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3C25

검색결과 953건 처리시간 0.028초

솔장다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주기조절에 의한 항암 활성 분석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by Cell Cycle Regulation of Salsola collina Extract)

  • 오유나;진수정;박현진;권현주;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3-8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명아주과 수송나물속 솔장다리(Salsola collina Pall.)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솔장다리의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분석한 결과, $IC_{50}$$4.82{\mu}g/ml$로 나타나 강한 항산화능을 보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장암 세포주(HT29), 폐암 세포주(A549), 간암 세포주(HepG2)를 사용하여 솔장다리 추출물의 암세포 사멸효과를 분석한 결과, $IC_{50}$가 각각 43.8, 64.1, $92.5{\mu}g/ml$로 강력한 세포사멸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HT29에 대한 강한 사멸효과를 보였다. 솔장다리 추출물의 항암 활성 기전 분석을 위해 세포주기를 분석한 결과, 대장암세포인 HT29의 G2/M arrest를 유도하였으며 최고 농도인 $60{\mu}g/ml$까지 S기 세포수가 증가하였다. 세포주기관련 단백질의 발현 분석 결과, 솔장다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G2기에서 M기로의 전이에 필수적인 단백질인 Cdc25C와 cyclin A의 발현이 감소되었고, 반면 Cdc25C와 Cdc2의 불활성화 형태인 p-Cdc25C, p-Cdc2는 증가하였다. 또한 p21과 Wee1의 발현도 증가되었다. 하지만 p53의 발현량은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솔장다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p53 비의존적으로 p21의 발현이 증가되어 cyclin A/Cdc2 complex의 활성이 조절되고, 이어서 G2/M phase의 check point에 작용하는 Wee1의 발현증가 및 Cdc25C, Cdc2의 인산화에 의한 불활성화를 통하여 G2/M arrest가 유도되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솔장다리 추출물 처리에 의해 S기 진행을 조절하는 Cdk2의 발현량도 감소하여, cyclin A/Cdk2 complex가 감소되어 S기의 세포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솔장다리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지니며 암세포의 세포주기를 조절하여 높은 항암 활성을 보유함을 확인하였다.

3성분 혼합냉매 R-407c의 수평 마이크로핀관내 응축압력강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essure drop of ternary refrigerant R-407c during condensation inside horizontal micro-fin tubes)

  • 정재천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2권2호
    • /
    • pp.210-218
    • /
    • 1998
  • Experimental results for forced convection condensationof Refrigerant-22 and ternary Refrigerant-407c(HFC-32/125/134a 23/25/52 wt%) considered as a substitute R-22 inside horizontal micor-fin tubes are presented. The test section was horizontal double-tubed counterflow condenser with a length 4000 mm micro-fin tube having 9.53 mm OD., 0.2 mm fin height and 60 fins. The refrigerants R-22 and R-407c were cooled by a coolant circulated in a surrounding annulus. The range of parameters of mass velocity was varied from 102.1 to 301.0kg/($\textrm{m}^{2}.s$) with inlet quality 1.0. Both refrigerant R-22 and its alternative refrigerant R-407c were tested within the same range of parameters. At the given experimental conditions for R-22 and R-407c the pressure drops for R-407c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for R-22 at micro-fin tubes. Over the mass velocity range tested the PF(penalty factor)was lower than the increasing ratio of heat transfer area by fins. Based on the data correlation was proposed for predicting the frictional pressure drops for R-22 and R-407c for a duration of condensation inside a horizontal micro-fin tube.

  • PDF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로부터 고굴절 하드코팅 도막의 제조 (Preparation of Hard Coating Films with High Refractive Index from Titania Nanoparticles)

  • 김남우;안치용;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762-769
    • /
    • 2015
  • 직경 2~3 nm 크기를 갖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가 산성 용액에서 titanium tetraisopropoxide(TTIP)의 가수분해 반응을 조절함에 의해 합성되었다. 생성된 이산화티탄 나노입자를 졸-겔법에 의해 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GPTMS)과 반응시킴에 의해 유-무기 혼성 코팅 용액이 제조되었다. 그 후 코팅 용액을 기재인 polycarbonate(PC) 시트 위에 스핀 코팅시키고, $120^{\circ}C$에서 열경화 시켜 고굴절률 하드코팅 도막이 제조되었다. 코팅 도막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90%의 높은 광학적 투과율을 보였으며 2H의 연필경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코팅 용액 내의 이산화티탄 나노입자의 함량이 4%에서 25%로 증가됨에 따라 코팅 필름의 굴절률은 633 nm 파장에서 1.502로부터 1.584로 향상되었다.

다양한 반도체-유전체 덮개층 조합을 이용한 InGaAs/InGaAsP 양자우물의 무질서화 (Dielectric cap quantum well disordering for band gap tuning of InGaAs/InGaAsP quantum well structure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semiconductor-dielectric capping layers)

  • 조재원;이희택;최원준;우덕하;김선호;강광남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07-211
    • /
    • 2002
  • 반도체-유전체 덮개층의 다양한 조합이 I $n_{0.53}$G $a_{0.47}$As/InGaAsP(Q1.25) 양자우물 무질서화에 미치는 영향을 PL(Photoluminescence)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청색 편이에 대한 문턱 온도는 약 $750^{\circ}C$ 였으며 전반적으로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청색 편이도 점차 증가하였으나 $SiO_2$의 경우에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포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SiN_{x}$$SiO_2$보다 더 큰 청색 편이를 야기하였는데 이것은 $SiN_{x}$의 낮은 성장 온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SiN_{x}$의 경우 P의 확산이, 그리고 $SiO_2$의 경우 Ga의 확산이 청색 편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겨진다.

Exobasidium vexans에 의한 차나무 떡병 (Blister blight of Tea (Thea sinensis) Caused by Exobasidium vexans in Korea)

  • 권진혁;정선기;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4호
    • /
    • pp.209-212
    • /
    • 2003
  • 2002년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차나무 재배포장에서 잎에 떡병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에 작은 반점이 생기고 차차 원형으로 확대되어 황갈색으로 되며 잎표면의 병반부는 융기하고 뒷면은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 흰색의 떡모양으로 된다. 균총의 색깔은 흰색에서 유백색을 띠며 포자형성이 잘 된다. 담자기는 2개의 작은 자루를 형성하며 그위에 담자포자가 부착한다. 크기는 30${\sim}$53${\times}$3.1${\sim}$5.8 ${\mu}m$이다. 담자포자는 무색, 단포, 장타원형으로 약간 굽은것도 있으며, 크기는 11${\sim}$14.7${\times}$4${\sim}$5.4 ${\mu}m$이다. 균사 생육적온은 $25^{\circ}C$이었다. 차나무 잎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Exobasidium vexans에 의한 차나무 떡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Reduction of Proliferation and Induction of Apoptosis are Associated with Shrinkage of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du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 Sarkar, Shreya;Maiti, Guru Prasad;Jha, Jayesh;Biswas, Jaydip;Roy, Anup;Roychoudhury, Susanta;Sharp, Tyson;Panda, Chinmay Kum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419-6425
    • /
    • 2013
  • Background: Neoadjuvant chemotherapy (NACT) is a treatment modality whereby chemotherapy is used as the initial treatment of HNSCC in patients presenting with advanced cancer that cannot be treated by other means. It leads to shrinkage of tumours to an operable size without significant compromise to essential oro-facial organs of the patients. The molecular mechanisms behind shrinkage due to NACT is not well elucidated. Materials and Methods: Eleven pairs of primary HNSCCs and adjacent normal epithelium, before and after chemotherapy were screened for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This was followed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some cell cycle (LIMD1, RBSP3, CDC25A, CCND1, cMYC, RB, pRB), DNA repair (MLH1, p53) and apoptosis (BAX, BCL2) associated proteins in the same set of samples. Results: Significant decrease in proliferation index and increase in apoptotic index was observed in post-therapy tumors compared to pre-therapy. Increase in the RB/pRB ratio, along with higher expression of RBSP3 and LIMD1 and lower expression of cMYC were observed in post-therapy tumours, while CCND1 and CDC25A remained unchanged. While MLH1 remained unchanged, p53 showed higher expression in post-therapy tumors, indicating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crease in the BAX/BCL2 ratio was observed in post-therapy tumours, indicating up-regulation of apoptosis in response to therapy. Conclusions: Thus, modulation of the G1/S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and apoptosis associated protein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umour shrinkage due to NACT.

음이온성 계면활성제(DBS)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Brij 30과 Brij 35)와의 혼합미셀화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Mixed Micellizations of Anionic Surfactant (DBS) with Nonionic Surfactnats (Brij 30 and Brij 35))

  • 박인정;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491-498
    • /
    • 2009
  • 25 ${^{\circ}C}$의 순수 물 및 n-부탄올 수용액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DBS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Brij 30 (polyoxyethylene(4) lauryl ether)과 Brij 35 (polyoxyethylene(23)lauryl ether)의 혼합미셀화에 대한 임계미셀농도(CMC)와 반대이온의 결합상수값(B)을 DBS의 겉보기몰분율($\alpha$1)의 함수로서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한 CMC값에 비이상적 혼합미셀화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Xi, $\gamma$i, Ci, aiM, $\beta$${\Delta}H_{mix}$)들을 계산하여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DBS는 Brij 30보다는 Brij 35와 더욱 강한 결합을 이루었으며 이상적 혼합미셀화로부터 더욱 큰 음의 벗어남을 보였다.

기관내삽관이 뇌압변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for Intracranial Pressure during Laryngoscopy and Endotracheal Intubation)

  • 김흥대;지용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45-51
    • /
    • 1985
  • 전신마취시 후두경의 사용과 기관내삽관이 혈압 및 뇌압을 상승시킬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이미 뇌압이 상승되어 있는 환자에게는 매우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현재 통상 시행되고 있는 전신마취 유도방법인 thiopental, S.C.C., intubation 과정이 어느 정도의 뇌압상승을 유발시키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압측정장치가 되어있는 개두술 환자 13명에게 위와 같은 마취유도시 뇌압 및 동맥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보았던바 뇌압은 $7.1{\pm}7.23mmHg$, 동맥압은 $43.5{\pm}25.46nmHg$, 뇌관류압은 $33.3{\pm}27.53mmHg$ 상승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이미 뇌압이 상승되어 있는 환자의 마취유도 시에는 필히 마취유도에 따른 뇌압상승을 예방할 수 있는 처치를 강구해야만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맥주 공장 부산물 효모의 최적 자가 소화 조건 결정 (Optimization for Autolysis of Brewers Yeast Slurry)

  • 손상목;김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01-205
    • /
    • 2003
  • 맥주 공장 부산물 효모의 용도를 다양화하기 위하여 효모 슬러리를 자가 소화시키고 상등액을 농축하여 조미료로 이용할 수 있는 효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맥주 효모의 세포벽에 부착되어 있는 호프 쓴맛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효모 슬러리에 20%(w/v) NaOH 용액을 가하여 pH 9.8로 맞추고, 약 5분간 방치한 후 즉시 원심분리하면서 물로 세척하였다. 세척 후 효모 쓴맛 정도는 24.1 bitterness unit(BU)로서 threshold value 25.0 BU 미만이었다. 세척한 효모를 자가 소화시킨 후 수율[(수득한 효모추출물의 고형분 무게)/(투입 효모슬러리의 고형분 무게)${\times}100$]을 조사한 결과, 효모슬러리 농도를 $9{\sim}10%(w/w)$로 하고, 온도 $53^{\circ}C$, pH 6.8에서 20시간 이상 자가 소화시키면 34%(w/w)이상, 최대 38%(w/w)까지의 수율로 효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미디어를 활용한 글쓰기가 창의융합 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Writing Using Media on the Promotion of Creative Convergence Capacity)

  • 방설영;제남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353-36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미디어를 활용한 글쓰기가 창의융합 역량을 증진시키는 지 알아보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의 원시실험연구이다. C시 C대학교 대학생 30명을 2020년 3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25.0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평균 0.63점 향상(p<.001), 비판적 사고성향은 1.06점 향상(p<.001), 셀프리더십은 0.53점 향상(p<.001), 자기통제력은 평균 0.51점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본 연구를 통해 미디어를 활용한 글쓰기가 창의융합 역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이는 현 세대의 대학생들에게 창의융합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질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웹 미디어를 글쓰기 수업의 텍스트와 도구로 동시에 활용하여 글쓰기 교육 효과에 대한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미디어를 활용한 대학생의 맞춤형 글쓰기 교육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