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G

검색결과 30,988건 처리시간 0.062초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모드1 및 모드 2 층간파괴인성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 1 and Mode 2 Interlaminar Fracture Toughness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 김재동;고성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1권3호
    • /
    • pp.272-278
    • /
    • 1995
  • 강도가 각각 다른 세 종류의 프리프레그를 사용하여 일방향 CFRP를 적층하였으며, 모드 I과 모드 II 실험을 통하여 층간 파괴인성치를 고찰하였고, 또한 적층 섬유방향을 변화시킨 사교적층판의 그것도 함께 고찰하였으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임계에너지 방출률 G 하(IC)의 값을 컴플라이언스 법, 수정 컴플라이언스 법, 그리고 보이론에 의해 계산하여 비교 검토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수정식에 의한 값들이 거의 일치하였다. 2) G 하(IC) 값은 대체로 프리프레그의 C, B, A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G 하(II C)의 값을 세가지 식에 의해 계산하여 비교 검토한 결과 거의 일치하였다. 3) 사교적층판의 경우 G 하(IC) 값은 [0/90] 하(6s), [0/45] 하(6s), [0/45/90] 하(6s)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G 하(II C)는 [0/90] 하(6s), [0/45/90] 하(6s), [0/45] 하(6s)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사교적층판과 일방향의 임계에너지 방출률을 비교하였을 때, 모드 I의 경우 일방향의 결과가 다소 높았으며, 모드 II의 경우는 [0/45] 하(6s)의 결과는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간-부분절제(肝-部分切除) 후 나타나는 재생과정(再生過程)에서 교감신경계(交感神經系)의 역할(役割)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Role of Sympathetic Activity in the Early Phase of Liver Regeneration after Partial Hepatectomy)

  • 최상현;이중근;박청산;전보권;천연숙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7-183
    • /
    • 1990
  • 간-부분절제후 재생과정에서 간 polyamine 대사에 교감신경계가 촉진적으로 간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Guanethidine 25mg/kg를 1회 (G-1), 또는 매일 1회씩 3(G-3), 5(G-5) 및 6일간(G-6) 각각 복강내-주사하고, diethyl ether 마취하에서 웅성 백서의 간을 부분$(70.4{\pm}1.99%)$-절제하여, 절제 전후의 혈압, 혈장 catecholamine치 및 간 polyamine 함량의 변동을 검토하여 다음의 성적을 얻었다. 1. 백서 꼬리에서 측정한 정상 수축기 혈압은 $98.0{\pm}3.9mmHg$이며, 이는 G-1에 별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G-3, G-5 및 G-6에 의하여는 25% 이상 현저히 저하되었다. 2. 혈장 norepinephrine 및 epinephrine치는 간-부분절제하고 3시간 후에 각각 $20.38{\pm}2.23pmole/ml$$56.06\pm4.63pmole/ml$로써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며 그 증가율은 G-1 및 G-6에 의하여 80.46% 이상 현저히 억제되었다. 3. 간-부분절제 전의 putrescine, spermidine 및 spermine 함량은 각각 $118.6{\pm}14.1$, $873.8{\pm}27.7$$875.6{\pm}42.1nmole/g$ wet liver로서 절제후 6시간에 각각 5.5배, 1.5배 및 1.3배 이상 증가되었으며, putrescine의 증가만이 G-6에 의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을 뿐 guanethidine-전처치에 별 영향을 받지않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볼 때, 간-부분절제후 재생과정에서 나타나는 polyamine대사의 촉진현상에 교감신경성 catecholamine들이 직접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 PDF

단기간의 운동 및 식이 조절이 비만아동의 질소 평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ercise and Diet Control Program on Nitrogen Balance in Obese Children)

  • 박소앙;이성숙;최인선;오승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6호
    • /
    • pp.637-644
    • /
    • 2001
  • 본 연구는 운동 및 식이 조절이 비만 아동의 질소 평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8~12세의 비만한 초등학교 남자 아동을 대상으로 3일간은 대조기간 1주일간은 운동을 부하하되 에너지는 제한하지 않는 운동기간 및 그 후 1주일간은 운동부하와 동시에 에너지를 제한하는 에너지 제한 운동기간으로 나누어 대상자의 체중 및 체성분을 측정하고, 또한 에너지 섭취량, 질소 평형 및 CHI를 측정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1일 평균 총 에너지 섭취량은 대조기간, 운동기간 및 에너지 제한 운동기간별로 각각 평균 2,152 $\pm$ 138kca1, 1,861 $\pm$ 138kca1 및 1,368 $\pm$ 87kca1이었다. 체중은 대조기간에 비하여 운동기간 및 에너지 제한 운동기간 별로 각각 평균 1.2 $\pm$ 0.2kg 및 1.8 $\pm$ 0.3 kg 감소되었데, 이 중 지방 조직은 각각 평균 1.0 : 0.3kg 및 1.5 $\pm$ 0.5kg 감소되었고 무지방 조직은 각각 평균 0.2 $\pm$ 0.4kg 및 0.3 $\pm$ 0.4kg 감소되었다. 1일 질소 섭취량은 대조기간, 운동기간 및 에너지 제한 운동기간별로 각각 평균 9.1 $\pm$ 0.7g, 9.1 $\pm$ 0.8g 및 7.1 $\pm$ 0.5g 이었는데 대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은 기간별로 각각 평균 1.3 $\pm$ 0.2g, 0.9 $\pm$ 0.1g 0.7 $\pm$ 0.1 이었으며 소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은 기간별로 각각 평균 6.7 $\pm$ 0.6g, 6.6 $\pm$ 0.5g 및 6.7 $\pm$ 0.6g 이었다.

  • PDF

자외선(UV)-B 조사에 의한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자실체의 비타민 D2 함량 증가 (Ultraviolet (UV)-B Irradiation Increased Vitamin D2 Contents in the Fruit Bodies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 노재영;박상돈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1-194
    • /
    • 2013
  • 아위느타리버섯(P. eryngii var. ferulae)의 비타민 $D_2$ (ergocalciferol) 함량 증강을 위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자실체에 자외선(UV)-B파장(280-320 nm)을 조사하였다. 비타민 $D_2$ (ergocalciferol)의 증가된 함유량은 HPLC (Waters 1525, USA)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비타민 $D_2$ 함량은 3분($21.6KJ/m^2$) 처리시 $3.5{\mu}g/g$, 5분($36KJ/m^2$) 처리시 $6.02{\mu}g/g$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 $0.01{\mu}g/g$에 비교하여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큰느타리버섯(P. eryngii)은 대조군 $0.09{\mu}g/g$, 3분 처리시 $2.75{\mu}g/g$, 5분 처리시 $5.21{\mu}g/g$으로 나타났다. 표고버섯(L. edodes)은 대조군 $0.02{\mu}g/g$, 3분 처리시 $3.02{\mu}g/g$, 5분 처리시 $3.78{\mu}g/g$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P. ostreatus)은 대조군 $0.19{\mu}g/g$, 3분 처리시 $9.63{\mu}g/g$, 5분 처리시 $11.60{\mu}g/g$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P. ostreatus)의 비타민 $D_2$ 함량이 아위느타리버섯, 큰느타리버섯과 표고버섯 보다 높았으나 비타민 $D_2$ 함량 증가율은 아위느타리버섯이 월등히 높았다.

대구.경북지역 학교 급식에 공급되는 식재료의 유통단계별 미생물 평가 - 어육류, 냉동가공 제품 - (Microbiological Safety During Delivering of Food Ingredients Supplied to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Seafood, Meat and Frozen Processing Food-)

  • 김윤화;류경;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76-28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 경북지역 초등학교에 공급되는 냉장, 냉동유통 제품인 어육류와 냉동가공제품의 유통단계를 분석하고, 유통과정에서의 미생물 변화와 학교급식에 이용되는 식재료의 미생물 품질 평가를 위하여 실시되었다.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가공업체에서 학교로 냉동차량을 이용하여 직배송 되었으나 다른 어육류와 냉동가공제품들은 농산물과 함께 직납업체를 거쳐 냉장(${\leq}10$)으로 혼재 배송되고 있었다. 학교 도착 후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수는 각각 절단생선 $2.0{\times}10^2{\sim}3.2{\times}10^5$, $<5{\sim}4.0{\times}10^3CFU/g$, 오징어 $2.5{\times}10^4{\sim}6.6{\times}10^5$, $1.6{\times}10^2{\sim}6.0{\times}10^3CFU/g$, 깐 조개류 $3.2{\times}10^5{\sim}1.7{\times}10^3$, $4.0{\times}10^3{\sim}3.0{\times}10\;CFU/g$, 어묵 $1.9{\times}10^4$, <5 CFU/g, 쇠고기 $9.2{\times}10^2{\sim}6.4{\times}10^4$, $<5{\sim}2.0{\times}10\;CFU/g$, 돼지고기 $2.6{\times}10^3{\sim}1.3{\times}10^6$, $<5{\sim}2.7{\times}10^2CFU/g$, 닭고기 $1.0{\times}10^4$, $2.4{\times}10^2CFU/g$, 난류 $<5{\sim}2.3{\times}10^2$, <5 CFU/g, 냉동만두류 $3.2{\times}10^3{\sim}9.5{\times}10^4$, <5 CFU/g, 냉동면류 $<5{\sim}9.0{\times}10$, <5 CFU/g 이었으며, 깐조개에서 E. coli와 B. cereus가 각각 $1.0{\times}10$, $2.0{\times}10\;CFU/g$ 검출되었고, 돼지고기, 닭고기에서 S. aureus 각각 $3.1{\times}10$, $7.8{\times}10\;CFU/g$ 검출되었다. 대부분의 식재료들이 비닐과 박스로 이중 포장되어 배송되었고, 유통과정에서 교차오염은 없었으며, 냉장으로 배송되는 수산물에서 일반세균이 소량 증가하였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학교급식 식재료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서는 식재료의 제조 가공 단계에서의 철저한 위생관리가 먼저 선행되어야 하고, 냉동식품과 냉장식재료의 혼재 배송되는 것을 막고, 철저한 온도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통단계에서의 위생인증과 유통단계를 줄일 수 있는 제도적인 방안이 요구되었다.

어유가 흰쥐조직내 당, 지방대사에 관여하는 효소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sh Oil Diet on Activities of Lipogenic Enzymes and Glucose-6-phosphatase in Rat Liver and Adipose Tissue)

  • 정승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9-306
    • /
    • 1989
  •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fish oil on lipid drogenase(G6PDH), malic enzyme(ME), glucose-6-phosphatase(G6Pase) activities were measured in liver and adipose tissue of rats fed 13 days supplemented fish oil at the level of 10% (W/W). Two other groups of rats were fed 10% soybean oil or lard to compare with the effect of fish oil. In all groups, activities of hepatic G6PDH and ME were depressed from the beginning of feeding. This effect was greatest (50%) in fish oil group. Hepatic G6Pase was highest in rats fed lard. When the level of fish oil was reduced to half, as total fat content was maintained at the level of 10% by complementary lard, lipogenic enzyme depressing effect of fish oil was as significant as shown in 10% fish oil diet. Hepatic G6PDH was depressed significantly(14%) in rats fed fish oil as low as 2%. On the other hand, changes in adipose tissue G6PDH and ME activities were small. Adipose tissue G6Page activity increased slightly in rats fed with increasing fish oil(above 0.5%). It is suggested that fish oil alter, more markedly than either soybean oil or lard, cellular lipid metabolism by reducing activities of hepatic lipogenic enzymes.

  • PDF

나물 조리시 양념사용에 관한 연구 -염분농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Seasoning for NAMUL Preparation -in salt concentration-")

  • 양경임;우경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27
    • /
    • 1987
  • 조리서를 통하여 염류를 제외한 나물 양념의 분량을 조사하여 사용하고, 염류배합에만 변동을 주어 관능검사로 최적 염분농도 및 최적의 배합조건을 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료 300g에 대하여 숙채는 파 15.5g, 마늘 7.9g, 참기름 9.0g, 깨소금 5.0g을, 생채는 파 11.5g, 마늘 7.0g, 참기름 6.0g, 깨소금 3.3g, 설탕 13.9g, 식초 10.6g, 고추가루 5.6g을 사용하였다. 2. 나물의 최적 염분농도는 숙채가 1.412%, 생채가 1.368%였다. 3. 소금과 새우젓으로 간을 한 나물에서는 염분농도 0.84%∼l.89%사이에서 염분농도가 질감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4. 색의 기호성은 간장의 양을 증가시켜 첨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색의 기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간장의 양은 오이나물과 도라지나물같이 색이 옅은 경우는 중량의 0.8%∼l.0%였고, 시금치나물같이 색이 진한 경우는 중량의 4.8%였다. 5. 전체적인 맛이 좋은 염분농도는 숙채가 1.223%∼l.513%, 생채가 1.183%∼l.373%로 짠맛의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 소아 환자의 대변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및 유전자형 분석 연구 (Detection and Genotyping of Viruses Detected in Children with Benign Afebrile Seizures Associated with Acute Gastroenteritis)

  • 양혜란;지영미;고재성;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183-193
    • /
    • 2009
  • 목 적: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장 아데노바이러스는 소아에서 급성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바이러스이다. 일부 소아에서는 급성 위장관염 경과 중에 무열성 경련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위장관염 및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BIS-MG) 소아 환자의 대변에서 검출한 바이러스와 바이러스 유전자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8월에서 2005년 7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311명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의 대변에서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장염 원인 바이러스를 검출하였고, 217명의 소아에서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하여 각 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결 과: 급성 위장관염 소아 환아 217명(남아 121명, 여아 96명, 평균 연령 20.6${\pm}$15.4개월) 중에서 로타바이러스가 109명(50.2%), 노로바이러스가 28명(12.9%), 아데노바이러스가 13명(6.0%), 아스트로바이러스가 2명 (0.9%)에서 검출되었다.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 분석결과 P[8]G3가 36명, P[4]G2 21명, P[6]G4 10명, P[4]G4 9명, P[8]G9과 P[8]G1 6명, P[4]G3 4명, P[4]G93명, P[6]G2 2명이었다. 노로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은 GII-4가 27명, GII-6 1명이었다. 16명의 소아가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으로 진단되었으며, 로타바이러스가 13명, 노로바이러스가 2명에서 검출되었고, 나머지 1명은 아무런 바이러스도 발견되지 않았다. BIS-MG군에서 검출된 로타바이러스 유전자형은 P[8]G3 6명, P[4]G2 2명, P[4]G9 1명이었으며, 노로바이러스 유전자형은 2명 모두 GII-4였다. 결 론: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을 보인 소아 환자의 대변에서 시행한 바이러스 분석결과 로타바이러스와 노로바이러스가 중요한 원인 바이러스였으며, 향후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봉독(蜂毒) 약침액(藥鍼液)의 세포독성(細胞毒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Cytotoxicity of Compounds of Bee Venom for Herb-Acupuncture)

  • 박원;김용석;고형균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65-77
    • /
    • 2002
  • Objectiv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ich compound of Bee Venom for herb-acupuncture has cytotoxicity on mouse mast cell line. Methods : We compared crude bee venom and its compounds such as melittin, mast cell degranulating peptide (MCD peptide), apamin with control groups on cytotoxicity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Results & Conclusion : 1. Crude bee venom showed significant cytotoxic effect(p<0.01) in 1 hour treatment with $1{\mu}g/m{\ell}$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in 1 hour treatment with low concentration of $10-4{\mu}g/m{\ell}$, $10-3{\mu}g/m{\ell}$, $10-2{\mu}g/m{\ell}$, $10-1{\mu}g/m{\ell}$ and $1{\mu}g/m{\ell}$, but it showed no significant cytotoxic effect in 6 hours treatment. 2. Melitti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ytotoxic effect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in 1 and 6 hours treatment with low concentration of $10-4{\mu}g/m{\ell}$, $10-3{\mu}g/m{\ell}$, $10-2{\mu}g/m{\ell}$, $10-1{\mu}g/m{\ell}$ and $1{\mu}g/m{\ell}$. 3. MCD peptide and Apami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ytotoxic effect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in 1 and 6 hours treatment with low concentration of $10-4{\mu}g/m{\ell}$ $10-3{\mu}g/m{\ell}$, $10-2{\mu}g/m{\ell}$, $10-1{\mu}g/m{\ell}$ and $1{\mu}g/m{\ell}$. 4. Crude bee venom showed significant cytotoxic effect(p<0.01) in 1 and 6 hours treatment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in 1 and 6 hours treatment with high concentration of $10{\mu}g/m{\ell}$, $20{\mu}g/m{\ell}$ and $102{\mu}g/m{\ell}$. 5. Melittin group showed significant cytotoxic effect(p<0.01) in 1 hour treatment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in 1 hour treatment with high concentration of $10{\mu}g/m{\ell}$ but it showed no significant cytotoxic effect in 6 hours treatment. 6. Crude bee venom and its compounds have more cytotoxic effect in 1 hour treatment than in 6 hours treatment. It means cytotoxicity tends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treatment time.

  • PDF

Effects of dietary yeast beta-1,3-1,6-glucan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orphology and chosen immunity parameters changes in Haidong chicks

  • Ding, Baoan;Zheng, Juanshan;Wang, Xiezhong;Zhang, Licheng;Sun, De;Xing, Quanhu;Pirone, Andrea;Fronte, Baldassar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0호
    • /
    • pp.1558-1564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1,3-1,6 beta-glucan added to the diet of Haidong chicks reared under hypoxic conditions, to ascertain the growth performances, immun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changes. Methods: A total of 750 chick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fed diets containing 0.5 g/kg, 1.0 g/kg, and 2.0 g/kg 1,3-1,6 beta-glucan from yeast (G1, G2, G3, respectively), 0.2 g/kg Taylor rhizomorph and a control feed. Results: The body weight and body weight gain were higher in chicks fed 1,3-1,6 beta-glucan and Taylor rhizomorph than in control group. Feed conversion ratio significantly differed for G2 and G3 groups in comparison to control group. The relative weight of bursa was higher in G1, G2, and G3 groups. The white blood cells and lymphocy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s fed 1,3-1,6 beta-glucan. The immunoglobulin G of serum peak appeared in the G3 group. The villous height of the duodenum was higher in 1,3-1,6 beta-glucan feed groups. In the jejunum, the villous height was higher in G2 and G3 groups and crypt depth for all the groups fed ${\beta}$-glucan. At ileum level the villous height and crypt depth was higher for groups G1, G2, and G3. Conclusion: The growth performance of Haidong chicks is improved when 10 and 20 g/kg 1,3-1,6 beta-glucan is included in the diet; hence, it is suggested that 1,3-1,6 beta-glucan be included in poultry diet to reduce and replace the use of antibio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