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G broadcast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4초

LTE 기반 5G MBMS 와 5G NR 의 PBCH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PBCH in LTE-Based 5G MBMS and 5G NR)

  • 안해성;김형석;차은영;김정창;박성익;허남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60-263
    • /
    • 2021
  •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5G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release 16 에서 FeMBMS (further evolved MBMS)를 LTE 기반 5G MBMS 로 개선하였다. 이어서, 현재 개발 중인 release 17 에서 NR 기반의 디지털 방송을 위한 NR MBS (multimedia broadcast services)가 논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TE (long term evolution) 기반 5G MBMS (fifth generation multimedia broadcast & multicast services)와 5G NR (fifth generation new radio)의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에 대한 송수신기 구조를 설명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산 백색 가우시안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및 고정 환경 하에서 LTE 기반 5G MBMS 와 5G NR 에 대한 PBCH 의 성능을 비교한다.

  • PDF

셀룰러 방송을 위한 LTE 기반 5G MBMS와 5G NR의 PBCH 검출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PBCH Detection of LTE-Based 5G MBMS and 5G NR for Cellular Broadcast)

  • 안해성;김형석;차은영;김정창;안석기;권선형;박성익;허남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766-77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셀룰러 방송(cellular broadcast)을 위한 LTE (long term evolution) 기반 5G (fifth-generation) MBMS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와 5G NR (new radio)의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검출 성능을 평가하고 5G NR의 PBCH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시간 영역에서 수신 신호와 모든 가능한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의 상관(correlation)을 계산하고, 상관 값을 결합(combining)하여 SS/PBCH 블록의 시작 위치와 프레임 동기를 획득한다. 또한, PBCH 검출 성능 향상을 위해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모든 SS/PBCH 블록에 포함된 PBCH 신호를 결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적용한 PBCH 결합 방법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고 기존 LTE 기반 5G MBMS의 PBCH 검출 성능과 비교한다. 전산 실험 결과는 가산 백색 가우시안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환경과 고정 및 이동 환경에서 5G NR의 PBCH를 결합함으로써 검출 성능이 향상되고 기존 LTE 기반 5G MBMS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5G 이동통신 기반 재난 방송의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한 부가 서비스 기법 (A Supplementary Service Technology for Enhanced Receiver Performance of Emergency Alert Broadcast Based on 5G Cellular Communications)

  • 장석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97-207
    • /
    • 2021
  • 이동통신 시스템 기반의 재난경보 방송으로 CBS가 정의되어 있다. 이 CBS는 제한된 텍스트 문자만을 전송한다. 따라서 외국인 등 국내 문자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재난경보 기능을 충분히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을 보인다. 또한 CBS 프로토콜은 방송 기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송 기법은 채널 환경의 심각한 열화가 발생할 경우 재난경보 수신에 실패하는 사용자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5G 이동통신 기반 재난경보 방송인 5G CBS의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한 부가 서비스 기법을 제안한다. 그 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해 제안된 방식은 5G CBS가 제공 가능한 수신기 기반 지역맞춤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5G 이동통신망을 전송채널로 활용하는 휴대형 4K UHD 방송중계 장치 (Portable 4K UHD Broadcasting Device using 5G Mobile Network as a Transmission Channel)

  • 백정훈;김용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89-797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5G 이동통신망을 전송채널로 활용하는 휴대형 4K UHD(Ultra High Definition) 방송중계 장치의 프로토콜 구조를 제안하고 시제품을 구성하여 5G 이동통신망을 통한 방송중계 시험을 실시한다. 방송중계 시험을 통하여 4K UHD 인코더의 인코딩 시간은 최소 86.28ms 부터 최대 88.41ms 이며, 5G 이동통신망에서의 중계지연 시간은 평균 13.645ms, 지연변이는 17.49ms 이고 Glass-to-Glass 지연시간은 평균 289.90ms, 지연변이는 27.63ms로 측정됨을 확인한다. 개발된 시제품을 활용한 서을과 안성간의 중계 시험을 통해 5G 이동통신망을 통한 4K UHD 방송중계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5G 이동통신 용 재난경보 방송의 메시지 구조를 이용한 이미지 정보 및 URL 표출기법 (A Display Method of Image Information and URL Using the Message Structures of Emergency Alert Broadcasts for 5G Cellular Communications)

  • 장석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592-598
    • /
    • 2021
  • 현 이동통신 시스템은 재난경보 방송을 위하여 CBS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그러나 CBS 프로토콜 표준은 제한된 텍스트 문자의 전송만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문자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등은 수신된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현 CBS는 메시지의 글자수 제한으로 자세한 정보를 전송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CBS 재난문자 전송시 단말기에서 이미지 정보 와 URL을 표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5G 이동통신을 위한 CBS의 메시지 구조를 이용한다. 이 메시지 구조를 이용할 경우 CBS 프로토콜은 문자 코딩방식에 관계없이 단말기에서 이미지 정보와 URL을 표출할 수 있음을 보인다.

5G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검증을 위한 성능 분석 및 시나리오 정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and Secnario Definition for Verification of 5G-based Cell Broadcast Service)

  • 김희광;양진영;김지명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294-1296
    • /
    • 2022
  • 최근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재난문자 시스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LTE 기반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는 한정된 자원으로 인해 시스템의 한계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5G 이동 통신 서비스 기반의 긴급재난 문자 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5G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송출권역 구분, 재난문자 길이, 다국어 지원에 대해서 시험한 결과를 분석하고, 5G 환경에서 고도화된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검증하기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정의한다.

  • PDF

5G 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검증을 위한 리빙랩 설계 (Design of the Living Lab for 5G-based Cell Broadcast Service(CBS) Verification)

  • 김희광;양진영;권동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20-122
    • /
    • 2021
  • 최근 기후 변화와 사회적 위험 요인이 결합된 복합 재난의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재난문자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LTE 기반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는 한정된 자원으로 인해 시스템의 한계가 있으며, 단순한 정보 전달의 기능만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5G 이동 통신 서비스가 상용화 되면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도화된 5G 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리빙랩을 설계한다.

  • PDF

5G NR 시스템을 위한 동기 신호를 이용한 cell ID 검출을 위한 방법 연구 (A Study on Cell ID Detection Scheme Using Synchronization Signals for 5G NR System)

  • 안해성;차은영;김형석;김정창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93-59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5G NR 시스템을 위한 동기 신호를 이용한 cell ID 검출 방법에 대한 성능을 비교하였다. 5G NR(fifth-generation new radio) 시스템의 송신기는 SS/PBCH (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을 송신하며, 수신기는 수신된 SS/PBCH 블록을 이용하여 주파수 및 타이밍 오프셋 (frequency and timing offset)을 추정 할 수 있으며, cell ID (cell identity)는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ell ID 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2-stage 디코딩 방법과 결합 최대우도 결정 규칙 (joint maximum-likelihood decision rule: joint ML) 디코딩 방법을 사용하였다. Joint ML 디코딩 방법은 2-stage 디코딩 방법에 비해 더 좋은 검출 성능을 보이지만, 복잡도 측면에서는 2-stage 디코딩 방법이 joint ML 디코딩 방법에 비해 더 낮은 복잡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스마트 시티 용 IoT 단말기를 위한 셀 방송 기반의 경보 전송기법 (An Emergency-Alert Delivery Approach Based on Cell Broadcast for Smart-City IoT Devices)

  • 장석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762-772
    • /
    • 2022
  • 이동통신 시스템 기반의 현 재난경보 방송1)은 스마트폰 등 개인 휴대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스마트 시티는 스마트 홈, 스마트 오피스 등 IoT 기반의 서비스를 필수로 한다. 따라서 지진 등 심각한 재난이 발생하면 스마트 시티는 건물, 공장 등에 적절한 제어 및 대응을 신속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시티 용 IoT 단말기를 위한 재난경보 방송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시티 용 IoT 단말기를 위한 4G/5G 이동통신 기반의 재난경보 전송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셀 기반 방송 서비스인 CBS를 위한 이미지 표출방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을 보여준다.

해외 재난경보서비스 검증 환경 분석을 통한 국내 5G 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검증 요구사항 정의 (Requirement for Verification of Domestic 5G Based Emergency Alert Text Message Service by Analyzing Overseas Emergency Alert Service Test Environment)

  • 양진영;김희광;권동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16-119
    • /
    • 2021
  • 국내 이동통신은 4 세대(4G)에서 5 세대(5G)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으며 행정안전부는 기존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5G 망으로 고도화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재난문자 길이의 확장, 송출 지역 세분화, 외국어 문자 지원 등을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에 포함하기 위해 국내외 표준화와 검증 시스템 구축이 준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5G 망으로 고도화된 긴급재난문자를 서비스하기 위해 요구되는 검증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검증할 리빙랩이 구축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