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6 taxa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1초

우리나라 논 경작지에 출현하는 식물상 특성 (Floristic features of paddy fields in South Korea)

  • 김명현;어진우;송영주;오영주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690-706
    • /
    • 2019
  • 논 경작지는 인위적 습지로서 생물다양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논 경작지에 출현하는 식물종의 종조성 및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33개 지역에서 2016년 6월과 8월 두 시기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51과 219속 350종 4아종 30변종 5품종으로 총 38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과별 분포현황은 벼과가 가장 많은 76분류군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국화과 61분류군, 콩과 32분류군, 사초과 27분류군, 마디풀과 15분류군, 현삼과 1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종별 출현빈도는 바랭이와 돌피가 10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깨풀, 미국가막사리, 뚝새풀, 속속이풀, 여뀌바늘, 좀개구리밥, 주름잎, 자귀풀, 한련초, 닭의장풀, 쑥, 개망초, 금방동사니, 사마귀풀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논 경작지에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일년생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총생형(Th-R5-D4-t)로 나타났다. 희귀식물로는 쥐방울덩굴, 낙지다리, 벗풀, 물질경이, 물잔디, 창포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5과 54속 76종 3변종 1품종으로 총 80분류군이 확인되었고, 도시화지수는 24.8%, 귀화율은 20.6%를 나타냈다.

Taxonomic Status of Endemic Plants in Korea

  • Kim, Kun-Ok;Hong, Sun-Hee;Lee, Yong-Ho;Na, Chae-Sun;Kang, Byeung-Hoa;Son, Yo-W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4호
    • /
    • pp.277-293
    • /
    • 2009
  • Disagreement among the various publications providing lists of Korean endemic plants makes confusion inevitable. We summarized the six previous reports providing comprehensive lists of endemic plants in Korea: 407 taxa in Lee (1982), 570 taxa in Paik (1994), 759 taxa in Kim (2004), 328 taxa in Korea National Arboretum (2005), 515 taxa i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and 289 taxa in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total number of endemic plants described in the previous reports was 970 taxa, including 89 families, 302 genera, 496 species, 3 subspecies, 218 varieties, and 253 formae. Endemic plants listed four times or more were collected to compare the data in terms of scientific names and synonyms (339 taxa in 59 families and 155 genera). If the varieties and formae were excluded, the resulting number of endemic plants was 252 taxa for the 339 purported taxa analyzed. Seven of the 155 genera analyzed were Korean endemic genera. Among the 339 taxa, the same scientific names were used in the original publications for 256 taxa (76%), while different scientific names were used for 83 taxa (24%). The four largest families were Compositae (42 taxa, 12.4%), Ranunculaceae (19 taxa, 5.6%), Rosaceae (19 taxa, 5.6%), and Scrophulariaceae (19 taxa, 5.6%). Saussurea (Compositae) had the highest number of taxa within one genus (17 taxa; 5% of total endemic taxa).

자연환경 평가 - I.식물군의 선정 -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 Selection of Plant Taxa -)

  • 김철환
    • 환경생물
    • /
    • 제18권1호
    • /
    • pp.163-198
    • /
    • 2000
  • 본 연구는 현행 환경영향평가의 식물상 항목에서 내제되어 있는 여러 문제점의 대안으로써 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을 제시하였다. 이들은 어느 특정한 지역공간의 자연환경 우수성의 정도와 종보존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구계분석을 통하여 선택된 식물군은 그들의 분포범위에 따라 5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제V등급은 고립하거나 혹은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식물로 41과 76속으로 83분류군이 이에 해당한다. 제 IV등급은 1개의 아구에만 분포하는 식물로 78과 217속으로 314분류군이 해당되며, 제III등급은 2개의 아구에 나타나는 식물로 93과 223속으로 307분류군이 이에 딸린다. 제II등급은 비교적 국내의 전 아구에 분포하지만 일반적으로 1,000m이상의 높은 산지에 나타나는 식물로 43과 92속으로 109분류군이 이에 속하고, 제I등급은 3개의 아구에 나타나는 식물로 91과 207속으로 258분류군의 집합체로 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은 142과 559속으로 도합 1,071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결론적으로 제V등급 식물군은 분포하는 면적이 가장 협소하기 때문에 다른 등급 식물군에 비해 구조적으로 환경 변화에 도태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

  • PDF

경상북도 내륙지역의 민속식물 I (The Regional Folk Plants in Inland of Gyeongsangbuk-do (I))

  • 정규영;박명순;남보미;홍기남;장진;이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65-479
    • /
    • 2010
  • 본 연구는 경북 내륙지역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11월까지 수행되었다. 17개 시 군지역의 85개소에서 주민 126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조사야장 582장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경상북도 내륙지역에서 파악되고 수집된 민속식물은 총 76과 207속 225종 2아종 26변종 1품종의 총 254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용도별 이용은 식용 216종류, 약용 82종류, 염료 30종류, 향료 3종류, 향신료 4종류, 관상용 4종류, 섬유 1종류, 유지 2종류, 전분 1종류, 연료 5종류, 기타 9종류로서 식용으로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용 부위로는 잎, 줄기, 뿌리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군과 청송군의 종가집 민속식물 이용현황을 알아본 결과, 3군데의 종가집에서 총 42종류가 파악되었으며, 연령별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은 5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80대에서 가장 낮았다.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지역(지심도, 내도, 윤돌도, 송도, 갈도)의 관속식물상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t Five Islands (Jisimdo, Naedo, Yoondoldo, Songdo, Galdo) in East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 박삼봉;안현철;조현서;추갑철;신현수;안종빈;박정근;;김한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11-23
    • /
    • 2012
  •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지역에 속해 있는 5개의 섬(지심도, 내도, 윤돌도, 송도, 갈도)에 대한 식물상을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출현은 지심도는 85과 195속 219종 24변종 2품종 3아종 246분류군, 내도는 72과 127속 131종 12변종 143분류군, 윤돌도는 56과 73속 73종 10변종 1아종 84분류군, 송도는 33과 63속 64종 6변종 70분류군, 갈도는 47과 84속 84종 7변종 1품종 1아종 93분류군으로 모두 105과 272속 334종 39변종 4품종 3아종으로 총 380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7종이 출현하였으며, 특산식물은 6종이 출현하였고,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종은 I등급에는 42종류, II등급에는 1종, III등급에는 25종류, IV등급에는 4종류, V등급에는 4종류로 총 76종류가 출현하였다.

천황산 지역(경남)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Cheonhwang (Gyeongsangnam-do))

  • 고성철;최두섭;손동찬;박범균;김태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6-160
    • /
    • 2013
  • 경상남도 밀양시의 천황산 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총 1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천황산 지역의 관속식물은 90과 252속 387종 3아종 43변종 9품종의 총 44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 중 14분류군은 한국특산식물이었고, 11분류군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었다. 식물 구계학적특정종은 5등급 2분류군, 4등급 5분류군, 3등급 15분류군, 2등급 16분류군 그리고 1등급 21분류군 등 59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21분류군이었다. 또한, 조사된 식물들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163분류군, 섬유용식물 6분류군, 약용식물 125분류군, 관상용식물 76분류군, 목초용식물 163분류군, 공업용식물 4분류군, 염료용식물 9분류군, 목재용식물 21분류군 등이 자원식물로 나타났다.

황매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Hwangmaesan Mt.)

  • 김혜원;선은미;이강협;이정심;박범균;최태영;이수랑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99-226
    • /
    • 2020
  • 경상남도 합천군과 산청군의 경계에 위치한 황매산(1,108 m)은 소백산맥의 줄기로 식생이 풍부하고 산림생물다양성이 높다. 그러나 지속적인 개발 및 등산객 등 관광객 증가와 함께 외래식물의 유입, 식재로 인한 생태계 교란 등의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 본 연구는 황매산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여 현재의 기록을 남기는 동시에 식물다양성 보존 방안 및 외래식물의 산림 내 추가유입 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계획되었다. 조사는 2019년 3월부터 동년 10월까지 13회에 걸쳐 계절별로 개화하는 식물을 채집하고, 기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기존 조사에 비해 약 28%의 분류군이 증가한 106과 349속 554종 16아종 48변종 10품종의 총 62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내 관속식물 4,364분류군의 14.4%에 해당되며, 이중 양치식물이 26분류군(4.1%), 나자식물이 5분류군(0.8%), 쌍자엽식물이 477분류군(76.0%), 단자엽식물은 120분류군(19.1%)으로 분류되었다. 조사된 분류군 중 특산식물은 16분류군, 산림청지정 희귀식물은 14분류군이었고, 침입외래식물은 42분류군,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등급종은 75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무인도서의 식물상과 생활형 (Flora and Life-form of the Uninhabited Islets, in Jeju-do)

  • 송국만;현화자;강창훈;김문홍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309-1324
    • /
    • 2009
  • This study was survey a flora and life form spectrum of 11 uninhabited islets, in jeju-do. The vascular plants of each uninhabited islets were summarized as Beomseom 159 taxa, Chagwi-do 136 taxa, Daryeo-do 81 taxa, Hyeongje-do 61 taxa, Jigwi-do 39 taxa, Munseom 147 taxa, Ran-do 58 taxa, Saeseom 65 taxa, Seogeondo 60 taxa, Seopseom 183 taxa and Wa-do 46 taxa. Floristic richness was in order analyzed to be Seogeon-do 28.62, Ran-do 19.24, Daryeo-do 18.53, Wa-do 16.42, Munseom 16.14, Hyeongje-do 14.76, Seopseom 13.32, Beomseom 13.24, Chagwi-do 6.15, Saeseom 5.86 and Jigwi-do 2.51. Life form spectrum was surveyed to H-$D_5$-$R_4$-e; hemieryptophyte(H) 26.8%, not production seeds($D_5$) 54.4%, clonal growth by stolons and struck roots($R_4$) 46.9% and erect form(e) 30.3%. According to the life form spectrum hemieryptophyte dominated high portions, which suggests islet in jeju-do has hemieryptophytic climate and similar to middle parts in Korean Peninsular. However, were noticed by that it has more therophytes. As a result, Partially shows the characteristics change from the temperate climate to the warm temperate climate or a semitropical climate by a climatic change.

낙동강 지류의 수생 및 수변 식물상(상주: 병성천, 북천, 외서천) (Aquatic and Riparian Flora of the Nakdonggang River Tributary (Sangju: Byeongseong-cheon, Buk-cheon, Oeseo-cheon))

  • 황용;홍정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16-535
    • /
    • 2020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상주시를 흐르는 병성천, 북천, 외서천의 수생 및 수변 식물상을 밝히고, 생활형을 파악하여 지역 자원식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9년 2월부터 10월까지 병성천, 북천, 외서천 등 3개 하천에서 실시하였고, 관속식물의 종조성은 78과 203속 300종 5아종 15변종 1품종 등 총 3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병성천은 46과 93속 124종 3아종 6변종 등 133분류군, 북천은 65과 155속 207종 4아종 12변종 등 223분류군, 외서천은 48과 104속 126종 2아종 4변종 등 132분류군 등으로 확인되었다. 수생 및 수변식물은 138분류군으로 그중 수생식물은 20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수변식물은 11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생활 형태별로 3개 하천에서 출현한 정수 식물은 13분류군, 부엽식물은 1분류군, 침수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육 형태별로 분류하면 1년생이 43분류군, 2년생이 24분류군, 다년생이 7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국가적색목록 대상 종은 3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5분류군이 학인되었고 3급 이상은 5분류군이다. 국외반출승인종은 31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식물은 5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생태계 교란종은 4분류군이 포함되었다. 귀화율은 16.1%, 도시화지수는 16.2%로 나타났다. 식물유용성에서는 213분류군 (66%), 약용 244분류군(76%), 향료용 10분류군(3%), 산업용 136분류군(42%), 관상용 137분류군(43%), 복원용 117분류군(36%), 사료/퇴비용 155분류군 (48%), 용도 미상 24분류군 (7%)으로 확인되었다.

보래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Boraebong)

  • 김지은;김영수;이정심;장주은;정현진;김알렉세이;한상국;길희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5-61
    • /
    • 2024
  • 식물상 연구는 종 다양성 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변화를 평가 및 예측하고 한반도의 기후환경 및 생물다양성을 기록할 수 있다. 보래봉은 보존 가치가 있는 식물자원을 보유하나 등산로와 임도를 통한 인위적인 간섭이 우려되는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증거표본 및 사진자료에 기초하여 보래봉 일대의 관속식물을 보고하고, 보래봉의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해 추가적인 침입 외래식물 유입 방지에 활용하고자 한다. 2022년 4월부터 11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현지 조사를 조사한 결과, 87과 269속 401종 13아종 35변종 6품종으로 총 45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또한, 적색목록은 총 4분류군(EN 2분류군, NT 2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18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02분류군(V 등급 1분류군, IV 등급 16분류군, III 등급 31분류군, II 등급 31분류군, I등급 23분류군)이 나타났다. 게다가 보래봉에서 외래식물 17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 2분류군, 자원식물은 43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선행 연구와의 비교 결과, 38과 76속 86종 1아종 8변종 3품종 총 98분류군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