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HIAA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4초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Clozapine의 치료반응과 혈장 Homovanillic Acid 및 5-Hydroxyindoleacetic Acid 농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lozapine-Induced Therapeutic Responses and Plasma Homovanillic Acid and 5-Hydroxyindoleacetic Acid Levels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 김찬형;이홍식;김광현;유계준
    • 생물정신의학
    • /
    • 제4권1호
    • /
    • pp.84-94
    • /
    • 1997
  • 본 연구는 27명의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비정형적 항정신병 약물인 clozapine을 8주간 투여하여 임상증상 치료반응(PANSS와 CGI 척도 이용)과 혈장 대사물(혈장 HVA 농도, 5-HIAA 농도 및 HVA/5-HIAA 농도비 측정)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아울러 clozapine 치료 반응군과 치료 비반응군간의 약물투여전 기준 혈장 대사물과 clozapine투여 8주후 대사물의 변화율을 비교하여 혈장 대사물 농도가 clozapine 치료의 예측인자로서 가능성이 있는 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전체 연구대상군에서 clozapine 투여기간에 따른 혈장 HVA 농도, 5-HIAA 농도는 각각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나, 혈장 HVA/5-HIAA 농도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전체 연구대상군에서 clozapine 투여 8주 후 혈장 HVA 농도변화율, 혈장 5-HIAA 농도변화율, 혈장 HVA/5-HIAA 농도비 변화율 각각과 8주후 정신병리(PANSS 양성척도점수, 음성척도점수, 일반정신병리척도 점수, 전체점수) 변화율과의 상관분석결과 혈장 HVA 변화율은 PANSS 양성척도점수 변화율, 일반정신병리척도 점수 변화율, 그리고 전체점수의 변화율과 각각 유의한 정 상관성이 있었으며, 반면 혈장 5-HIAA 농도 변화율은 PANSS 음성척도점수 변화율과 유의한 정 상관성이 있었다. 전체 연구대상군에서 clozapine 투여 8주 후 혈장 HVA 농도변화율은 PANSS 양성척도 항목중 특히 망상 및 환각행동 항목점수의 변화율과 각각 유의한 정 상관성이 있었으며, PANSS 음성척도 항목중에서는 대화흐름 및 자발성 결여 항목점수의 변화율과 유의한 정 상관성이 있었다. 혈장 5-HIAA 농도 변화율은 PANSS 음성척도 항목 중 둔마된 정동, 빈약한 신뢰감 항목 점수의 변화율과 각각 유의한 정 상관성이 있었다. Clozapine 투여 8주 후 PANSS 전체점수가 20% 이상 감소되고 CGI 심도점수가 경도 이하인 경우를 치료반응의 기준으로 정의했을 때, 전체 27명의 대상환자 중 48%(13명)가 치료반응군이었다. Clozapine 치료 반응군(N=13명)과 치료 비반응군(N=14명)의 비교에서 약물투여 전 기준 혈장 HVA 농도와 기준 혈장 HVA/5-HIAA 농도비는 치료 반응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기준 혈장 5-HIAA 농도는 양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lozapine 치료반응군의 경우 약물투여 8주 후 혈장 HVA 농도가 40.3% 감소하고, 치료 비반응군은 혈장 HVA 농도가 3.1% 증가하여 양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Clozapine 투여 8주 후 혈장 5-HIAA 농도변화율과 혈장 HVA/5-HIAA 농도비 변화율은 치료반응군과 비반응군 간에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clozapine의 항정신병효과 중 양성증상은 도파민 길항효과와 관련이 있고, 음성증상은 세로토닌 길항효과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약물투여 전 혈장 HVA 농도와 약물투여 후 혈장 HVA 농도변화가 각각 clozapine의 치료반응 예측인자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5-Hydroxyindole-3-acetic acid와 5-hydroxytryptophol을 이용한 혈액 및 뇨에서 음주여부 확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firmation of drinking at the bloods & urines used 5-hydroxyindole-3-acetic acid and 5-hydroxytryptophol)

  • 김명덕;김영운;권오성;박세연;김은호
    • 분석과학
    • /
    • 제20권3호
    • /
    • pp.204-212
    • /
    • 2007
  • 사망사건 중 부패된 생체시료(혈액, 뇨 등)에서 음주여부를 판단하고자 할 때 부패된 사체의 경우 glucose를 비롯한 생체물질들이 미생물에 의하여 alcohol로 대사전환 될 수 있으므로 검출되는 ethanol의 전체 농도를 사망 전의 음주량으로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감정 의뢰된 사체의 혈액과 뇨를 임의로 선택하여 ethanol의 농도 및 n-propanol의 농도를 측정하여 상대적인 생성 비를 비교하여 보았으며, 5-hydroxytryptophol(5-HTOL)/5-hydroxyindole-3-acetic acid(5-HIAA)의 비를 이용한 음주여부의 판별법을 확립하기 위해서 5-HIAA 및 5-HTOL의 농도 측정법을 확립하였다. 혈액에서 검출되는 ethanol과 n-propanol의 상대적 농도비는 뇨에서 ethanol이 검출되지 않은 시료를 기준으로 할 경우, 약 11~20:1의 농도비를 나타난다. 음주를 한 것으로 판단되는 뇨의 경우 5-HTOL/5-HIAA의 비율은 1 이상으로 나타났고, 음주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뇨의 경우 5-HTOL/5-HIAA의 비율이 1 미만으로 측정되어, 혈액검사와는 달리 5-HTOL/5-HIAA의 비율이 1 이상인 경우 음주를 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었다.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의 Serotonin계의 개체발생적인 과정과 정신병리와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TOGENETIC PROCESSES AND PSYCHOPATHOLOGY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정영;신성웅;황준원;신민섭;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2호
    • /
    • pp.165-178
    • /
    • 2001
  •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이하 ADHD라 기술함)의 생화학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개체발생적인 과정에 대한 이해를 하기 위하여 46명의 ADHD아동들과 18명의 발달성언어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혈장내 의 5-HT와 5-HIAA 함량을 측정하고 개체발생적인 과정에 대한 연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군과 대조군에서 혈장 5-HT(serotonin) 함량비교에서는 혼합형(combined type)은 평균치 17.81 ng/ml, 주의력결핍형은 22.00ng/ml, 과잉운동 ${\cdot}$ 충동형은 24.75ng/ml 대조군의 평균치는 31.83 ng/ml로서 분산분석 결과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며(F=4.33, df 3, 60, p<0.05), Scheffe씨법을 이용한 사후검증에서는 혼합형과 대조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나머지 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2) 대상군과 대조군에서 혈장 5-HIAA함량 비교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F=2.08, df 3, 60, p>0.05). 3) ADHD전체군과 대조군간의 5-HT 및 5-HIAA함량비교에서는 5-HT함량의 평균치는 21.74ng/ml 이었으며, 대조군의 평균치는 31.83ng/ml로서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다(T=3.10, df 62, p<0.05). 그러나, 5-HIAA함량치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T=1.90, df 62, p>0.05). 4) ADHD군에서 TOVA소견과 5-HT 및 5-HIAA 함량간의 상관성에 있어서는 의미있는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5) ADHD군에서 DSM-IV소견과 5-HT 및 5-HIAA함량간의 상관성에 있어서도 의미있는 상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6) 대상군과 대조군에서 혈장 5-HT(serotonin)함량과 연령간의 상관성에 있어서는 모두 의미있는 상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ADHD군:Pearson 상관계수 -0.20, 대조군:-0.05, 모두 p>0.05). 7) 대상군과 대조군에서 혈장 5-HIAA함량과 연령간의 상관성에 있어서도 모두 의미있는 상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ADHD군:Pearson 상관계수 -0.17, 대조군:0.04, 모두 p>0.05). 이러한 소견으로 미루어 5-HT의 농도저하가 ADHD의 원인중의 일부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5-HT 의 개체발생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이상소견이 없을 가능성이 있다. 향후 생화학적인 소견에 의한 아형으로의 분류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면 이러한 분류에 의하여 약물에 대한 반응, 가족력의 차이 또는 예후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 PDF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혈장 HVA 및 5-HIAA 농도와 정신병리와의 상관성 (Relationships among Plasma Homovanillic Acid, 5-hydroxyindoleacetic Acid Concentrations and the Psychopathology of Schizophrenic Patients)

  • 김용구;박성근;김인;이민수
    • 생물정신의학
    • /
    • 제4권1호
    • /
    • pp.95-101
    • /
    • 1997
  • The recent hypothesis about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has been centered mainly on two theories, i.e. dopamine hypothesis and serotonin hypothesis. We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plasma monoamine metabolite concentrations and clinical symptoms in schizophrenic patients. The first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plasma levels of HVA(homovanillic acid) and 5-HIAA(hydroxyindoleacetic acid)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chizophrenics, compared to normal controls. And, with the intention of clarifying the interaction between dopaminergic system and serotoninergic system, the ratio of HVA/5-HIAA also was measured. The second purpose was whether the basal(pre-treatment) levels of these metabolites show the correlation with clinical symptoms. Finally, third purpose was whether basal HVA and 5-HIAA levels can be held as a predictor of treatment response. We used Scale for the Assessment of Positive Symptoms(SAPS) and Scale for the Assessment of Negative Symptoms(SANS) as the clinical symptom rating scales. Our results were as followed, 1) only the level of basal plasma HVA was significantly differ in schizophrenics. 5-HIAA and HVA/5-HIAA were not. 2) basal HVA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APS score, especially delusion subscale. 3) the higher was the basal HVA level, the more improvement in clinical symptoms was observed. The basal 5-HIAA level and the HVA/5-HIAA ratio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findings. These results support the dopamine hypothesis of schizophrenia, but fail to examine on the possible involvement of serotonin in schizophrenia.

  • PDF

Fluoxetine 병용 투여 후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혈장 5-Hydroxyindoleacetic Acid 농도에 따른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의 변화 (Changes of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According to Plasma 5-Hydroxyindoleacetic Acid Level after Adjuntive Fluoxetine Trial in Schizophrenic Patients)

  • 심세훈;정한용;한선호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2호
    • /
    • pp.269-276
    • /
    • 1996
  • Object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 association between plasma 5-Hydroxyindoleacetic Acid(HIAA) level and the change of depressive symptom after fluoxetine trial in haloperidol-stabilized schizoprenic in-patients. Method : According to plasma 5-HIM level, 32 patients were classified to either group with high 5-HIAA level(N=11) or that with low 5-HIM(N=11). For each patient, fluoxetine(20mg/day) added to stable haloperidol dose for 6 weeks. The authors measured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RSD) at baseline, the 2nd week, the 4th week, the 6th week of treatment. Result : 1) Age, duration of illness, number of admission, duration of present admission, dosage of haloperidol between high 5-HIAA group and low 5-HIM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2) As time went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ange of depressive symptom and plasma 5-HIAA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 3) Of depressed group, as lime went an, depressive symptom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in high 5-HIAA group, but not in law 5-HIM group. Conclusion : We suggest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plasma 5-HIAA level and the change of depressive symptoms after fluoxetine trial in haloperidol stabilized schizophrenic in-patients was not significant.

  • PDF

정신분열증환자에서 Haloperidol 투여에 따른 임상효과와 혈장 Homovanillic Acid의 농도 및 혈장 5-Hydroxyindoleacetic Acid 농도와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Antipsychotic Effect of Haloperidol and Plasma Homovanillic Acid Levles and Plasma 5-Hydroxyindoleacetic Acid Level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김승현;이민수;곽동일
    • 생물정신의학
    • /
    • 제2권1호
    • /
    • pp.77-90
    • /
    • 199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plasma homovanillic acid(pHVA) levels and 5-hydroxyindoleacetic acid(pHIAA) levels in schizophrenics during haloperidol treatment, and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pHVA and pHIM levels with their psychopathology and treatment responses. Fourteen patients entered the study and pHVA, pHIAA levels were measured at baseline, first week, second week and fourth week during treatment. Also, plasma haloperidol levels were measured at first week, second week and fourth week. Psychopathology was evaluated with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at baseline, 1st week, 2nd week and 4th week.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duration of illness and total BPRS scores at baseline between higher pHVA group(baseline pHVA level >7.72ng/mL) and lower pHVA group(baseline pHVA level <7.72ng/mL).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duration of illness between higher pHIM group(baseline pHIAA level >3.18ng/mL). and lower pHIAA group(baseline pHIAA level <3.18ng/mL). 3) The Means of pHVA levels at 1 st week and 2nd week after treatm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higher pHVA group and did not change in the lower pHVA group. 4) In the higher pHIAA group, the mean of pHIAA levels at 4th week after treatment decreased significantly, but did not change in the lower pHIAA group. 5) Between the higher pHIVA group and lower pHVA group, the response rates(percentile improvement) after treatment we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response rate between the lower pHIAA group and higher pHIM group at 2nd week. 6)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BPRS scores and pHVA levels in the higher pHVA group during treat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repeated measurement of pHVA levels and pHIAA levels following antipsychotic treatment have prognostic significance for response. Also, shcizophrenics whose have relatively nigh levels of pHVA, or relatively low levels of pHIAA before treatment will show a favorable early responses to antipsychotics.

  • PDF

온담탕(溫膽湯)과 사물안신탕(四物安神湯) 및 시호소간산(柴胡疏肝散)이 비만(肥滿)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Ondamtang, Samulansintang and Shihosogansan Water Extract on the Obesity and Stress)

  • 이상용;류희영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5-45
    • /
    • 1992
  • Many phychiatrists have reported that the change of serotonin concentration would cause mental disorder and affect the pathological conditions such as schizophrenia, depression and eating behabior. The end product of serotonin metabolism was excreted as 5-HIAA in urine. Serum lipids, according to the report, were concerned with obesity, said it was.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changes of plasma serotonin, urinary 5-HIAA and serum lipids, making use of Fat Cell Mass rate of 27 normal persons and 42 psychosomatic patients. For this, I also observed the change of serotonin, 5-HIAA and lipids of the psychosomatic patients by the use of 3 kinds of herbs as treatment medication on the basis of physical symptoms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Urinary 5-HIAA is correlated with the body water rate(r=0.381), while reversely correlated with the Fat Cell Mass rate(r=-0.330). 2. Compared the control group with the patients group for the serum lipids value, they showed the significant results ; $146.4{\pm}5.71$ mg/dl and $166.9{\pm}6.56$ mg/dl in the total cholestrol value over- weights, $471.2{\pm}42.99$ mg/dl in the total lipid value, and $158.1{\pm}6.50$ mg/dl and $181.1{\pm}6.30$ mg/dl in the phospholipid of the obesity, respectively. 3. With comparison of each group to other group to the others for Fat Cell Mass rate, the total cholesterol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Fat Cell Mass rate was 20% or more, HDL-cholesterol value when 30% or more, and triglyceride when 30% or more, respectively. 4. there was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relations between Fat Cell Mass rate and body water, which body mass index was increased as the body water was decreased. 5. Fat Cell Mass rate was correlated with Cholesterol(r = 0.420), triglyceride (r = 0.443), and $\beta$-lipoprotein(r = 0.450) of serum lipids, while reversely correlated with HDL -Cholesterol(r = -0.354) and urinary 5- HIAA ha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0.330. 6. What related with body water rate urinary 5-HIAA (r = 0.381) and $\beta$-lipoprotein(r = -0.405). 7.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total cholesterol value and HDL-Cholesterol Value of serum lipids after dose of Ondamtang, significant increase in the 5-HIAA value after dose of Samulansintang, and significant devrease in the Trigylceride value of serum lipids after dose of Shihosogansan. As a result, it was seen that there was direct correlations among the Fat Cell Mass, urinary 5-HIAA, and serum lipids and stress from the mental conditions was not correlated directly to Serotonin, 5-HIAA, and serum lipids. I would like to conclude, therefore, that the detailed study should be performed on the function of serotonin of hypothalamus.

  • PDF

흉곽내 악성종양환자에서 Cisplatin 투여시 5-hydroxyindoleacetic Acid (5-HIAA)의 변화 (Urinary 5-hydroxyindoleacetic Acid(5-HIAA) Excretion Before and During Cisplatin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Intrathoracic Malignancy)

  • 양동규;장윤수;김영삼;이준구;박재민;안강현;김세규;정현철;장준;안철민;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6호
    • /
    • pp.811-816
    • /
    • 1999
  • Background : Nausea and vomiting associated with chemotherapy are common side effects which remain difficult to control. Acute phase nausea and vomiting (0-24 hours after induction of chemotherapy) parallels plasma serotonin release, which explains the effectiveness of $5-HT_3$ receptor antagonists. Serotonin released from gastrointestinal enterochromaffin cells may mediate chemotherapy-induced emesis. In this study, we analyzed urinary excretion of 5-HIAA, the main metabolite of serotonin. Methods : Eight men and four women were studied in their cisplatin chemotherapy cycle. Urinary 5-hydroxyindoleaoetic aicd (HIAA) levels were determined before and during a 24-hour period under ondansetron prophylaxis. Results : Urinary 5-HIAA excretion for a 24-hour period was increased in all patients after induction of cisplatin (P=0.002). Conclusion : Cisplatin chemotherapy is associated with serotonin release in the acute phase. Our finding may provide evidence for a relationship between emesis and serotonin following cisplatin chemotherapy.

  • PDF

삼종(三種)의 복합한약제(複合韓藥劑) 투여(投與)가 요중(尿中) 5-Hydroxyindoleacetic Acid에 미치는 영향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the Three Recipes Treatment on the Urinary 5-HIAA Excretion)

  • 이종진;은항석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18
    • /
    • 1991
  • Serotonin was chemically identified as 5-hydrowytryptamin which occurs in plants, animals, and human beings. The end product of metabolism was excreted as 5-HIAA in urine. Many scientists, specially biochemist and psychiatrist reported that the change of serotonin concentration caused mental disorder and pathological condiions such as schizophrenia and carcinoi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urinary 5-HIAA excretion rates changed by three recipes treatment (Kamisoyosan, Ondamtang, kalgunhaegitang)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endogenous, exogenous and non-exo-endogenous, causes of disease. The urinary 5-HIAA excretion rates before and after three recipes treatment on normal groups divided into three groups on the basis of physical constitutional differences and on patients group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causal factor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urinary 5-HIAA volume of patients groups appeared non-exoendogenous, endogenous, exogenous causes of disease in order of three causative classification. 2. The urinary 5-HIAA volume of Normal groups was $2.50{\pm}088mg/24hrs$(range $0.30{\sim}6.90mg/24hrs$) 3. Thr urinary 5-HIAA volume was $3.70{\pm}0.89mg/24hrs$(range $0.90{\sim}6.50mg/24hrs$) before kamisoyosan treatment and $3.20{\pm}0.72mg/24hrs$ (range $0.80{\sim}6.20mg/24hrs$) after the treatment. 4. The value was $2.60{\pm}0.10mg/24hrs$ (range $0.60{\sim}6.50mg/24hrs$) before Ondamtange treatment and $2.00{\pm}0.12mg/24hrs$(range $0.20{\sim}6.10mg/24hrs$) after the treatment. 5. The value was $4.30{\pm}0.75mg/24hrs$(range $0.92{\sim}6.50mg/24hrs$) before kalgunhaegitang treatment and $3.10{\pm}0.10mg/24hrs$(range $0.80{\sim}5.80mg/24hrs$) after the treatment. Considering the above-mentioned the study on the changes of urinary 5-HIAA volume will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diagnosis and the evaluation of therapeutic effect successive research and modified application will be in need.

  • PDF

d-Amphetamine이 백서뇌의 5-HT, 5-HIAA, MAO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d-Amphetamine on the Brain 5-HT, 5-HIAA, MAO and the Behavior of Rat)

  • 서유헌;우종인;박찬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7-62
    • /
    • 1981
  • d-amphetamine이 사람에서 paranoid schizophrenia와 아주 유사한 model psychosis를 일으키며 또한 사람과 실험동물에서 실제 정신분열증에서 뚜렷이 관찰되는 behavioral perservation을 일으킬 수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에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양상의 행동변화가 정신분열증의 원인 추구에 중요한 의미를 주는 뇌변화를 반영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많은 연구를 거듭하여 왔다. 지금까지는 주로 catecholamine기전에 대하여 집중적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d-amphetamine의 약리기전의 일부는 5-HT기전이 차지하고 있으며, 여러 행동변화에는 catecholaimin 보다 5-HT 가 더 중요하게 관계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또한 d-amphetamine은 시험관내에서 MAO 특히 신경전달물질 분해요소인 A type를 가역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이 보고되어 많은 흥미를 끌어왔으나 생체내에서의 억제여부는 직접적으로 확인이 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최근에 Braestrup(1977)과 El Hait(1978)등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생체내에서도 억제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d-amphetamine에 의해 야기되는 행동변화와 그 밑바탕을 이루는 생화학적 기전에 5-HT가 차지하는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의 실험을 시행하였다. 첫째, d-amphetamine의 급성, 만성 투여가 5-HT의 5-HIAA 로의 turnover와 MAO활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서 이 양자사이에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d-amphetamine을 투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라서 뇌내 5-HT, 5-HIAA, 5-HT turnover rate와 MAO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둘째, d-amphetamine, 5-HT 합성을 증가시키는 약물과 합성을 억제시키는 약물을 투여하고, 위의 생화학적 실험과 행동관찰을 병합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amphetamine (6 mg/kg)을 급성투여시, 뇌내 5-HT함량이 투여 1시간 후에 최고로(대조치의 123%, p<0.001) 증가되다가 이후 감소하며, 5-HIAA 함량은 처음 15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다가 30분에 최저로 떨어지며(대조치의 78%, p<0.005) 이후 증가하여 24시간째는 약간 대조치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미토콘드리아 MAO활성도는 1시간째에 최저로 떨어지다가(대조치의 89%, p<0.05)이후 회복하기 시작하여 24시간째에 약간 대조치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5-HT의 turnover rate는 MAO활성도 변화와 거의 같은 변화를 보였다. 2) 만성투여시 (하루 2번, 14일간 투여)는 5-HT 함량, 5-HIAA 함량, MAO 활성도 및 5-HT turnover rate 모두가 중등도로 감소되었다. (각각 대조치의 87%, 69%, 80%, 79%). 3) MAO 활성도와 5-HT turnover rate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r=0.866, p<0.001, N=94). 4) MAO 활성도의 역동학 실험에서는 대조치에 비해 투여군에서 Km 값은 의미가 있는 증가가 있었으나 $V_{max}$값은 큰 변동이 없었다. 5) d-amphetamine을 급성 투여할때는 sleeping과 lying components는 상당한 감소를 보인 반면, locomotor activity 는 1시간까지는 상당한 증가를 보였으며 용량이 적을수록 더 큰 증가가 있었다. 반면 stereotypy는 1시간까지 용량이 증가할수록 더 큰 증가가 나타나서 locomotor activity에서 stereotypy 의 증가로 이행을 나타내었다. 만성 투여시는 locomotor activity는 점차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stereotypy는 점차적인 증가가 나타나서 14일쯤에는 평형에 도달하였다. 6) PCPA 단독 투여군(400 mg/kg, 3번)에 있어서는 5-HT와 5-HIAA 함량의 상당한 감소가 나타났으나 MAO 활성도와 행동에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PCPA전 처치군에 있어서도 5-HT와 5-HIAA 함량은 마찬가지로 상당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gnawing, sniffing과 locomotor activity는 더 증가를, stereotyped head weaving, forepaw treading과 hindlimb abduction은 상당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7) L-tryptophan(100 mg/kg)단독 투여시는 5-HT 함량은 약간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5-HIAA 함량은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 MAO활성도나 행동은 큰 변화없었다. L-tryptophan 전처치군에 있어서는 5-HT 함량은 더 큰 증가를 보였으나, 5-HIaa 함량은 MAO 활성도는 별 변화없었으며 stereotypedlateral head waving, forepaw treading 과 hindlimb abduction은 증가를, locomotor activity, gnawing과 sniffing components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8) d-amphetamine 단독투여, 혹은 L-tryptophan 전처치, PCPA 전처치후 측정한 5-HT 함량과 stereotyped head weaving, forepaw treading, hinilimb abduction components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r=0.789, p<0.001). 반면 5-HT 함량과 locomotor activity, stereotyped gnawing과 sniffing components 사이에는 약한 음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r=0.554, p <0.00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때 5-HT의 5-HIAA 로의 turnover rate 는 주로 MAO 활성도에 의해서 조절되며 5-HT 기전이 d-amphetamine에 의해서 야기된 여러 행동변화 중 상당한 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