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FU

검색결과 722건 처리시간 0.043초

Association Between Polymorphisms of XRCC1 Arg399Gln and XPD Lys751Gln Genes and Prognosis of Colorectal Cancer in a Chinese Population

  • Gan, Yi;Li, Xiao-Rong;Chen, Dao-Jin;Wu, Jun-H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721-5724
    • /
    • 2012
  • We conducted this study to detect associations between XRCC1 Arg399Gln and XPD Lys751Gln genotypes and survival of colorect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5-FU/oxalipatin chemotherapy. We included 289 Chinese patients with advanced colorectal cancer, who had received 5-FU/oxalipatin chemotherapy as first-line treatment from January 2005 to January 2007.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till Nov. 2011. Genotyping for XRCC1 Arg399Gln and XPD Lys751Gln polymorphisms was based upon duplex polymerase-chain-reaction with the PCR-RFLP method. In our study, we found the XRCC1 399 Gln/Gln genotype to confer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response to chemotherapy when compared to the Arg/Arg genotype [OR (95% CI)= 2.56(1.57-2.55)]. patients with the XPD 751 Gln/Gln genotype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response to chemotherapy [OR (95% CI)= 1.54(0.87-2.65)] and those with the XRCC1 399 Gln/Gln genotype had a longer average survival time and significantly lower risk of death than did those with the Arg/Arg genotype [HR (95% CI)= 0.66(0.36-0.95)]. Similarly, those carrying the XPD 751Gln/Gln genotype had 0.51-fold the risk of death of those with XPD 751Lys/Lys [HR (95% CI)= 0.51(0.33 -0.94)].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XRCC1 Arg399Gln and XPD Lys751Gln polymorphisms should be routinely assessed to determine colorectal patients who are more likely to benefit from 5-FU/oxalipatin chemotherapy.

Complete Remission of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Achiev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 Case Report

  • Jung Min Lee;Bora Keum;Sang Yup Lee;In Kyung Yoo;Seung Han Kim;Hyuk Soon Choi;Eun Sun Kim;Hoon Jai Chun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70-72
    • /
    • 2017
  • A 41-year old woman with dysphagia visited, which was aggravated after eating. On physical examination, there was a palpable mass on the left supraclavicular area. Endoscopic examination revealed a mass on the distal esophagus with irregular mucosa, erythema and a whitish plaque with luminal narrowing.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squamous cell carcinoma, T3N2M1, Stage IV). The patient received CCRT (total 63 Gy) with cisplatin and 5-fluorouracil (5-FU). After CCRT, the patient took an additionally 2 cycles of chemotherapy for consolidation (cisplatin and 5-FU every 4 weeks). After additional chemotherapy, endoscopic examination showed no residual tumor, a chest CT scan revealed that the mass in the distal esophagus had decreased and there was no enlargement of the lymph nodes around the left supraclavicular area. The patient has been in complete remission for 5 years.

  • PDF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의 고식적 방사선치료 결과 (The Results of Palliative Radi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Unresectable Advanced Pancreatic Cancer)

  • 유미령;윤세철;김연실;정수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243-247
    • /
    • 2006
  • 목 적: 췌장암은 진단 시 절제 불가능한 진행된 병변을 갖는 경우가 많으므로 방사선치료 시 고식적 증상완화의 효과 및 예후를 알아보고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 3월부터 2005년 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에서 통증완화를 위한 고식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 환자 중 추적조사가 가능한 37명을 대상으로 치료결과 및 관련인자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성별은 남자 22명(59.5%), 여자 15명(40.5%)이었으며, 연령은 30세에서 80세 사이로 중앙값 57세였다. 진단 시 12명(32.4%)에서 간전이가 있었고, 22명(59.5%)에서 임파절 전이가 있었다. 방사선치료는 종양 및 주변 임파절에서 $1{\sim}2\;cm$ 범위까지 $3,240{\sim}5,580\;cGy$ (중앙값 5,040 cGy)를 조사하였으며, 30명(81%)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하였는데 5-FU (fluorouracil) 단독을 투여한 경우가 21명이었고, 9명에서는 gemcitabine이 단독으로 또는 5-FU와 함께 투여되었다. 추적관찰기간은 1개월에서 44개월이었으며, 생존율 및 예후인자의 분석은 Kaplan-Meier 방법 및 Log-rank 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전체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은 11개월, 중앙 생존기간은 8개월이었으며, 1년 생존율은 20%였다. 전체 환자 중 33명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할 수 있었는데, 7명(21.2%)에서 양호, 22명(66.7%)에서 보통의 반응을 보여 87.9%의 증상완화율을 나타냈다.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은 경증 및 중등도의 오심, 구토, 소화불량이 14명(37.8%)에서 나타났으나 치료의 중단을 요하는 중증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항암화학요법은 방사선치료와 병행여부에 따라 생존율이나 증상의 고식정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약제의 종류에 따라 gemcitabine 약제가 주가된 군에서 중앙생존기간이 12개월로 5-FU를 단독으로 투여한 군의 5.5개월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05).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환자의 카르노프스키 활동도, 간전이 유무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이외에 성별, 나이, 병변위치, 임파선 전이유무, CA 19-9 수치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 론: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 환자에 있어서 방사선치료는 고식적 증상완화에 효과적이며, gemcitabine과 같은 항암화학요법과 더불어 다른 새로운 약제와 함께 생존율 향상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장막침윤이 없는 위암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적 화학 요법에 대한 전향적 연구 -최종보고-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for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in Gastric Cancer without Serosal Invasion -Final Report-)

  • 김용진;김병식;김용호;육정환;오성태;박건춘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4호
    • /
    • pp.257-262
    • /
    • 2004
  • 목적: 장막침윤이 없는 위암환자에 있어서 수술 후 서로 다른 보조화학요법이 장기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0월부터 1998년 3월까지 만 15개월간 서울 아산병원 외과에서 근치적 위 절제를 시행한 환자 중, 장막침윤이 없는 3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수술 후 병기가 IA인 131예, 장막침윤이 있는 34예, 그리고 치료를 거부한 17예를 제외한 135명(1군: 5-FU+cisplatin 정주, 2군: mitomycin C정주+경구용5-FU, 3군: 경구용 5-FU)의 의무기록 분석과 전화추적을 실시하여 재발양상, 생존율, 및 위암관련 사망률을 각 군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121명에서 추적이 가능해 $89.6\%$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재발은 1군 4명, 2군 7명, 그리고 3군 6명 이었으며, 세 군의 전체생존율은 1군 $89\%$, 2군 $84\%$, 그리고 3군은 $82\%$이고, 위암관련 사망환자만을 고려한 질병특이 생존율은 1군 $92\%$, 2군 $86\%$, 그리고 3군은 $88\%$로 나타나 이들 세 군간에 전체생존율 및 질병특이 생존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전체생존율: P=0.6875, 질병특이 생존율: P=0.7120). 결론: 장막침윤이 없는 위암 환자에서, 치료효과를 향상 시키기 위해 보조요법을 시행할 경우 경구용 항암제를 이용한 방법이면 충분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보조요법을 시행치 않는 대조군을 포함한 대단위 무작위 연구가 필수적일 것이다.

  • PDF

재결정 PLGA와 단량체를 이용한 5-FU/PLGA 웨이퍼의 방출거동 (Release Behavior of 5-FU from 5-FU/PLGA Wafer using Recrystallized PLGA and Monomer)

  • 박정수;최명규;김윤태;이준희;모종현;강길선;이종문;신형식;이해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2호
    • /
    • pp.205-210
    • /
    • 2008
  • PLGA는 생분해성 고분자이며 생체적합성을 갖는 고분자로서 약물전달을 위한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고분자이다. 그러나 PLGA를 약물전달에 이용할 때 약물의 급격한 초기방출 이후에 일정기간동안 약물이 방출되지 않는 지연시간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PLGA 웨이퍼에 단량체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PLGA를 재결정하여 약물의 급격한 방출 현상을 억제하도록 하였다. SEM을 이용하여 재결정된 PLGA의 형태학적 차이를 관찰하였으며 생체외 약물 방출거동은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LGA의 분해과정에서 단량체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GPC를 이용하여 분자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PLGA의 벌크분해에 기인한 지연시간을 없앨 수 있었으며 약물의 방출 기간을 3일까지 앞당길 수 있었다.

Nrf2 Overexpression Predicts Prognosis and 5-FU Resistance in Gastric Cancer

  • Hu, Xiu-Feng;Yao, Jun;Gao, She-Gan;Wang, Xin-Shuai;Peng, Xiu-Qing;Yang, Yan-Tong;Feng, Xiao-S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231-5235
    • /
    • 2013
  • Objective: NF-E2-related factor 2 (Nrf2) is activated in several human malignancies. However, the role of Nrf2 in gastric cancer (GC) remains incomplete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therefore analyzed associations of Nrf2 expression status with clinical features and chemotherapeutic resistance in GC.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86 samples from GC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were used for prognostic assessment. A further 142 samples from GC cases who received first-line combination chemotherapy were applied for investigation of chemoresistance. The Nrf2 expression was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in GC samples, and its relationship with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and chemotherapy sensitivity was analyzed. The effect of Nrf2 gene silencing on chemotherapy resistance was also examined by cell viability assay in vivo. Results: Of the 186 patients with GC, 104/186 (55.9%) showed high expression for Nrf2. The overexpression of Nrf2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overall survival [OS, hazard ratio (HR) 3.9; P=0.011] and disease-free survival (DFS, HR 4.3; P=0.002). The gene silencing of Nrf2 reduced resistance to cell death induced by 5-FU in GC cell lines. Conclusion: Our data show that Nrf2 i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GC. Furthermore, Nrf2 confers resistance to chemotherapeutic drug 5-FU in GC cells. Taken together, Nrf2 is a potential prognostic marker and predictive for 5-FU resistance in GC.

5-Fluorouracil-지질 결합체 합성 및 in vitro 항암효과 평가 (Syntheses of 5-Fluorouracil-Fat Conjugates and Evaluation of Their in vitro Cytotoxic Activity)

  • 이희주;장판섭;김재완;정기화;신순희;신혜순;정순복
    • 약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95-400
    • /
    • 1990
  • The FU-fat conjugates(4a-e) as a prodrug have been synthesized by condensing various fatty acids(1a-e) via isocyanates(2a-e) as carbamoyl group at $N^1-position$ of 5-fluorouracil and their structures characterized. Preliminary testing for their antitumor effect was carried out on leukemia L1210 cells in culture. Most of them(4a-d) like the parent FU exhibited less than 50% inhibition on grouth of the cultrued cells at the concentration of $1\;{\times\;10^{-7}M$. Only a dicarboxylic acid derivative, 4e, showed over 50% inhibition at the same level.

  • PDF

13년간 경과를 관찰한 후두유두종의 1예 (A Case of the Laryngeal Papilloma Observed for the Past 13 Years)

  • 이양선;박윤이;이인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5.2-5
    • /
    • 1983
  • 후두유두종은 후두에 발생하는 병리 조직학적으로는 양성이나 임상적으로는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가장 처급하기 곤란한 질환중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유-소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질환인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1817년 Cleesmann이 성대에 발생한 유두종을 처음 보고한 이래 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학설이 구구하며 소아에서는 호흡곤란과 빈번한 재발에 의한 발성 장애를 일으키며 성인에서는 악성화하는 경향이 많다. 한편 치료방법도 결정적으로 효과있는 것이 없고 계속적인 절제술과 그외 여러 가지 방법을 병용하고 있는 현실로서 실제로 악성종양으로 취급되고 있다. 저자들이 경험한 본 증례도 절제술외 5-FU 국소도포를 시도한 예로써 13 년간 경과를 관찰한 결과 치료 경과도중 종양의 발생부위의 변화에 흥미를 느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식도암에서의 동시화학방사선요법 (Concurrent Chemoradiation in Patients with Cancer of the Esophagus)

  • 이강규;박경란;이종영;신현수;이종인;장우익;심영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7-16
    • /
    • 1998
  • 목적 : 식도암의 생존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의 전향적이고 비무작위적인 단일연구를 시행하였고, 이 방법으로 치료된 환자들의 생존율 및 생존율과 관련된 예후인자와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경부 또는 흉부 식도에서 시행한 조직검사상에서 침윤성 암종으로 판정되었고, 원발병소가 식도 및 종격동에 국한되어 있으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거나 영역림프절 또는 쇄골상와 림프절 등까지 전이되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7주에 걸쳐 5940cGy를 조사하였고, 2차례의 화학요법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화학요법은 5-FU와 mitomycin C를 사용하였고, 5-FU는 제 1일부터 제 5일과 제 29일부터 제 33일 사이에 각각 5일 동안 1000$mg/m^2/day$의 용량으로 지속성 정주 하였고, mitomycin C는 제 1일에 $8mg/m^2$의 응량을 일시주사하였다.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한 후에 5-FU는 9주, 13주, 17주에 각각 5일 동안 $1000\;mg/m^2/day$의 용량으로 지속성 정주 하였고, cisplatin을 9주, 13주, 17주의 제 1일에 $80mg/m^2$의 용량을 일시주사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 1989년 11월부터 1995년 11월까지 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된 44명의 환자가 등록되었다. 치료 후 환자의 $59\%$가 완전관해 되었고, $41\%$에서 부분관해 되었다. 전체 환자의 1년, 2년, 5년 생존율은 각각 $59%,\;38%.\;9.6\%$였다(중간생존기간 : 17개월). 생존율과 관련된 예후인자는 치료 후 완전관해 여부와 T병기였다. 완전관해된 26명의 환자 중 6명에서 국소재발 되었고, 3명은 원격재발 되었으며, 다른 1명에서는 국소재발과 원격재발이 동시에 나타났고, 나머지 2명은 재발 양상을 알 수 없었다. 3도 이상의 급성과 만성합병증 발생률은 각각 $20\%$$13.6\%$였으나, 합병증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의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은 방사선단독치료를 시행하였던 다른 연구들에 비해서 중간생존기간의 증가를 보였고, 치료와 연관된 합병증 발생률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치료 후 완전관해된 환자들이 부분관해된 환자에 비해 생존을의 향상을 보였으며, 주 재발양상이 국소재발이므로, 향후 국소제어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ymphatic Delivery of Oral Anticancer Tegafur by Emulsion Formulations

  • Lee, Yong-Bok;Koh, Ik-Bae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3권3호spc1호
    • /
    • pp.19-30
    • /
    • 1993
  • The influence of emulsion type of tegafur, an oral anticancer agent, on lymphatic transport was studied in rats. The water-in-oil-type of emulsion and the oil-in-water-type emulsion of tegafur each in 50 mg, calculated in terms of tegafur, were prepared by adding tegafur aqueous solution to sesame oil containing hydrogenated castor oil following ultrasonic treatment, and then the prepared emulsions and aqueous solution as a comparative formulation were administered orally to rats (50 mg/5 ml/kg). The concentration levels of tegafur in plasma of femoral artery and lymph from thoracic duct cannula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along a time course after administration and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At the same time, we examined the above described factors of 5-FU which is known as an active metabolite of tegafur. In comparison with tegafur solution, AUC and mean residence time of plasma tegafu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w/o-emulsion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o/w-emulsion. Lymph flow rates were similar in both solution and w/o-emulsion but half in o/w-emulsion. Ratios between area under the lymph and plasma concentration time curves were always less than 1 reflecting the passive lymphatic delivery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the prepared tegafur emulsions, but those to the 5-FU in the case of w/o-emulsion were more than 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ymphatic delivery of tegafur by w/o-emuls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by o/w-emulsion due to its differences of formation ability of chylomicr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