크기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배양 1일 후 엽록소 a 는 $191{\sim}255\;pg\;cell^{-1}$이었으나, 5일째는 pH 2.7배지에서 $210\;pg\;cell^{-1}$로 큰 변화가 없으며, 다른 pH의 배양에서는 $60{\sim}103\;pg\;cell^{-1}$로 감소하였다. 단위세포에 대한 엽록소의 양은 세포 체적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Carbonic anhydrase(CA)의 활성도는 $1.1{\sim}3.7{\times}10^{-4}\;E.U.\;mm^{-2}$이었으며, pH 2.7과 pH 5.7배지를 제외하고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H농도 차에 의한 비교에서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C. acidophila의경우 CA분자량은 29kDa이었으며, pH농도 구배에 의한 발현 차이는 없었다. 이것은 $CO_2$$HCO_3\;^-$를 조절하는 CA가 산성에서 수소이온조절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단백질 발현양상은 41과 63kDa은 pH가 낮은 배지에서 자랄수록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17kDa단백질은 점차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C. acidophila는 다른 생물과 달리 넓은 범위의 산성에서 잘 성장할 수 있으며,낮은 산성에서 자랄수록 17kDa의 단백질이 증가하는 것은 17kDa단백질이 산성에 적응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H_2O$$D_2O$ 에서 메트미오글로빈의 압력에 의한 변성의 비교 연구 (Comparision of the Pressure Denaturation of Metmyoglobin in $H_2O$ and $D_2O$)

  • 김건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19
    • /
    • 1984
  • 메트미오글로빈의 압력에 의한 변성의 $H_2O$$D_2O$에서의 차이를 pH 5.7과 pH 7.0에서 연구하였다. 메트미오글로빈은 $D_2O$에서 $H_2O$보다 더 작은 압력에서 변성하였다. 그 차이가 pH 5.7에서가 pH 7에서 보다 더 컸다. $H_2O$$D_2O$에서 이 안정도의 차이가 단백질에 대한 $H^+$$D^+$의 결합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며 또한, 수소가 중수소로 바뀜에 따르는 구조 변화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cherichia coli O157:H7의 제어를 위한 Benzoate, Sorbate 및 pH의 병용처리 효과 (Combination Effects of Benzoate, Sorbate and pH for Control of Escherichia coli O157:H7)

  • 권오진;김덕진;변명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0-204
    • /
    • 1997
  • Effects of benzoate (0~0.6 g/$\ell$ ) and sorbate (0~2.0 g/$\ell$) on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tryptic soy broth at various pH levels (4~8) and temperatures (4$^{\circ}C$, 37$^{\circ}C$) were investigated. Benzoate and sorbate were inhibited the growth of E. coli O157:H7 up to 12 hours cultivation at 4$^{\circ}C$, and 2.0 g/$\ell$ sorbate was only inhibited during 48 hours cultivation at 37$^{\circ}C$. Among the pH levels tested, pH 4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against the E. coli O157:H7 on 4$^{\circ}C$ and at 37$^{\circ}C$, respectively. When used in combination 0.2 g/$\ell$ benzoate and sorbate were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E. coli O157:H7 on pH 4 and at 37$^{\circ}C$. While on pH 5 at 4$^{\circ}C$, all of the concentration tested did not exert any inhibitory effect. The combined effects were retarded more than single treatment of E. coli O157:H7.

  • PDF

주의력 결핍 과잉 운동 장애 환자들의 약물치료 효과 및 Comorbidity에 관한 연구 (The Comorbidit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he Effect of Methylphenidate on it)

  • 이종범;박형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66-178
    • /
    • 1993
  • 1992년 3월부터 1993년 2월 사이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ADHD 환자 56명 (남 : 38, 여 : 18)을 대상으로 Edelbrock에 의해 개발된 CAP평가척도를 사용하여 methylphenidate의 약물 효과를 투여후 7일째와 28일째에 교사와 부모의 평가를 비교하고 ADHD와의 동반 장애를 알아보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총 56명의 대상자 중 ADHD 단일장애를 가진 경우는 20명 (35.7%)이었고, 동반장애가 한가지인 경우는 31명 (55.4%) 이며 두가지인 경우는 5명 (8.9%)이었다. 7일째와 28일째 교사의 평가에서 약물투여 전에 비해 유의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고 (P<0.05), 7일째에 비해 28일째에 유의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며 (P<0.05). 부모평가에서는 약물투여전에 비해 28일째 유의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며 (P<0.05), 7일째에 비해 28일째 유의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P<0.05). 일요일 오전에 일회 약물 투여후 오전이 오후에 비해 유의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며 (P<0.05). 같은 용량의 약물투여에 따른 교사와 부모평가 비교에서는 교사가 7일째 평가한 점수가 부모가 일요일 오전에 평가한 점수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P<0.05), 28일째 비교에서도 교사가 유의하게 낮았다 (P<0.05). 각 그룹간의 치료효과에 관한 비교연구에서 ADHD단독군 (1군)과 틱과 습관성장애가 공존하는 군 (2군)과 발달성 장애공존군 (3군) 모두에서 2군과 3군의 7일째 부모평가점수가 유의한 증상의 개선이 없었던 것을 제외 하고는 유의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P<0.05). 또 행동장애와 반항성 장애공존군 (4군)의 경우 부모가 평가한 7일째와 28일째 비교한 경우에 유의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던 것 (P<0.05)을 제외하고는 모두 증상의 호전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용기간 및 온도에 따른 소프트콘택트렌즈 다목적용액의 변화 (Changes of multi-purpose solutions for soft contact lens depending on using period or keeping temperature)

  • 박미정;하주령;이영민;한현우;김성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81-389
    • /
    • 2004
  • 사용기간과 보관 온도에 따른 소프트콘택트렌즈 다목적용액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4개 회사의 제품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다목적용액들을 각각 $4^{\circ}C$, $20^{\circ}C$$30^{\circ}C$로 보관하면서 24주간동안 단백질 제거 효능을 측정한 결과, 사용기간이나 보관용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목적 용액들의 pH를 24주 동안 매주 측정한 결과, 개봉 직후 pH는 각기 7.0, 7.5, 7.6 및 8.2로 제품마다 큰 차이가 났으며 한 제품은 안자극을 유발시키지 않는 pH인 6.6~78 범위를 벗어났다. 2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pH는 점점 산성화되어 24주에 이르러서는 제품들의 평균 pH는 6.6, 7.2, 7.2 및 7.7로 되어 제품에 따라서는 사용기간에 따라 역시 자극감을 느끼는 pH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pH 변화는 보관온도와는 관계가 없었다. 또한 24주 동안 사용한 한 개의 다목적용액에서 세균의 오염이 관찰되었으며, 박층크로마토그라피와 UV 흡광 양상비교를 통한 성분의 변화여부 분석에서 성분의 변화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로 다목적 용액의 변화가 보관온도와는 상관이 없었지만, 보관기간과는 큰 연관성이 있어 착용자에게 불편감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토종오리 대형종의 주령별 생산지수, 도체 수율, 부분육 비율 및 육질 평가 (Evaluation of Korean Native Ducks on Production Efficiency Factor, Carcass Yield, Partial Meat Ratio and Meat Quality with Weeks)

  • 허강녕;김학규;김종대;김상호;이명지;추효준;손보람;최희철;이상배;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21-127
    • /
    • 2013
  • 본 시험은 본 시험은 토종오리 대형종의 생산지수, 도체수율 및 육질을 주령에 따라 평가하여 적정 출하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토종오리 대형종에서 발생된 병아리 90수로서 15수씩 6칸으로 나누고, 육용오리 사료를 이용하여 8주 동안 사양하였다. 일정 주령(6주령, 7주령 및 8주령)에 도달하였을 때 각각의 주령을 처리구로 하고, 칸 당 2수씩을 도압(屠鴨)하여 처리구당 6반복, 반복 당 2수씩 총 36수의 도체 수율, 부분육 비율 그리고 육질을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주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은 6주령에 비해 7주령과 8주령에서 높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6주령, 7주령 및 8주령에 각각 2.25, 2.69 및 3.21로 주령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생산지수는 6주령, 7주령, 8주령에 각각 256.6, 199.8 및 153.0으로 주령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도체 수율은 8주령에 73.5%이었으며 6주령과 7주령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가슴육의 비율은 주령이 지날수록 높아졌다(P<0.05). 명도($L^*$)는 6주령, 7주령 및 8주령에 각각 41.8, 39.0, 38.1로 6주령에서 7주령과 8주령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적색도($a^*$)는 주령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황색도($b^*$)는 8주령에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가열 감량은 6주령에 31.6으로 가장 높았으며, 주령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다. 전단력은 6, 7, 8주령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보수력은 6주령에 비해 8주령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H는 6, 7, 8주령에 각각 5.84, 5.99, 6.01로 6주령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P<0.05), 7주령과 8주령의 pH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분함량은 주령이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지방함량은 8주령에 1.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단백질의 함량은 주령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아져서 8주령에는 20.9%로 나타났다(P<0.05). 회분 함량은 6주령에 비해 7주령과 8주령에 높게 나타났다(P<0.05). 다즙성, 연도 및 향미는 주령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6주령에 비해 7주령과 8주령 사이의 육질 특성이 우수하며, 7주령과 8주령의 출하체중이 유사하기에 7주령 이후가 출하시기로 적절하다고 사료되나, 아직 확정짓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기 때문에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IO_4$-산화 가용성 전분에 의한 파파인의 변형 (Modification of Papain with $IO_4-Oxidized$ Soluble Starch)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9-355
    • /
    • 2007
  •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was reacted with papain at pH 4.0, pH 7.0, and pH 9.7, and an oxidized soluble starch-papain conjugate was produced. When compared with native papain, the specific activity decreased to 60%, in both the modified papain reacted with 0.4% $NaBH_4$ and in the modified papain not reacted with $NaBH_4$. The specific activity decreased to 70% in the modified papains reacted with 1.5% $NaBH_4$ and 4.0% $NaBH_4$, respectively. The reduction by $NaBH_4$ did not have an effect in the thermal stability of either the modified or nonmodified papain. An activity of 54.7% remained in the papain modified at pH 4.0, which was incubated at $80^{\circ}C$ for 40 min. The papains modified at pH 7.0 and pH 9.7 and incubated for 40 min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respectively, were stable to $60^{\circ}C$, and at $80^{\circ}C$ their activities at 56.3% and 44.1 %, respectively. The modified papain's thermal stability pattern was similar to that of native papain, with no increase in its statbility. In the range of pH $2.0{\sim}13.0$, the stability of the papain modified at pH 4.0 decreased greatly between pH $3.0{\sim}5.0$, but it was similar to the native papain at other pH values. The stability of the papain modified at pH 7.0 showed a similar pattern to the native papain at pH $2.0{\sim}6.0$, while its stability increased when moving into the alkali pH range. The papain modified at pH 9.7 also had increased stability, when moving into the alkali range. The results of Hammerstein milk casein, which was reacted with the papains modified at pH 4.0, pH 7.0, and pH 9.7, respectively, and analyzed by FPLC, showed different peaks according to the different modification pHs, and the greatest peak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the modification at pH 9.7.

과실 및 채소류에 대한 유기 인계 농약의 잔류소장 (Disappearance of Organic Phosphate Insecticides Residue on Vegetables and Fruit Crops)

  • 우기대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229-238
    • /
    • 1977
  • 유기인계(有機燐系) 농약(農藥)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을 파악(把握)하여 작물(作物)에 대(對)한 농약(農藥)의 사용(使用)을 기(期)하고저 배추, 오이, 토마토, 포도, 복숭아에 대(對)해 Diazine에 EPN, Parathion, Malathion, Diazinon, Sumithion의 경전잔류(經前殘留)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 배추에 대(對)한 Diazinone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21일후(日後)에 0.25~0.38p.p.m이 EPN은 1 회(回) 살포시(撒布時)는 7일후(日後)에 1.39~2.69p.p.m이 2살(撒) 포시(布時) 14 0.96~2.34p.p.m 검출(檢出)되었다. 2. 포되에 대(對)한 EPN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7일후(日後) 1.09~1.80p.p.m이 Sumithion은 14일후(日後) 0.17~0.53p.p.m이 검출(檢出)되었다. 3. 복숭아에 대(對)한 Parathion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14일후(日後)에 0.40~0.61p.p.m이 검출(檢出)되었다. 4. 토마토에 대(對)한 Dimethoate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7일후(日後)에 0.141p.p.m이 검출(檢出)되었다. 5. 오이에 대(對)한 EPN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3일후(日後)에 2.11~2.14p.p.m이 검출(檢出)되었고 Malathion은 약제살포당일(藥劑撒布當日)에 0.46p.p.m 3일후(日後)에 0.062~0.025p.p.m이 검출(檢出)되었다. 6. 과실(果實)및 채소류(菜蔬類)에 대(對)한 약제간(藥劑間) 경시분해도(經時分解度)가 반감기간(半減期間)에는 역(逆)의 관계(關係)가 성립(成立)되었다. 7. 배추 포도 오이에 대(對)한 EP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기간(使用禁止期間)은 배추는 1회(回) 살포기(撒布期) 7일간(日間), 2회살포기(回撒布期) 14일간(日間), 오이는 3일간(日間), 포도는 7일간(日間)이고 8. 복숭아에 대(對)한 Parathio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기간(使用禁止期間)은 14일간(日間) 9. 토마토에 대(對)한 Dimethoate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기간(使用禁止期間)은 7일간(日間) 10. 오이에 대(對)한 Malathio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使用禁止) 기간(期間)은 0~3일간(日間) 11. 포도에 대(對)한 Sumithio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使用禁止) 기간(期間)은 21일간(日間) 12. 배추에 대(對)한 Diazino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使用禁止) 기간(期間)은 21일간(日間)으로 정(定)하여 농약(農藥)을 사용(使用)함이 농산물(農産物)의 안전유통(安全流通)을 위(爲)해 좋은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병원 간호조직풍토와 간호사 직무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 최계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27-24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and also the factors which had influences in the nursing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nursing managers and 800 nurses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at 11 general hospitals in Taegu and Kyungbuk-area, from June 1 to June 30, 1999. Data were analyed with SPSS 7.5 using program such as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nursing organizational clim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F=9.246, p=.000), religion(f=5.658, p=.001), educational level(F=4.660, p=.010), position(F=27.016, p=.000), and the total length of service(F=7.274, p=.000).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subsidiary school(F=11.224, p=.000), the number of beds(F=9.893, p=.000), the number of nurses(F=6.365, p=.000), and kind of medical agency(F=5.251, p=.000) in the hospitals. 2) In the nurses' job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f=11.528, p=.000), religion(F=3.003, p=.000), position(F=22.485, p=.000), career the department of the present service(F=5.157, p=.000), total career of service(F=9.243, p=.000), and salary(F=5.507, p=.000).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religious background(F=4.779, p=.009), subsidiary school(F=7.039, p=.000), the number of beds(F=7.039, p=.000), and kind of medical agency(F=2.778, p=.006) in the hospitals 3)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r=.686). 4) The nursing organizational climate was explained 21.8% by salary 9.5%, position 7.4%, religious background of hospital 4.1%, and subsidiary school of hospital 0.8%. 5) The nurses' job satisfaction was explained 70.9% by nursing organizational climate 46.7%, salary 21.9%, kind of medical agency 1.4%, position 0.3%, religious background of hospital 0.3%, religion 0.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