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세대

검색결과 2,035건 처리시간 0.033초

다화성잠저승(Tricholyga sorbillans Wiedmann)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richolyga sorbillans Wiedmann)

  • 김낙정;박광의;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8권
    • /
    • pp.51-62
    • /
    • 1968
  • 1. 수원지방에서 다화성잠저승의 세대회수는 5~6회이다. 2. 다화성잠저승의 란, 유충, 용, 기간은 대체적으로 2일, 8일, 18일 간이다. 3. 기상조건 특히 온도에 대하여 본충의 세대기간은 큰 영향을 받는다. 각세대중에서 가장 짧은 세대는 제3세대로서 21일 14시간이고 가장 긴 세대는 제5세대로서 약40일 간이다. 4. 가잠에 기생한 본충의 유충은 탈출후 3.5cm-10.5cm 토중으로 들어가 화용한다. 5. 다화성잠저승은 용태월동을 하지 않고 유충태월동을 한다고 생각된다. 6. 실외사육에 있어서 본충에 대한 피해는 27.9% 였다. 7. 견잠에 있어서 다화성잠저승의 피해를 받을지라도 영견가능하고 견질에 대하여 큰 영향이 없다. 8. 수견후 본충의 전국 피해조사에 있어서 춘잠기가 6.36%, 추잠기가 4.09%, 년간 5.25%였다.

  • PDF

유치 상아질에 대한 수종의 상아질 결합제의 전단결합강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SHEAR BOND STRENGTH OF VARIOUS DENTIN BONDING SYSTEMS IN PRIMARY DENTIN)

  • 강선희;이광희;김대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93-299
    • /
    • 2005
  • 소아환자의 수복치료에서 시술시간과 시술과정을 줄이는 것은 중요한 점이다. 복합레진은 물성의 증가로 영구치, 유치 전치부 심미수복재로써 뿐만 아니라 구치부 수복에도 많이 쓰이고 있다. 최근에 개발된 7세대 상아질 결합제는 기존의 복합레진을 치면에 부착하기 위해 필요했던 산부식, 프라이밍, 접착제 도포의 복잡한 과정을 한번의 처리로 단순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 상아질에서 7세대 상아질 결합제의 결합력을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여러 결합제의 결합력과 비교하였다. 1, 2, 3, 4군은 각각 4, 5, 6, 7세대 상아질 결합제를 사용하였다. 유치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군에 따라 상아질 면을 처리한 후에 직경 2.5mm, 높이 2.0mm의 주형을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접착시키고 열순환을 시행한 다음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5세대 상아질 결합제인 Clearfil SE Bond가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인 $27.87{\pm}5.33\;MPa$를 보였다. 이것은 4, 6, 7세대와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2. 4세대 상아질 결합제의 전단결합강토는 $20.11{\pm}5.73\;MPa$로 6, 7세대보다는 약간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6, 7세대 상아질 결합제의 전단결합강도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중국 6세대 감독의 기억에 관한 역사적 재현 영상콘텐츠 연구 (Visual Contents Study of Historic Re-create about Memory of China 6th Generation Director)

  • 한달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55-164
    • /
    • 2010
  • 본 논문은 중국영화 6세대 감독의 삶에서 그들이 기억하는 역사적 시대를 살펴보고, 역사의 고민과 상처들이 영화에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기억되고 표현되는지 살펴보았다. 그들은 기존세대와 다른,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담아내려고 노력했으며, 역사의 시대적 의미를 기억과 망각 사이에서 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표현 할지 함께 드러난다. 그것은 중국영화 6세대 작품에서 기억의 은유화를 통해 시대의 상처를 담아내었고, 희망과 절망 사이에 기억이 은폐되면서 꿈을 잃은 생존의 현실을 담아내었으며, 담담하게 현실을 받아들이는 일상의 자아를 보여 주었으며, 변할 수 없는 세상의 시선과 기억에 대항하고 있다. 6세대 작품속에 투영된 욕망은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려는 과정에서 실현되지 못하는 현실, 전통성을 지켜 나가려는 모습, 변해가는 현실, 이 세 가지 사이에 갈등하며 꿈을 펼치지 못하고 순순히 현실을 받아들이는 수동적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6세대 감독들은 기억이라는 이름으로 역사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억압은 가족의 억압, 가족의 억압은 한 개인의 억압으로 이어지고, 억압이 욕망으로 바뀌면서 반작용에 의한 삶이 지속되기도 한다. 그리고 현실에서 개인의 욕망이 실현되지 못하지만 판타지로 대신하면서, 슬픔을 극복하고 현실을 담담하게 이겨내는 모습들로 드러난다. 이런 아련한 정서를 통해 6세대 감독이 기억하는 중국인들의 얼굴로 그려낸다.

애널리시스 / '탈도 말도' 많은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일정 놓고 다시 '삐그덕'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6호통권97호
    • /
    • pp.80-81
    • /
    • 2001
  • 3세대 이동통신으로 알려져 있는 IMT-2000사업이 당초보다 늦어질 전망이다. 이는 NTT 도코모가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4개월 연기 방침을 발표함에 따른 것이다. NTT 도코모는 세계최초로 3세대(IMT-2000)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업체로 주목을 받아 왔다. 특히 동기식과 비동기식간의 표준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NTT도코모의 비동기식 방식의 성공 가늠자로 인식되어 왔다.

  • PDF

감자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의 단일 포자낭으로부터 형성된 균총의 Metalaxyl과 Streptomycin Sulfate 내성 변화 (Variation in Metalaxyl and Streptomycin Sulfate Resistance of Isolates Formed from Single Sporangium of Phytophora infestans)

  • 이용훈;이왕휴;이두구;심형권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2-215
    • /
    • 1997
  • Metalaxyl과 streptomycin sulfate(SM) 내성 획득여부를 알아보기위해 감자역병균의 모균주와 단일 포자낭에서 얻은 $F_1$세대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모균주 KM10, U6, CDB6은 metalaxyl에 내성을 보였으며, F827, DNC303, DN107 균주는 SM에 내성을 나타냈다. 약제에 노출시킨 단일 포자낭에서 얻은 $F_1$세대는 모균주보다 생육이 양호하였다. 특히, F817, CDB6, JD1의 $F_1$세대는 metalaxyl 처리배지에서 대조구보다 51%이상 신장하였고, KM10, U6, JD1의 $F_1$세대는 모균주보다 SM처리에서 51%이상 신장하였다. 이것들은 본 실험의 표준에 의하면 내성을 획득하였다. 또 모균주와 $F_1$세대간에는 약제저항성에 정의 상간관계가 있었다. Metalaxyl의 경우 SM의 경우보다 준내성 이상을 보인 모균주로부터 얻은 $F_1$세대의 내성획득 정도가 더 큰 경향을 보였다.

  • PDF

대구지방의 위암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연구 (Histopathological Studies on Carcinomas of the Stomach in the Taegu Area)

  • 홍석재;이태숙;최원희;이경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65-69
    • /
    • 1985
  • 대구지방의 위암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연구의 목적으로 대구 일원의 의료기관에서 수집한 위내시경 표본과 위절제수술 표본에 의해 위암으로 확진된 350예 및 130예의 조직학적 유형과 연령 분포는 다음과 같다. 1. 위내시경 표본 350예 중 선암이 344예 (98.3%)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편평상피암과 미분화암은 불과 6예 (1.7%) 뿐이었다. 선암 중에서는 tubular type가 215예(61.4%)로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signet-ring cell type으로 92예(26.3%)이었다. 연령 분포는 50세대가 가장 많이 발생하여 120예 (34.3%), 마음이 60세대로 81예 (23.1%), 40 세대가 76예 (21.7%), 70세대가 33예 (9.4%), 30세대가 32예 (9.1%), 20세대가 8예 (2.3%) 등의 순위였다. 2. 위절제수술 표본 130예중 가장 많은 조직학적 유형은 역시 선암으로 127예 (97.7%) 였고, 만성소화성 위궤양에서 발생한 것이 3예 있었다. 선암 중에서는 tubular type이 86예 (66.2%)로 제일 많았고 마음이 signet-ring cell type였다. 연령분포는 50세대에서 50예 (38.5%)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마음 60세대가 36예 (17.7%), 40세대가 21예 (16.2%), 30세대가 11예 (8.5%), 70세대가 6예 (4.6%), 그리고 10세대에서 l 예(0.8%) 있었다.

  • PDF

애멸구의 세대별 증식동태에 관한 연구 -기주식물의 종류와 생육단계와 증식과의 관계- (Studies on the Seasonal Increase of the Population of the Smaller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Fallen))

  • 현재선;우건석;유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19
    • /
    • 1977
  • 줄무늬 잎마름병의 매개와 직접 관계가 있는 월동세대부터 제3세대까지의 애멸구의 세대별 증식상황을 기주식물의 종류 및 생육상태와 관련시켜 Pot시험과 유균사육을 하여 다으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월동세대, 맥류에서 우화한 제1세대, 벼에서의 제2세대 성충의 평균 수명은 13.4일, 12.9일, 10.2일로 사료교환시의 간섭으로 정상성충의 수명에 비하여 짧아졌으나 세대별 차는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2. 월동세대, 제1세대, 그리고 제2세대 성충의 유묘상에서의 평균산란수는 각각 131.3, 124.9 그리고 142.3으로 큰 차가 없었으며 대체로 3주 이내에 전체의 $90\%$ 이상이 산란되었다. 3. 부화율은 유묘상에서 제1세대가 $77.4\%$, 제2세대가 $93.1\%$였으나 pot 실험에서 정추란수에 의한 부화율은 제1세대 $67.5\%$, 제2세대 $84.1\%$ 제3세대 $21.9\%$ 등으로 현저한 차가 있으며 보리에서 5월 17일 늦게 접종한 것에서는 란수에는 큰 차가 없었으나 부화율은 $13.5\%$로 5월 1일 이전 접종시의 $67.5\%$에 비하여 극히 낮았다. 4. 약충기간은 제1세대 19.4일, 제2세대 13.3일이었고 약충기간중의 치사율은 기주식물의 생육상태에 따라 차가 있는 듯 하였다. 5. Pot시험에서의 평균우화수는 제1세대 $37.2\%$, 제2세대 $55.3\%$, 제3세대 $11.6\%$으로 세대간차가 심하였으며 보리에서 5월 17일 접종구의 평균성충수가 $7.4\%$였음을 생각할 때 기주의 생리적 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6. 이상으로 보아 애멸구의 선천적 증식능에는 세대간차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며 기주의 생리적 조건은 기상적 조건이나 천적과 아울러 밀도변동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애멸구의 강한 이동성도 이와 같은 점과 유관한 것으로 추측된다.

  • PDF

IPv6 기본 개념 및 관련 기술의 이해

  • 김평수
    • 정보와 통신
    • /
    • 제32권3호
    • /
    • pp.94-104
    • /
    • 2015
  • 본 튜토리얼 논문에서는 최근 들어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기기 보급 확산으로 인한 모바일인터넷은 물론 사물인터넷 시대의 도래로 급격히 증가하는 인터넷 주소 수요로 인해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국내 외적으로 적용 확산을 위한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IPv6(IP version 6)의 기본 개념과 관련 기술을 표준화 및 논문연구를 중심으로 알기 쉽게 이해시키고자 한다. 첫 번째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 IPv4(IP version 4)와의 특징 비교와 주소 및 헤더를 통해 IPv6의 기본 개념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두 번째로, IPv4와 IPv6의 공존과정에서 IPv6의 연착륙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전환기술을 접근 방식과 세대별 분류를 통해 설명한다. 세번째로, 다양한 무선 환경에서의 이동단말의 연속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IPv6 이동성 기술을 중앙 집중형 및 분산형 관리 기반으로 나누어 소개한다. 네 번째로, IPv6 보안측면에서의 이슈를 다루고, 다섯 번째로로, 4세대 이동통신망(4G) 대비 10~1,000배의 연결 디바이스를 고려하고 있는 5세대 이동통신망(5G) 네트워크 환경에서 중요한 서비스로 간주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에서의 IPv6의 역할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국내외에서 진행된 대표적인 IPv6 상용서비스 사례를 제시한다.

6, 7세대 TFT-LCD 공장의 노광기 진동 저감 대책에 관한 연구

  • 이홍기;박해동;백재호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반도체및디스플레이장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68-77
    • /
    • 2003
  • TFT-LCD 모니터 및 TV의 핵심부품인 TFT/Color Filter를 제조하는 공장라인에서 제품의 품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유리기판에 TFT와 Color Filter을 형성시키는 노광공정(Exposure)이다. 이러한 TFT/Color Filter를 생산하는 공정내에서 노광기는 핵심기술이므로 진동에 대하여 엄격하게 관리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TV 및 TFT-LCD 모니터의 크기가 큰 것을 사용자의 요구로 TFT/Color Filter 생산 공장은 세대가 거듭될수록 사용되어지는 유리기판의 크기도 따라서 커지고 있다. 이러한 유리기판의 크기 증가는 공정라인에서 진동에 더욱더 취약해지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보다 엄격하게 진동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세대인 1~5세대 TFT-LCD 공장 현장에서 노광기의 진동실태를 수집하여 파악하고 Maker에서 제시하는 자료와 비교/평가하고, 문제점을 확인한다. 이를 기초로 수정/보완되어야 할 사항을 검토하며, 차세대인 6∼7세대 노광기에 대한 진동저감 대책을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절차서에 대한 예를 들었으며, 최적의 진동저감 대책에 대한 설계안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