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 ethanol

검색결과 2,792건 처리시간 0.027초

고장초 추출 용매의 에탄올 함량에 따른 항산화, 항염증, 항알러지, 미백 활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ti-allergy, and Whitening Effect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from Zizania latifolia)

  • 박세호;이재열;양선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94-10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장초 줄기 ethanol 추출물 5종(10, 30, 50, 70, 9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에 대한 다양한 효능을 평가하여 원료제조를 위한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항산화능 평가결과, ethanol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DPPH 및 ABTS 라디칼에 대한 $RC_{50}$ 값은 감소하여 소거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항염증 평가 결과, ethanol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lipopolysaccharide (LPS)로 처리한 RAW 264.7에서 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능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250{\mu}g/ml$의 농도에서의 NO 생성능 비교 시, 15.69, 14.13, 11.86, 8.64, $10.09{\mu}M$로 7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에서 가장 높은 NO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항알러지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RBL-2H3 세포를 IgE-항원으로 활성화 시킨 결과, 1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의 ${\beta}-hexosaminidase$ 방출 억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30% Z. latifolia ethanol extract부터 농도의존적으로 ${\beta}-hexosaminidase$의 방출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00{\mu}g/ml$ 추출물 처리 시 ${\beta}-hexosaminidase$ 방출은 각각 94.20, 57.10, 46.70, 36.38, 27.45%로 9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의 항알러지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미백 효능 평가 결과, ethano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500{\mu}g/ml$ 농도의 70%, 90%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은 양성대조군인 arbutin ($250{\mu}M$)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Z. latifolia ethanol extracts는 세포 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능과 관련된 다양한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원료 제조 조건에 대한 활성 결과는 향후 피부건강을 위한 기능성 식품 원료 제조를 위한 기초 결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thanol-Producing Schizosaccharomyces pombe CHFY0201

  • Choi, Gi-Wook;Um, Hyun-Ju;Kim, Mi-Na;Kim, Yule;Kang, Hyun-Woo;Chung, Bong-Woo;Kim, Ya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828-834
    • /
    • 2010
  • An ethanol-producing yeast strain, CHFY0201, was isolated from soil in South Korea using an enrichment technique in a yeast peptone dextrose medium supplemented with 5% (w/v) ethanol at $30^{\circ}C$. The phenotypic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D1/D2 domains of the large subunit (26S) rDNA gene and the internally transcribed spacer (ITS) 1+2 regions, suggested that the CHFY0201 was a novel strain of Schizosaccharomyces pombe. During shaking flask cultivation, the highest ethanol productivity and theoretical yield of S. pombe CHFY0201 in YPD media containing 9.5% total sugars were $0.59{\pm}0.01$ g/l/h and $88.4{\pm}0.91%$, respectively.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for ethanol production was carried out using liquefied cassava (Manihot esculenta) powder in a 5-l lab-scale jar fermenter at $32^{\circ}C$ for 66 h with an agitation speed of 120 rpm. Under these conditions, S. pombe CHFY0201 yielded a final ethanol concentration of $72.1{\pm}0.27$ g/l and a theoretical yield of $82.7{\pm}1.52%$ at a maximum ethanol productivity of $1.16{\pm}0.07$ g/l/h. These results suggest that S. pombe CHFY0201 is a potential producer for industrial bioethanol production.

RAW 264.7 세포에서 긴병꽃풀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검증 (Verific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of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in RAW 264.7 Cells)

  • 이진영;유단희;정용성;주성현;채정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9-43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긴병꽃풀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대식세포(Raw264.7)에서 긴병꽃풀 7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0{\mu}g/ml$ 농도에서 95.8%의 생존율을 보였고, 특히 $1,000{\mu}g/ml$의 농도에서 37.4%의 Nitric oxide (NO)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Western blot과 RT-PCR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대조군인 Vit. C와 비교하였을 때 긴병꽃풀 추출물에서 iNOS와 COX-2의 mRNA 발현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긴병꽃풀 추출물의 항염증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감자의 성분함량과 품종이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ent of Potato Tuber Component and Potato Variety on the Bioethanol Production)

  • 장유리;임영훈;김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73-278
    • /
    • 2011
  • 감자로부터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함에 있어, 감자 품종, 성분 함량, 감자 수확시기가 에탄올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단순 회귀분석 결과에 의해서 감자의 전분과 수분 함량이 에탄올 생산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분 함량이 높을수록 그리고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에탄올 생산이 증가하였다. 2. 감자 품종별 중량 및 단위면적당 에탄올 생산수율을 조사한 결과, 하령 감자가 $94.3{\pm}1.9$ L/ton과 $3111.9{\pm}62.7$ L/ha으로서 가장 높은 에탄올 생산수율을 나타내었고, 조원이 $79.9{\pm}0.9$ L/ton과 $2556.8{\pm}28.8$ L/ha로 가장 낮았다. 3. 가장 많은 에탄올 생산을 나타낸 수확 시기는 품종마다 다르게 나타났는데, 최적 수확시기가 6월 30일인 경우는 고운과 대서이었고, 7월 9일의 경우는 하령과 가원이었다. 조원의 경우는 6월 30일과 7월 9일의 에탄올 생산량이 비슷하였고, 7월 9일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한편 7월 20일이 수확 최적 시기인 품종은 없었다. 4.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에탄올 생산을 위한 감자는 그 품종과 수확시기의 선택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가장 많은 에탄올 생산량은 하령 감자를 7월 9일에 수확한 것에서 나타났다.

고정화 효모에 의한 연속적 에탄올 발효 (Continuous Ethanol Fermentation using Immobilized Yeasts)

  • 서근학;송승구;문성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9-203
    • /
    • 1986
  • Wood chip을 support로 충전한 관형발효조에 Saccharomyces formosensis 효모용액을 통과시켜 고정화한 관형발효조에서 연속 발효실험을 수행한 결과 wood chip은 support로서 높은 효모 고정화율을 나타내었다. 관형발효조에서 발효실험시 유량 및 농도의 변화시 정상상태에 도달하는데 약 60시간 소요되었고, 정상상태에서 ethanol수율은 0.473-0.483로서 회분식 발효조 경우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정상상태에서 ethanol생산성 (공간체적 기준)은 ethanol농도 61.4-65.7 g/l 범위에서 24.4-19.1g EtOH/$\ell$.hr를 나타내어 다른 고정화법에 의한 것과 비슷하게 높았다. 관형발효조에서 410시간 연속 발효운전시 오염현상이 없었고 효모생존율은 88-93%로 유지되었다.

  • PDF

Hybridization에 의한 반수체 재조합 효모균주의 전분 발효능 증진

  • 박선영;김근;이창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26-732
    • /
    • 1996
  • To improve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such as starch-degradability, ethanol tolerance, sugar and high-temperature tolerance) of recombinant haploid yeast Saccharomyces diastaticus K114, hybridization technique was used. The hybridization partner was S. diastaticus 1177 which had good glucoamylase activity and fermentabi- lity. The best hybrid HH64 showed improved ethanol tolerance, sugar and high-temperature tolerance. Especia- lly, the starch-ferment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since the hybrid produced 1.60% (w/v) ethanol from 4% (w/v) starch, while the recombinant haploid K114 produced 1.30% (w/v) ethanol.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the starch-fermentation by the hybrid HH64 was 30$\circ$C and 5, respectively. The hybrid yeast HH64 produced 7.5% (w/v) ethanol directly from 20% (w/v) starch.

  • PDF

Insecticidal Activity of Extracts Isolated from Syzygium Aromaticum

  • Jung, Ji Young;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5호
    • /
    • pp.624-633
    • /
    • 2014
  • This study separated the crude extract (70% ethanol) of and its three fractions (hexan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extracts) on the basis of polarity indexes, and examined for their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aphid (Uroleucon lactucicola). For crude extraction, the 70% ethanol extract showed the best extract yield (58.0%) and insecticidal activity (69.0%) among the various concentrations tested (water, 30% ethanol, 50% ethanol, 70% ethanol and 95% ethanol). The major chemical compounds of different fractions (hexan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extracts) were identified as eugenol by head space-GC-MS analysis. The hexane extract showed the highest eugenol content (43.7%) and insecticidal activity (80.0%). The insecticidal activity is accordingly believed to be attributable to the eugenol component. This may provide a useful start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bio-pesticides.

A Kinetic Investigation of Ethanol Oxidation on a Nickel Oxyhydroxide Electrode

  • Danaee, I.;Jafarian, M.;Sharafi, M.;Gobal, F.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50-56
    • /
    • 2012
  • Nickel modified NiOOH electrodes were used for the electrocatalytic oxidation of ethanol in alkaline solutions where the methods of cyclic voltammetry (CV) and chronoamperometry (CA) were employed. In CV studies, in the presence of ethanol, an increase in the current for the oxidation of nickel hydroxide is followed by a decrease in the corresponding cathodic current. This suggests that the oxidation of ethanol is being catalysed through mediated electron transfer across the nickel hydroxide layer comprising of nickel ions of various valence states. Under the CA regime the reaction followed a Cottrellian behavior and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ethanol was found to be $1{\times}10^7cm^2s^{-1}$.

바이오디젤-에탄올 혼입연료의 분무 및 연소특성 (Spray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iodiesel-Ethanol Blending Fuel)

  • 엄동섭;최연수;조용석;이성욱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7
    • /
    • 2009
  • Ethanol has properties of a lower setting point, higher oxygen contents, lower cetane numbers, and also higher volatility compared to biodiesel. Thus, biodiesel fuel can be improved in the fluidity of and exhaust emissions by blended ethanol fuel.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iodiesel-ethanol blending fuel inside a constant volume chamber by obtaining some fundamental data in order to improve combustion atmosphere. To understand the physics of combustion, high speed camera was applied to visualize the development of combustion processes, and combustion pressure and exhaust emission were measured at several blending ratios of ethanol and biodiesel fuel. This information may contribut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biodiesel engine and reduce emissions in future.

발효온도에 의한 효모의 에탄올 내성 요인 연구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Ethanol Tolerance of Yeast Strains by fermentation Temperature)

  • 장형욱;유연우
    • KSBB Journal
    • /
    • 제7권1호
    • /
    • pp.33-37
    • /
    • 1992
  • Saccharomyces cerevosiae STV89와 Kluyveromyces fragilis CBS 397을 이용한 알콜발효에서 발효온도에 따른 세포내 에탄올 농도와 지방산 함량비율을 분석하여 효모의 에탄올 내성에 영향을 이치는 요인을 밝히고져 하였다. 실험결과 두 균주 모두 발효온도가 낮을수록 최대 세포내 에탄올 농도는 감소한 반면, 불포화지방산 중에서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세포내 에탄올 축적이 감소하면 세포막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증가하여 세포로 부터의 에탄올 확산이 촉진되기 때문에 효모의 에탄올에 대한 내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