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0 T MRI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2초

Experience with 7.0 T MRI in Patients with Supratentorial Meningiomas

  • Song, Sang Woo;Son, Young Don;Cho, Zang-Hee;Paek, Sun Ha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4호
    • /
    • pp.405-409
    • /
    • 2016
  • Meningiomas are typically diagnosed by their characteristic appearance on conven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However, detailed image findings regarding peri- and intra-tumoral anatomical structures, tumor consistency and vascularity are very important in pre-surgical planning and surgical outcomes. At the 7.0 T MRI achieving ultra-high resolution, it could be possible to obtain more useful information in surgical strategy. Four patients who were radiologically diagnosed with intracranial meningioma in 1.5 T MRI underwent a 7.0 T MRI. Three of them underwent surgery afterwards, and one received gamma knife radiosurgery. In our study, the advantages of 7.0 T MRI over 1.5 T MRI were a more detailed depiction of the peri- and intra-tumoral vasculature and a clear delineation of tumor-brain interface. In the safety issues, all patients received 7.0 T MRI without any adverse event. One disadvantage of 7.0 T MRI was the reduced image quality of skull base lesions. 7.0 T MRI in patients with meningiomas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surgical strategy, such as the peri-tumoral vasculature and the tumor-brain interface.

척추 MRI 검사 시 척추 유합술로 인한 금속 인공물 억제 방법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n Methods to Suppress Metal Artifacts Caused by Spinal Fusion during Spine MRI Study)

  • 유세종;권순용;김성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123-1131
    • /
    • 2023
  • 본 연구는 척추 MRI 검사 시 척추 유합술로 인한 금속 인공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척추 수술용 나사로 제작된 팬텀을 제작하여 금속 인공물을 재현하였다. 그리고 1.5T 그리고 3.0T MRI 장치로 영상을 획득하여 자기장 세기에 따른 금속 인공물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더불어 수신대역폭을 200, 400, 800 Hz/PX로 증가시키며 금속 인공물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5T MRI 장치에서 획득한 영상에서 발생한 금속 인공물은 3.0T MRI 장치에서 획득한 영상과 비교하여 약 52.2%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특히, 신호 감쇄 및 신호 누적 영역이 각각 약 52.81%, 42.71% 감소하여 금속 인공물 억제에 큰 효과가 있었다. 반면, 수신대역폭을 200에서 800 Hz/PX까지 증가시키며 영상을 획득한 경우는 1.5T MRI 장치의 경우 최대 8.93%, 3.0T MRI 장치의 경우 최대 10.98% 감소하여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 수신대역폭의 증가는 신호 감쇄를 줄여 일부 금속 인공물을 줄였지만 신호 누적을 억제하지 못해 큰 효과가 없었다. 하지만 3.0T에서 1.5T로 자기장의 세기를 줄인 경우, 신호 감쇄와 신호 누적이 크게 감소해 금속 인공물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척추 유합술로 인한 금속 인공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저 자기장 MRI 장치에서 검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Review of Recent Advancement of Ultra High Fiel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rom Anatomy to Tractography

  • Cho, Zang-Hee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0권3호
    • /
    • pp.141-151
    • /
    • 2016
  • Purpose: Advance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especially that of the Ultra-High Field (UHF) MRI will be reviewed. Materials and Methods: Diffusion MRI data was obtained from a healthy adult young male of age 30 using a 7.0T research MRI scanner (Magnetom, Siemens) with 40 mT/m maximum gradient field. The specific imaging parameters used for the data acquisition were a single shot DW echo planar imaging. Results: Three areas of the imaging experiments are focused on for the study, namely the anatomy, angiography, and tractography. Conclusion: It is envisioned that, in near future, there will be more 7.0T MRIs for brain research and explosive clinical application research will also be developed, for example in the area of connectomics in neuroscience and clinical neurology and neurosurgery.

GE 펄스시퀀스을 이용한 1.5T와 3.0T MRI의 화학적 이동 인공물의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Chemical Shift Artifacts at 1.5T and 3.0T MRI using Gradient Echo Pulse Sequence)

  • 권대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531-537
    • /
    • 2016
  • 물과 지방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이동의 인공물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MRI parameter를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MRI의 1.5T와 3.0T에서 parameter와 bandwidth 및 부호화 변화에 따른 영상을 스캔하여 SNR, CNR을 비교하였다. MRI 영상에서 물과 기름의 화학적 이동의 인공물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었고, 3.0T보다 1.5T에서의 영상이 인공물이 비교적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ndwidth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인공물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MRI검사에서 화학적 이동의 인공물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주 자장의 세기가 약하고, bandwidth의 폭을 넓히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7 T MRI에서의 다양한 RF 코일에 대한 B1+ 비교 (B1+ Comparison for Different RF Coils at 7 T MRI)

  • 김홍준;유형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1010-1013
    • /
    • 2012
  • 정 자장($B_0$)의 세기가 7 T(Tesla) 고자기장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시스템은 정 자장의 세기가 1.5 T 또는 3 T MRI 시스템에 비하여 인가된 RF(Radio Frequency) 필드의 높은 불균질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점를 극복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써, 관심 영역에서의 RF 자장이 균일하도록 RF 코일의 각 요소로 들어가는 최적화된 전류의 크기와 위상 값을 얻기 위해서 convex 최적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을 7 T MRI 시스템에 다양한 RF 코일에 적용하여 각각의 $B_1^+$ 필드 값을 비교하여 그 성능을 파악하였다.

닥스훈트견의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에서 1.5T와 7T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진단 증례 (Meningoencephalitis in Dachshund Dog with Canine Distemper Virus Infection: 1.5 T and 7.0 T MRI Findings)

  • 강민희;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55-759
    • /
    • 2010
  • 6년령의 암컷 닥스훈트견이 2일전 발생한 발작증상으로 내원하였다. 기본 신체검사, 실험실 검사 및 신경검사를 통해, 뇌 질환에 의한 발작이 의심되었다. 환자는 1.5T와 7T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진단이 시도 되었다. T2 영상에서 간뇌 에서 연수 부위까지 광범위한 고신호성 뇌병변이 관찰되었다. 뇌척수액의 중합효소연쇠반응(RT-PCR)을 통하여, 개 디스템퍼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개 디스템퍼 바이러스에 의한 뇌수막염이 최종 진단 되었다. 지속적인 상태 악화에 의해, 환자는 진단 7일 뒤 보호자의 요청에 의해 안락사가 실시되었다. 사후 부검을 통한 조직검사에서 자기공명영상과 같은 부위의 뇌병변이 확인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는 바이러스에의한 뇌병변의 1.5T와 7T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첫 번째 진단 증례 보고 이다.

고자장 MRI에서의 영상 영역에 대한 B1+ 균질성 (B1+ Homogenizaion over Whole Field of View in High Field MRI)

  • 김홍준;손혁우;조영기;유형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96-100
    • /
    • 2012
  • 정 자장($B_0$)의 세기가 7 T(Tesla) 또는 9.4 T 고자기장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시스템은 정 자장의 세기가 1.5 T 또는 3 T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시스템에 비하여 인가된 RF(Radio Frequency) 필드의 높은 불균질성을 보여준다. 다채널(multi-channel) RF 코일에서는 인가된 RF 자장($B_1^+$)의 불균질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코일 소자(element)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선택된 관심 영역에서의 RF 자장이 균일하도록 RF 코일의 각 요소로 들어가는 최적화된 전류의 크기와 위상 값을 얻기 위해서 iterative 방법과 함께 convex 최적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을 입증하기 위하여 9.4 T MRI 시스템에 RF 코일의 공진 주파수가 400 MHz을 가지는 다채널 전송 선로 코일이 인체 두상 모형과 함께 모델링되었으며, 이 코일에 의하여 자장이 얻어진다. 9.4 T MRI 시스템을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자세히 논의된다.

비 인두 자기공명 검사 시 최적의 진단영상 장치 선택에 관한 정량, 정성적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Quantitative, Qualitative Analysis on Optimizing Diagnostic Imaging Device Selection in Nasopharynx MRI)

  • 구은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035-104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1.5 T와 3.0 T 비 인두 MRI 검사 후 SNR과 CNR을 평가하여 최적의 Tesla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0명의 PACS로 전송된 Nasopharynx MRI검사 환자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장비로는 1.5 T, 3.0 T MRI 장비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T1 WI과 T1 지방소거 영상에서 각 Tongue, Spinal Cord, Masseter Muscle, Fat, Parotid Gland, Tumor의 조직에 대하여 일정한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SNR와 CNR을 평가하였다. 6가지의 조직에 대하여 정량적 분석으로 SNR과 CNR을 평가하였고, 정성적 분석으로 균일한 지방소거, 자화 감수성 인공물에 대한 영상의 질을 4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데이터 분석의 통계적 유의성은 독립표본 T검증과 Wilcoxon Signed Ranks사용하였으며, p 값이 0.05이하일 때 유의성을 두었다. 본 실험에 대한 정량적 평가 결과 T1 WI 과 T1 지방소거를 1.5 T와 3.0 T를 비교했을 때 T1 WI에 대한 3.0 T가 평균 SNR(124.75±), CNR(118.91±)로 정량적 분석에서 SNR과 CNR값이 1.5 T평균 SNR(73.15±), CNR(60.59±)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T1 지방소거에서 3.0 T가 평균 SNR(101.10±), CNR(81.24±)로 1.5 T의 평균 SNR(78.47±), CNR(65.7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정성적 분석으로 균일한 지방소거, 자화 감수성 인공물에 대하여 4등급으로 평가했을 때 1.5 T 장비가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 결론적으로 두 기기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 정량적 평가부분 에서는 3.0 T 장비가 높게 나타났고 정성적 평가 부분에서는 1.5 T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각 장비에 대한 장단점을 고려할 때 상호보완적으로 장비를 선택하여 환자에게 적용한다면 최적의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Brain Metastases at 7.0T versus 1.5T: A Preliminary Result

  • Paek, Sun Ha;Kim, Jhi-Hoon;Choi, Sung-Hong;Yoon, Tae-Jin;Son, Young Don;Kim, Dong Gyu;Cho, Zang-Hee;Sohn, Chul-Ho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9권1호
    • /
    • pp.31-36
    • /
    • 2015
  • Purpose: To compare the depiction of brain metastases on contrast-enhanced images with 7.0 tesla (T) and at 1.5T MRI. Materials and Methods: Four consecutive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were scanned on 7.0T whole-body scanner and 1.5T MRI. A 3D T1-weighted gradient echo sequence (3D T1-GRE) at 1.5T (voxel size = $0.9{\times}0.9{\times}1.5mm^3$ after double-dose, gadoterate meglumine, Gd-DOTA) was compared to a 7.0T 3D T1-GRE sequence (voxel size = $0.4{\times}0.4{\times}0.8mm^3$, single-dose Gd-DOTA) in four patients after a 5 minute delay. The number of contrast-enhancing metastases in MPRAGE images was compared in each patient by two radiologists in consensus. We measured contrast ratio of enhancing brain metastases and white matter in 1.5T and 7.0T. Results: In all four patients 7.0T 3D T1-GRE images after single-dose Gd-DOTA and 1.5T after double-dose Gd-DOTA depicted 11 brain metastases equally.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contrast ratios of enhancing brain metastases and white matter, the 1.5T 3D T1-GRE after double-dose showed an increased contrast ratio compared to 7.0T 3D T1-GRE after single-dose ($0.961{\pm}0.571$ versus $0.885{\pm}0.494$; n = 11 metastases).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711). Conclusion: Our preliminary results indicate that 7.0T single-dose Gd-enhanced images were not different to 1.5T double-dose Gd-enhanced images for the detection of brain metastases.

MRI 검사의 시퀀스 별 영상 변수와 SAR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Parameters and SAR for Each Sequence of MRI )

  • 김성호;유세종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133-1138
    • /
    • 2023
  • 본 연구는 SAR의 최적화를 위해 다양한 시퀀스 환경에서 영상 변수와 전자파흡수율 (SAR)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T2, T1, STIR, T1 FLAIR 그리고 T2 FLAIR 시퀀스를 대상으로 장비에서 계산된 전신(whole body, WB) SAR와 두부 (head) SAR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영상 단면의 수와 재위상화 RF의 숙임각(FA)을 조절하며 SAR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퀀스에서 영상 단면의 수가 증가할수록 SAR는 증가하였다. T1과 T1 FLAIR는 상관계수(r)가 각각 0.876, 0.876 (WB SAR, head SAR), 0.867, 0.867 (WB SAR, head SAR)이었고 STIR는 0.898, 0.899 (WB SAR, head SAR)로 가장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p<0.05). 재위상화 RF의 FA을 증가시키며 적용하였을 때, WB SAR와 head SAR는 모든 시퀀스에서 전반적으로 상승하였다. T1, T2 시퀀스에서 상관계수(r)가 각각 0.897, 0.898 (WB SAR, head SAR)과 0.914, 0.915 (WB SAR, head SAR)로 높은 연관성을 보인 반면, 반전회복기법을 적용된 시퀀스에서는 상대적으로 FA 증가에 덜 민감한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비교적 TR이 낮은 시퀀스 환경에서는 단면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고속스핀에코기법을 적용하여 동작 비율이 높은 시퀀스 환경에서는 재위상화 RF의 FA을 줄이는 것이 SAR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