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3C25

검색결과 953건 처리시간 0.028초

Pseudomonas aeruginosa exotoxin A(PEA)가 사람혀 편평암종세포에서 나타나는 세포자멸사 작용 (Apoptotic effect of Pseudomonas aeruginosa exotoxin A in human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SCC) 25 cells)

  • 최별보라;김규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01-608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poptotic effects of Pseudomonas aeruginosa exotoxin A(PEA) in squamous cell carcinoma(SCC) 25 cells. Methods : Cell growth reduction and apoptosis induced by PEA were confirmed by WST-1 assay, Hoechst 33258 staining, flow cytometry analysis, and Western blot assay. Results : The PEA treatment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control; $100{\pm}0^e$(p<0.01), 0.1875 nM; $87{\pm}4.36^d$(p<0.01), 0.375 nM; $82{\pm}0.58^d$(p<0.01), 0.75 nM; $72{\pm}1.67^c$(p<0.01), 1.5 nM; $51{\pm}1.53^{bc}$(p<0.01), 7.5 nM; $31{\pm}1.20^{ab}$(p<0.01), 15 nM; $26{\pm}0.67^a$(p<0.01), control; $100{\pm}0^a$(p<0.05), 24 h; $51{\pm}1.53^b$(p<0.05), 48 h; $16{\pm}0.5^c$(p<0.05), 72 h; $12{\pm}1.67^d$%(p<0.05). The PEA was observed on SCC 25 cells with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IC50) value of 1.5 nM at 24 hours. The PEA treated SCC 25 cells demonstrated several types of apoptotic indications, such as nuclear condensation, the increase of sub G1, and the cleavage of PARP-1 and DFF 45. Conclusions : PEA showed anti-cancer activity against SCC 25 cells via apoptosis. PEA may potentially contribute to human oral cancer treatment.

양파 Oleoresin의 저장중 품질 변화 (Quality Stability of Oleoresin Onion)

  • 최옥수;배태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9-184
    • /
    • 1998
  • 양파를 생채로 착즙하여 분리한 액즙을 Brix 70%까지 감압농축시킨 것과 이어서 잔사에 ethyl alcohol을 가하여 추출한 것을 농축시켜 같이 합하고, 갈변방지를 위하여 1% cysteine의 첨가와 유화제로서 2% PGDR을 첨가하여 양파 oleoresin을 저장중 품질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양파로부터 oleoresin에 추출된 당은 저장온도 5$^{\circ}C$, $25^{\circ}C$ 및 4$0^{\circ}C$에서 매우 안정하여 저장 60일후까지도 함량변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양파 oleoresin 추출 직후 갈변도를 나타내는 흡광도가 0.38로 담갈색을 띄었는데 5$^{\circ}C$에서는 저장 60일 후에도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25^{\circ}C$ 및 4$0^{\circ}C$에서 저장한 경우는 60일후 흡광도가 1.53 및 3.32로 증가하였고, cysteine을 1% 첨가한 경우는 대조구에 비하여 갈색 억제효과가 상당히 나타나 4$0^{\circ}C$에서 60일간 저장하였을 때의 흡광도는 대조구의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화 안정성은 5$^{\circ}C$ 저장의 경우 20일, 40일 및 60일 후에 분리되지 않는 emulsion 층의 부피가 각각 96.8%, 94.1% 및 9.06%로 매우 안정하였고, $25^{\circ}C$ 및 4$0^{\circ}C$에서 60일간 저장 후는 83.2% 및 75.4%로 유화상태가 다소 불안정하였다. 생체 양파로부터 추출한 oleoresin을 저장시키지 않고 바로 대두유에 1%를 첨가한 경우와 0.02% BHA를 첨가하였을 때 A.I.는 각각 1.39 및 1.72를 나타내어 0.02% BHA를 첨가한 대두유의 유도기간 연장효과에 대하여 80.8%에 해당하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5$^{\circ}C$$25^{\circ}C$에서 60일 동안 저장한 양파 oleoresin을 대두유에 각각 1% 첨가하였을 때의 A.I.는 1.37 및 1.30을 나타내어 실온 또는 그 이하의 온도에서는 양파 oleoresin이 가지는 항산화 활성은 매우 안정하였으며, 4$0^{\circ}C$에서 저장 60일후의 양파 oleoresin의 A.I.는 1.08로 나타나 고온에서 저장기일이 길수록 불안정하였다. Overall odor intensity의 지표로서 total pyruvate 함량변화는 5$^{\circ}C$, $25^{\circ}C$ 및 4$0^{\circ}C$에서 저장 60일 후 잔존율이 각각 89.9%, 79.7% 및 65.2%로 저온에서 상당히 안정하였다. 양파 oleoresin의 저장중 pyruvate 감소에 대한 반응속도 상수는 저장온도 범위 5~4$0^{\circ}C$에서 1.381~4.735m㏖/$\ell$.hr, Q10 값은 1.537~1.694, 그리고 활성화 에너지는 11.649㎉/g mole이었다.

  • PDF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 on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 and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Rat Lung Exposed to Microwave

  • Kim, Mi-Ji;Rhee, Soon-J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1호
    • /
    • pp.53-5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 on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 (MFO), lipofuscin contents, carbonyl value, oxidative damage and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lung of microwave exposed rats.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to normal group and microwave exposed group. The microwave exposed groups were subdivided into three groups: catechin free diet (MW-0C) group, 0.25% catechin (MW-0.25C) group and 0.5 % catechin (MW-0.5C) group according to the levels of dietary catechin supplementation. The rats were irradiated with microwave at frequency of 2.45 GHz for 15 min.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t 6th day after microwave irradiation. The contents of cytochrome P$_{450}$ contents in MW-0C group was increased to 95% , compared with normal group. MW-0.25C and MW-0.5C groups were reduced to 16% and 31%, respectively, compared with MW-0C group. The activity of NADPH-cytochrome P$_{450}$ reductase in MW-0C group was increased to 44%, compared with normal group. MW-0.25C and MW-0.5C groups were reduced to 12% and 17%, respectively, compared with MW-0C group.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SOD) in MW-0C group was decreased to 21 %, compared with normal group. MW-0.25C and MW-0.5C group were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compared with MW-0C group. The activity of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in MW-0C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normal group. MW-0.25C and MW-0.5C groups were recovered to the level of normal group.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ntent in MW-0C group was increased to 34 %, compared with normal group. Catechin supplementation groups were maintained the level of normal group. The levels of caybonyl value in MW-0C group was increased to 21 %, compared with normal group. MW-0.25C and MW-0.5C groups were reduced to 14% and 12%, respectively, compared with MW-0C group. The lipofuscin contents in MW-0C group were increased to 23.4 %, compared with normal group. That of MW-0.5C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MW-0C group. In conclusion, MFO system was activated and the formation of oxidized protein, lipofuscin was increased and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was weakened of lung tissue in microwave exposed rats, thus oxidative damage was increased. But it was rapidly recovered to normal level by green tea catechin supplementation.n.

물과 수산화나트륨용액에 의한 블랙 드로스의 처리 (Treatment of Black Dross with Water and NaOH Solution)

  • 행위동;안병두;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3호
    • /
    • pp.53-60
    • /
    • 2017
  • 블랙드로스에는 금속 알루미늄,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마그네슘, 가용성 염 및 미량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블랙드로스를 사용가능한 재료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실리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가용성 염인 염화나트륨과 염화칼륨은 $50^{\circ}C$에서 물에 용해되었다. 물세척 후 잔사에 함유된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타이타늄의 침출거동을 NaOH의 농도와 반응온도를 변화시키며 조사하였다. 반응온도 $25{\sim}95^{\circ}C$에서 알루미나의 침출율은 온도에 비례하나 실리카의 침출의 경우에는 최적 온도가 존재하였다. 한편 2~6 M의 NaOH용액에 산화마그네슘은 전혀 용해되지 않았다. 5 M의 NaOH와 $95^{\circ}C$에서 알루미나와 실리카의 침출율은 각각 80과 68%이었다.

마우스의 대뇌조직에서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와 세포주기의 조절 (Regulation of Apoptosis and Cell Cycle in Irradiated Mouse Brain)

  • 오원용;송미희;정은지;성진실;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46-152
    • /
    • 2001
  • 목적 : 마우스 대뇌조직에 방사선이 조사되었을 경우 아포토시스와 세포주기의 조절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8주간 성숙된 C57B1/6J 마우스의 전뇌에 코발트 방사선조사기로 25 Gy의 방사선을 단일 조사하였다. 방사선조사후 1, 2, 4, 8, 24시간 간격으로 마우스를 경추 탈구사시킨 후 뇌조직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뇌조직을 TUNEL 분석법에 의하며 아포토시스 유도 수준을 평가하였으며 Western blotting법을 이용하여 유전자 산물인 p53, Bcl-2, Bax 그리고 세포주기 조절인자인 cyclin Bl, Dl, E, cdk2, cdk4, $p34^{cdc2}$를 분석하였다. 세포주기의 변화는 유세포분석법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 아포토시스는 방사선조사후 8시간에서 최고치를 보였고 아포토시스 지수는 $24.0{\pm}0.25$ (p<0.05)였다. 세포주기에서 조절인자의 변화는 cyclin D1를 제외하고는 특이하지 않았다. 결론 : 마우스의 전뇌에 방사선을 조사한 결과 아포토시스는 대뇌의 상의하(subependyma)에서 주로 일어났으며 세포주기의 조절인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자화수에서 계면활성제 임계미셀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hanges of Surfactants in Magnetized Water)

  • 이성현;이석근;전상일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5-132
    • /
    • 2009
  • 자화수는 물분자의 수소결합에 의한 배열이 특이한 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다양한 물리 화학적 성질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자화수가 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셀농도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s, CMC)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관찰하였다. $25\;{^{\circ}C}$에서 전도도계(conductivity meter)를 이용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DS (sodium dodecyl sulfate)와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TAB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의 CMC를 측정하였고, 표면장력계를 사용하여 SDS와 CTAB 그리고,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Pluronic F-68의 CMC를 측정하였다. 또한 Isothermal titration calorimeter (ITC)를 이용하여 $25\;{^{\circ}C}$에서 SDS의 열량변화를 측정하여 CMC의 변화율을 측 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자화수에서 계면활성제의 CMC는 증류수에 비해 현저하게 낮아지는 경 향을 보였는데, SDS는 자화수에서 약 $2.7{\sim}6.5$% 정도 낮아짐을 보였고, CTAB는 자화수에서 약 $2.3{\sim}3.0$% 정도 낮아짐을 보였으며, Pluronic F-68은 자화수에서 약 24.2% 정도 낮아짐을 보였다.

한국에서의 고초균 유전체 연구: Bacillus subtilis 염색체상 180$^{\circ}$-185$^{\circ}$-부위 53 kb DNA 단편의 염기서열 분석 (The Bacillus subtilis Genome Sequencing Project in Korea: Sequence Analysis of the 53 kb DNA Fragment at 180$^{\circ}$-185$^{\circ}$- of B. subtilis 168 Chromosome)

  • 김사열;최수근;정영미;신병식;박승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33
    • /
    • 1998
  • 고초균 유전체 전체 염기서열을 밝히는 연구가 1997년 5월에 종료되어 전체 4,214,810bp의 염기서열이 SubtiList 데이터베이스에 공식적으로 입력되었다. 과제의 진행은 약 8년 동안 국제적인 협력에 의하여 이루어져 왔으며, 유럽의 25개 연구팀, 일본의 7개 연구팀, 두 개의 회사 연구팀 그리고 한국의 본 연구팀이 참여했다. 고초균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을 위한 국제협력과제의 일환으로 본 연구팀은 odhA 유전자(181 $^{\circ}$) 상류지역 53, 289bp 부위의 염기서열을 해독하였다. 할당된 부위의 양 끝 부분에 위치한 sspC와 odhA 유전자의 알려진 염기 서열을 시점으로하여, plasmid rescue와 long-range PCR 방법을 써서 염색체 DNA 단편을 획득하였다. 본 연구팀이 염기서열을 밝힌 염색체 DNA 부위에는 이미 보고된 9개 유전자(sspC, cge cluster, orfE5, orfRMl 및 odhA)를 포함하여 모두 65개의 ORF가 들어 있음이 밝혀졌다. 이 부위에서 얻은 흥미로운 결과 중 하나는 인트론으로 여겨지는 한 ORF의 발견인데 세균의 염색체 상에서 인트론이 발견된 예는 흔치 않다. DNA복제 종결 단백질의 결합이 예상되는 염기서열이 세 곳에서 새로이 발견되었는데 이 역시 흥미로운 결과이다. 한편 이 부위 전체의 염기서열 해독을 통하여 기존의 유전자 지도상에 실제와는 매우 다르게 표시되어 온 여러 유전자들의 위치를 바로잡을 수 있었다.

  • PDF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어체중 및 수온에 따른 산소 소비량 (Oxygen Consumption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Relation to Body Weight and Water Temperature)

  • 김유희;조재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47-254
    • /
    • 1999
  • Changes of oxygen consumption of Nile tilapia in relation to different body sizes(average body weight 4 g, 40 g, 120 g and 400 g) and water temperatures ($20^{\circ}C$, $25^{\circ}C$ and $30^{\circ}C$) were investigated by a continuous oxygen monitoring system. Mean oxygen consumption of 4 g, 40 g, 120 g and 400 g Nile tilapia at $20^{\circ}C$ were 318.8, 214.9, 84.1 and 69.4 mg $O_2$/kg fish/hr and that at $25^{\circ}C$ were 435.2, 345.9, 151.5 and 115.9 mg $O_2$/kg fish/hr, and that at $30^{\circ}C$ were 611.1, 538.4, 320.8, and 236.0 mg $O_2$/kg fish/hr, respectively. Oxygen consumption per unit body weight tended to decrease exponentially at all temperatures (P<0.05) as body weigth of the fish increased. Oxygen consumption of this fish at $25^{\circ}C$ was $1.61\pm0.18$ times higher than that at $20^{\circ}C$ and oxygen consumption at $30^{\circ}C$ was $1.53\pm0.27$ times higher than that at $25^{\circ}C$. Oxygen consumption per unit body weight linearly increased with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Also, oxygen consumption of this fish during day time was higher than that during night time at 12L:12D day light con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maximum and minimum daily oxygen consumption of this fish increased with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 PDF

바이오필터에 의한 VOC 분해에 미치는 온도와 유입농도의 영향

  • 윤진길;박창호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3-94
    • /
    • 2001
  • 80여일 운전 후 수분함량은 상부 (53%) 보다 하부 (66%) 가 다소 높게 나왔다. 34 일의 적응기가 나타났으며 34일 경과 후 VOC의 분해율은 90% 에 이르렀다. 총 세균수 측정 결과, 37일 운전 후 총개체수는 $25^{\circ}C$에서 $1.08{\times}10^8$ cells/g 로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9가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성분별 제거는 isoprene($95{\sim}99%$)과 m-xylene (93%)의 제거율이 가장 높았으며, chloroform (62%)이 가장 낮은 제거율을 보였다.

  • PDF

수온과 염분이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의 번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Propagation of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 황형규;변충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9-67
    • /
    • 1995
  • 해산어류 종묘생산시 초기단계 먹이생물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의 large (L)-type, small (S)-type, thailand small (TS)-type에 대한 수온과 염분별 성장율, 최초산란 연령, 수명 및 총산란수 등에 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염분%$(5\%o,\;15\%o,\;25\%o,\;and\;35\%o)$에 따른 개체군 성장은 L-type은 $25^{\circ}C\;와\;29^{\circ}C$에서 비교적 양호한 성장을 보였으며 평균성장율은 $0.53\~0.71$이었고, S-type과 TS-type은 $29^{\circ}C$에서 각각 $0.81\~0.87,\;0.92\~1.04$였다. 최초산란연령은 3 type 모두 저염분, 고수온조건에서 빨랐으며 L-type은 $15\%o$구, $29^{\circ}C$에서 22.7시간, S-type은 $15\%o$구, $29^{\circ}C$에서 18시간, TS-type은 $5\%o$구, $29^{\circ}C$에서 18.8시간이었다. 총산란수는 3 type 모두 $25^{\circ}C$$29^{\circ}C$ 조건하에서 다산하였고, TS-type에 있어 $29^{\circ}C$에서 평균 28.3개체로 최대치를 나타냈고, S-type은 $15^{\circ}C$에서 평균 7.8개체로 가장 낮은 산란수를 나타냈다. 수명은 고수온에서는 짧고, 저수온에서는 길었으며 L-type과 TS-type에 있어 $15^{\circ}C$에서 평균 13.5일로 가장 길었고, S-type은 $29^{\circ}C$에서 평균 6.2일로 가장 짧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