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th Industrial Revolution

검색결과 1,257건 처리시간 0.033초

4차 산업혁명기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운용을 위한 개인정보 보호와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최원상;이종용;신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3-73
    • /
    • 2019
  • 4차 산업혁명기에는 정보통신기술(ICT)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사람과 사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의 수집은 법적으로나 제도적으로 많은 제한이 있다. 따라서 급변하는 사이버 안보환경에서 개인정보의 보호와 이용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기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운용을 위한 개인정보의 보호와 이용에 관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의 구성은 제1장에서는 4차 산업혁명기 개인정보가 갖는 의미를 알아보고,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 검토와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으며, 제3장에서는 주요 국가들의 개인정보의 보호와 이용을 위한 정책을 분석 한 후, 제4장에서는 4차 산업혁명기 개인정보 보호의 패러다임 변화 전망과 대응 방안을 고찰하였으며, 제5장에서는 개인정보의 보호와 이용을 위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4차 산업혁명과 정보통신공사업계의 대응 방안 연구 (Research on Information & Communication Work Business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김서경;류광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139-146
    • /
    • 2019
  •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IoT 등 지능정보기술로 촉발되는 초연결 기반의 지능화 혁명으로, 혁신적 변화에 따른 산업구조의 급진적 변화가 전망됨에 따라 선진 주요국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산업 경쟁력 강화전략 마련해 대응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범국가적 준비는 세계 25위에 불과해 대응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위원회를 출범하는 등 관련 정책과 전략을 마련함에 따라 이를 고려한 정보통신공사업계의 대응 방안(추진과제)을 마련함으로써 산업내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군사로봇 전투개념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Military Robotic Combat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 박상혁;남궁승필;김성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97-401
    • /
    • 2023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기반 우리나라 군(軍) 조직이 미래 전장에서 승리할 수 있는 이정표를 제시하는 측면에서 출발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제 1장 서론은 군사 선진국들이 4차 산업혁명 기반 국방분야의 산업기술 현황이 어떻게 운용되는지 거시적 측면에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출발하며 제 2장 이론적 배경은 우리나라 국방분야의 4차 산업혁명 기술현황과 한국형 전투(선견·선결·선타)개념을 고찰하며 제 3장 군사 선진국의 국방로봇 기술 분석은 미국, 이스라엘, 독일의 무인 전투로봇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국, 미래전은 첨단플랫폼을 기반으로 초연결· 초지능화 군(軍)으로 도약했을 때 전장을 지배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군(軍)도 국방로봇을 전투체계별 특징에 부합되게 연구·개발하고, 군사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적의 사이버 및 전자전·우주 공격 등으로부터 아군의 핵심능력과 중심을 보호할 수 있는 전투수행 개념을 확대·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 최신 기술에 대한 방사선과 대학생의 인식도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Radiological Technology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Latest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장현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25-231
    • /
    • 2022
  • 4차 산업혁명시대 최신 기술을 통해 공간 및 시간의 초월, 가상현실, 증강 현실 등이 구현되고 있다. 현재 인공지능, 증강현실, 빅데이터 등을 경험하고 있는 상황에서 방사선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최신 기술에 대한 관심도와 4차 산업혁명시대 필요한 역량, 4차 산업혁명시대 방사선분야 채용 환경의 전망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22년 2월 7일부터 2월 18일까지 대구시 소재 S대학교 방사선과 재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인식도 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D 모델링 관심도가 평균 3.34 ± 1.0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에 대해서도 보통 이상 3.27 ± 1.17, 3.33 ± 1.07점으로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시대 필요한 역량 인식도와 4차 산업혁명시대 방사선분야 채용 환경 전망 인식도 간 상관성이 가장 높았으며(r=0.778, p<0.01), 4차 산업혁명 최신 기술 관심도와 4차 산업혁명시대 필요한 역량 인식도 간에도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0.694, p<0.01). 4차 산업 혁명시대 3D프린팅,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최신 기술을 다룰 수 있는 전문 교육 강화, 방사선 의료기술분야에서의 최신 기술과 관련된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의 미래상에 대한 사서 인식조사 (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about the Future of Librar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박태연;강주연;김용;김태경;오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03-22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서관에 대한 현장 사서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현황과 미래상을 알아보고 미래 변화에 대한 바람직한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차 산업혁명의 변화를 맞이한 타 분야의 선행 연구들과 도서관 분야의 쟁점들을 살펴보았으며, 국가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포함한 다양한 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도서관의 미래상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높은 관심과 상당 수준의 인지 정도를 보이는 반면, 도서관 현장의 신기술 도입 수준을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도서관 업무에 있어 사서들은 데스크톱 PC와 모바일폰, RFID와 QR코드를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사서들은 지능정보화 서비스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으나, 소속 도서관에서는 지능정보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사서들은 4차 산업혁명이 도서관의 미래 변화에 긍정적인 미래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일자리 감소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들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으며, 특히 기술 관련 교육 및 훈련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또한 온라인 서비스의 영역과 단순반복 업무에 기술의 지원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 of the Learning Content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ubject Requir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나지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1호
    • /
    • pp.90-104
    • /
    • 2021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초등과학 교사 양성을 위해 필요한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에 대해 초등 교사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보고자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하지 않으며 학습 내용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초등교사가 다수 있었다. 초등 교사들이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주로 과목의 학습 내용이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을 포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대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과거에 머물러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둘째, 초등 교사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초등 교사를 양성하는 데에 중요하다고 생각한 내용은 주로 학생의 흥미와 호기심, 과학 실험이나 탐구와 관련이 있는 것이었다. 그에 비해 삭제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항목으로는 과학 학습이론, 과학과 교수·학습 모형, 과학의 본성, 영재아 지도가 있었다. 셋째, 초등 교사들이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으로 추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내용은 SSI 교육, 과학교육 관련 사회 변화와 미래예측, 첨단과학기술, STEAM 지도, 과학 분야 내의 통합교육이었다. 넷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초등 교사 양성을 위해 초등 과학교육학 과목의 학습 내용으로 우선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항목은 SSI 교육, 과학 분야 내의 통합 교육, STEAM 지도와 과학과 핵심역량이었다. 그 외에 추가로 도입될 필요가 있는 내용으로는 소프트웨어교육, 안전교육, 프로젝트 학습법이 있었다.

제4차산업혁명에 대응하는 공공관리의 변화와 향후 과제: 사회-기술시스템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The Challenges of Public Policy Management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진상기;방민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39-47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4차 산업혁명 대응에 있어 사회-기술시스템론적 공공관리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4차 산업혁명의 주요 개념과 논의점 검토와 함께 해외 선도국가들의 대응 전략을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술 중심에서 벗어나 사회적 난제 해결과 인간중심의 사회 혁신을 위해 제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정부 정책기조의 변화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즉 제4차 산업혁명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수직적, 계층적, 분화적, 기계적 정부시스템을 과감히 탈피하고, 사회-기술시스템론적 공공관리 방식을 강조해야 한다고 보았다. 향후 정부의 정책 방향은 혁신을 확산할 수 있는 창발적이며 내재적인 모습을 보여야 하며, 정부조직과 정부운영방식의 재설계, 정부 정책영역의 재설정과 이를 입법적으로 뒷받침하는 입법행정의 공조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제4차 산업혁명 대응성 강화를 위한 정책연구의 첫 논의라는 점에 의미가 있으며 후속연구가 이러지기를 바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최신 기술을 활용한 가정과교육에 대한 가정과교사의 관심과 인식 (Home Economics Teachers' Concern and Perception about Home Economics Education Using the Latest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김의정;이원준;정도하;조성미;채정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673-68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me economics (HE) teachers' concerns about and perceptions of HE education using the latest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reveal whether they differ according to teachers'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o measure HE teachers' concerns and perceptions of HE education using the latest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conducted online using the Google Questionnaire from which 150 responses were receiv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HE teachers scored an average of 3.46 out of 5 for the latest technology. Among these interests in the latest technology, interest i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scored the highest at an average of 3.80, while interest in "neural network machine learning" (2.78) was low. HE teacher's concerns about HE education using the latest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high, with an average score of 4.40. Among these concerns for the latest technology, "concern about the results of HE education using the latest technology" scored the highest at 4.53. HE teachers' anxiety about the latest teaching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moderate, averaging 3.05. The highest form of anxiety was "anxiety about the impact on the job" (4.03) and the lowest was fear of "the disappearance of the teacher's job" (2.50). HE teachers' innovation resistance to the latest teaching technology was low at 2.18. Expectations of the latest technology in HE class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veraged 3.85,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of 3.

Digital Distribution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ed on the Beauty Industry

  • Hye Jeong, KOO;Ki Han, KWON
    • 산경연구논집
    • /
    • 제14권2호
    • /
    • pp.21-33
    • /
    • 2023
  • Purpose: After using the Internet, the world is changing through several paradigms, and the retail industry, which is essential to living in the world, is also changing rapidly. In this review paper, the requirements that the retail industry should consider and prepare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 changing paradigm were reviewed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im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t is a review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using PRISMA flow diagram, retail change, and necessity in April 2022, and a review of the digital environment to be applied to the retail industry in the future. Results As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nges of retail, and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reviews on the retail business apply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nternet of Thing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collected, and the direction of the retail industry was suggested. Conclusions: The direction for the retail industry in preparation for developing technologies was presented. In addition, this study is a review paper that suggests the need for research on activ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to the beauty market that is very close to human life and economically helpful as IT technology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s rapidly.

4차 산업혁명 시대 Electronic Security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Securit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김민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09-114
    • /
    • 2020
  • 지식정보사회 기반의 기술혁신은 현재 4차 산업혁명((4IR, Fourth Industrial Revolution)로 접어들면서 기존의 3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기술혁신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융·복합적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기 위한 혁신적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른 보안영역도 3차 산업혁명과는 구별되어지는 핵심기술인 방대한 양의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분석·가공하여 얻어진 정형화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좀 더 정확하게 예측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상물리보안시스템(CPSS, Cyber-Physical Security System)을 제안하여 Electronic Security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