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point bending

검색결과 501건 처리시간 0.027초

FOWLP Cu 재배선 적용을 위한 절연층 경화 온도 및 고온/고습 처리가 Ti/PBO 계면접착에너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lectric Curing Temperature and T/H Treatment on the Interfacial Adhesion Energies of Ti/PBO for Cu RDL Applications of FOWLP)

  • 손기락;김가희;박영배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2-59
    • /
    • 2023
  • 팬 아웃 웨이퍼 레벨 패키지의 Cu 재배선층 적용을 위해 Ti 확산방지층과 폴리벤즈옥사졸(polybenzoxazole, PBO) 절연층 사이의 계면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PBO 경화 온도 및 고온/고습 시간에 따라 4점 굽힘 시험으로 정량적인 계면접착에너지를 평가하였고, 박리계면을 분석하였다. 175, 200, 및 225℃의 세 가지 PBO 경화 온도에 따른 계면접착에너지는 각각 16.63, 25.95, 16.58 J/m2 로 200℃의 경화 온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박리표면에 대한 X-선 광전자 분광분석 결과, 200℃에서 PBO 표면의 C-O 결합의 분율이 가장 높으므로, M-O-C 결합이 Ti/PBO 계면접착 기구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200℃에서 경화된 시편을 85℃/85% 상대 습도에서 500시간 동안 고온/고습 처리 하는 동안 계면접착에너지는 3 .99 J/m2까지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고온/고습 처리동안 Ti/PBO 계면으로의 지속적인 수분 침투로 인해 계면 근처 PBO의 화학결합이 약해져서 weak boundary layer를 형성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나노 입자가 시멘트 모르타르의 파괴인성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noparticles on the Fracture Toughness of Cement Mortar)

  • 최승원;백초원;이선열;뉘엔 반 통;김동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332-340
    • /
    • 2023
  • 이 연구는 나노 입자의 혼입이 시멘트 모르타르의 파괴인성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탄소나노튜브 (carbon nanotube, CNT), 나노실리카 (nanosilica. NS), 그리고 나노 탄산칼슘 (nano calcium carbonate, NC)가 각각 혼입된 시멘트 모르타르의 3점 재하 휨강도, 압축강도, 슬럼프 실험을 수행하였다. 물시멘트비, 잔골재시멘트비가 각각 0.45, 1.5인 모르타르에 19.5 mm 강섬유가 0, 2 vol.% 혼입된 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하였다. 나노 입자 혼입은 시멘트 모르타르의 파괴인성치와 압축강도를 일부 향상시켰다. 그러나 강섬유가 보강된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우 나노 입자 혼입은 모르타르 유동성을 저하하여 강섬유의 분산도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여 오히려 파괴인성치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나노 입자의 혼입으로 인한 모르타르의 유동성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AGING EFFECT Of K3B/IM7 IN $80^{\circ}C$ WATER

  • Kim Hyungwon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1-34
    • /
    • 2005
  • 미세균열이 생기기 전 $80^{\circ}C$ 물속에서 침수시간이 변함에 따른 $Avimid^{R}$ K3B/IM7 복합재의 습기노화현상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80^{\circ}C$ 물속에서 복합재의 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는 수지 강성의 저하나 잔류응력의 변화 그리고 섬유와 수지 사이의 계면 손상이다. $80^{\circ}C$ 물속에서 수지에 습기가 포화되는 시간은 500 시간이며 K3B/IM7 복합재에 습기가 포화되는 시간은 100 시간이다. $80^{\circ}C$ 물속에서 수지가 500 시간 가속노화한 후 DSC 시험을 한 결과 $T_{g}는 1\%$ 이내 증가하였으며 무게는 $1.55\%$증가하였다. $80^{\circ}C$ 물속에서 수지의 습기 포화 속도가 복합재의 습기 포화 속도 보다 빨랐다. 500 시간 노화한 후 수지의 파괴인성은 $37\%$ 저하하였으며 100 시간 노화한 후 [+45/0/-45/90]s K3B/IM7 복합재의 미세균열 파괴인성은 $28\%$ 감소하였다.

  • PDF

초소형비행체를 이용한 자율이동로봇의 경로탐색 및 방향제어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Mobile Robot using Searching Algorithm and Driving Direction Control with MAV)

  • 김상헌;이동명;정재영;김관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105-119
    • /
    • 2003
  • 일반적인 로봇시스템은 자신이 이동해야 할 목표 지점을 자율적으로 생성할 수 없으므로 어떤 다른 시스템의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을 탐색하거나 장애물을 인식하고 식별하여 자신의 제어전략을 수립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시스템은 초소형 비행체를 이용하여 주위 환경과 자율 이동로봇의 위치 정보를 탐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의 성능은 로봇이 위치하고 있는 주위의 불완전한 정보로부터 적절한 결론을 유도해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비선형적인 문제는 현재까지도 문제 해결을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이동로봇의 행동 환경을 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는 비선형 시스템인 초소형 비행체에 극초단파(UHF16채널)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호스트 PC로 전송하고 호스트 PC는 로봇의 현재 위치, 이동해야 할 목표위치, 장애물의 위치와 형태 등을 분석한다. 분석된 결과 파라메타는 RF-Module을 이용해서 로봇에 전송하고, 로봇은 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동작하게 된다. 로봇이 오동작 또는 장애물로 인해 정확한 목적지까지 도달하지 못할 때 호스트 PC는 새로운 최단경로를 생성하거나 장애물을 회피 할 새로운 전략을 로봇에게 보내준다. 본 연구에 적용한 알고리즘은 초소형 비행체에서 탐지한 불완전한 영상정보에서도 비교적 신뢰도 놀은 결과를 보이는 A*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적용한 알고리즘은 실험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었으며, 자율 이동로봇의 충돌회피나 최단 경로 생성과 같은 문제를 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과 타당성을 검토하였다.delta}textitH]$를 도출하였다.rc}C$에서 30 ㎫의 압력으로 1시간동안 행하였다 소결한 시편들은 직사각형 형태로 가공하였으며 표면은 0.5$\mu\textrm{m}$의 다이아몬드 입자로 연마하였다. XRD, SEM 및 TEM을 이용하여 상분석 및 미세조직관찰을 행하였다. 파괴강도는 3중점 굽힘 법으로 (3-point bending test) 측정하였다. 이때 시편 하부의 지지 점간의 거리는 30mm, cross-head 속도는 0.5 mm/min으로 하였고 5개의 시편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ell/\textrm{cm}^3$, 혼합재료 3은 0.123$\ell/\textrm{cm}^3$, 0.017$\ell/\textrm{cm}^3$, 혼합재료 4는 0.055$\ell/\textrm{cm}^3$, 0.016$\ell/\textrm{cm}^3$, 혼합재료 5는 0.031$\ell/\textrm{cm}^3$, 0.015$\ell/\textrm{cm}^3$, 혼합재료 6은 0.111$\ell/\textrm{cm}^3$, 0.020$\ell/\textrm{cm}^3$로 나타났다. 3. 단일재료의 악취흡착성능 실험결과 암모니아는 코코넛, 소나무수피, 왕겨에서 흡착능력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황화수소는 펄라이트, 왕겨, 소나무수피에서 다른 재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 PDF

임플란트 고정체의 platform의 크기에 따른 유한요소법적 응력분석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OF IMPLANT PROSTHESIS ACCORDING TO PLATFORM WIDTH OF FIXTURE)

  • 정경민;정재헌;정승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74-688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 With increasing demand of the implant-supported prosthesis, it is advantageous to use the different platform width of the fixture according to bon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patient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loading distributing characteristics of two implant designs according to each platform width of fixture, under vertical and inclined loading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Material and method : The two kinds of finite element models were designed according to each platform width of future (4.1mm restorative component x 11.5mm length, 5.0mm wide-diameter restorative component x 11.5mm length). The crown for mandibular first molar was made using UCLA abutment. Each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was created with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mplant and surrounding bone. This study simulated loads of 200N at the central fossa in a vertical direction, 200N at the outside point of the central fossa with resin filling into screw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200N at the buccal cusp in a 300 transverse direction individually Von Mises stresses were recorded and compared in the supporting bone, fixture, and abutment screw. Results : The stresses were concentrated mainly at the cortex in both vertical and oblique load ing but the stresses in the cancellous bone were low in both vertical and oblique loading. Bending moments resulting from non-axial loading of dental implants caused stress concentrations on cortical bone. The magnitude of the stress was greater with the oblique loading. Increasing the platform width of the implant fixture decreased the stress in the supporting bone, future and abutment screw. Increased the platform width of fixture decreased the stress in the crown and platform. Conclusion : Conclusively, this investigation provides evidence that the platform width of the implant fixture directly affects periimplant stress. By increasing the platform width of the implant fixture, it showed tendency to decreased the supporting bone, future and screw. But, further clinical studies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ideal protocol for the successful placement of wide platform implants.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의 절삭손상 식각 조건에 의한 곡강도 변화 (Effect of Saw-Damage Etching Conditions on Flexural Strength in Si Wafers for Silicon Solar Cells)

  • 강병준;박성은;이승훈;김현호;신봉걸;권순우;변재원;윤세왕;김동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617-622
    • /
    • 2010
  • We have studied methods to save Si source during the fabrication process of crystalline Si solar cells. One way is to use a thin silicon wafer substrate. As the thickness of the wafers is reduced, mechanical fractures of the substrate increase with the mechanical handling of the thin wafers. It is expected that the mechanical fractures lead to a dropping of yield in the solar cell process. In this study,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220-micrometer-solar grade Cz p-type monocrystalline Si wafers were investigated by varying saw-damage etching condi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flexural strength of ultra-thin monocrystalline Si solar cells. Potassium hydroxide (KOH) solution and tetramethyl ammonium hydroxide (TMAH) solution were used as etching solutions. Etching processes were operated with a varying of the ratio of KOH and TMAH solutions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After saw-damage etching, wafers were cleaned with a modified RCA cleaning method for ten minutes. Each sample was divided into 42 pieces using an automatic dicing saw machine. The surface morphologies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3D optical microscopy. The thickness distribution was measured by micrometer. The strength distribution was measured with a 4-point-bending tester. As a result, TMAH solution at $90^{\circ}C$ showed the best performance for flexural strength.

안면부 여과식 방진마스크와 안경 동시 착용 시 불편감과 밀착계수 비교 (Effects of Wearing between Respirators and Glasses Simultaneously on Physical and Visual Discomforts and Quantitative Fit Factors)

  • 어원석;최영보;신창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2-60
    • /
    • 2018
  •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s of the fit factor by the order of wearing preference between Particulate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s(PFFR) and glasses when participants wore simultaneously and a survey of physical and visual complaint. Recognition level about fit of respirators was investigated and the educational (before- and after-) effect of the fit factor. When participants wore PFFR and glasses, physical complaints were nose pressure, slipping, nose and ear pressure, ear pressure and rim loosen, the most highly physical complaints were nose pressure. Visual complaints were demister, blurry vision, dizziness, visual field, and lens dirty, the most highly visual complaints were demister.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complaint such as nose pressure(10.3%), slipping (23.0%), nose and ear pressure(14.3%), and rim loosen(16.2%), visual complaint such as visual field(13.8%) and lens dirty(32.4%). For the recognition of fit of respirators, respirators fitness, leak site, an initial point and an object, faulty factor, recognition level was higher. Fit factor was increased after education of proper wearing of respirator. Change of the fit factor was smaller compared to the normal breathing and after 6 actions in case of after education.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visual complaint, recognition of fit. Complaints were measured after the QNFT with multiple choices. Quantitative fit factor was measured by device and compared the result of (before- and after-) educational effect. Also, we selected to 6 actions (Normal breathing, Deep breathing, Bending over, Turning head side to side, Moving head up and down, Normal breathing) among 8 actions OSHA QNFT (Quantitative Fit testing) protocol to measure the fit factors. The fit factor was higher after the training (p=0.000).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Wilcox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scribe the result of questionnaire and fit test. (P=0.0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research such as training program and glasses fitting factor about the wearing of PFFR and glasses simultaneously.

6절점 2차원 및 16절점 3차원 등매개변수 요소의 가우스 적분점 수정을 이용한 강제진동 해석 (The Forced Motion Analyses by Using Two Dimensional 6-Node and Three Dimensional 16-Node Isoparametric Elements with Modification of Gauss Sampling Point)

  • 김정운;권영두
    • 전산구조공학
    • /
    • 제8권4호
    • /
    • pp.87-97
    • /
    • 1995
  • 2차원 유한요소 모델의 동일한 형상과 하중 조건에 있어서 6절점 요소의 굽힘 강성은 8절점 요소의 굽힘 강성보다 더 크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현상은 3차원 16절점 요소와 20절점 요소에서도 나타나며, 완전 요소의 중간 절점들을 제거하므로 인하여 나타난다. 따라서 이 현상을 상대적 강성강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강성강화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가우스 적분점 수정법을 도출하였으며, 이 방법은 확장적인 강성과 같이 다른 종류의 강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며, 또한 패취시험을 통과하였다. 적분점 수정량은 재료의 포아송비의 함수로 나타나며, 2차원 평면응력 상태와 평면변형율 상태에 대한 두개의 수정식을 구하였고, 또한 3차원 고체요소에 대하여 확장하였다. 가우스 적분점 수정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보와 판의 자유 및 강제운동 문제를 해석하였으며, 등방성 적층 보와 판에 대해서도 단층보와 단층판과 같은 방법으로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 PDF

CFRP 스트립 표면매립공법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거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Shear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Near Surface Mounted CFRP Strips)

  • 한상훈;홍기남;신병길;임진묵;곽소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78-18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CFRP 표면부착 공법의 대안으로 최근에 관심을 끌고 있는 NSM(Near Surface Mounted)기법으로 전단 보강된 RC 부재의 전단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과 해석을 수행하였다. 전단철근이 없는 7개의 실험체에 대해 4점 휨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변수로는 CFRP 스트립의 경사($45^{\circ}$, $90^{\circ}$)와 스트립의 간격(250mm, 200mm, 150mm, 100mm)이 고려되었다. 실험적 연구를 통해 NSM공법으로 전단 보강된 RC 부재의 전단강도와 파괴모드에 대한 각 실험변수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45^{\circ}$ 경사로 스트립을 보강한 실험체들은 스트립의 파단으로 파괴된 반면, 수직으로 스트립을 보강한 실험체들은 스트립의 슬립으로 파괴됨을 보였다. 또한, $45^{\circ}$ 경사 스트립이 수직 스트립보다 전단저항력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파괴시의 처짐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RBSN 해석은 NSM기법으로 전단 보강된 RC 부재의 균열형상 및 하중-처짐관계를 적절하게 예측하였다.

Transbuccal versus transoral approach for management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a prospective,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 Khandeparker, Purva Vijay Sinai;Dhupar, Vikas;Khandeparker, Rakshit Vijay Sinai;Jain, Hunny;Savant, Kiran;Berwal, Vikas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2권3호
    • /
    • pp.144-150
    • /
    • 2016
  • Objectives: We compared the transbuccal and transoral approaches in the management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Sixty patients with mandibular angle fractur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A, transoral approach; group B, transbuccal approach) who received fracture reduction using a single 2.5 mm 4 holed miniplate with a bar using either of the two approaches. Intraoperatively, the surgical time and the ease of surgical assess for fixation were noted. Patients were followed at 1 week, 3 months,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and evaluated clinically for post-surgical complications like scarring, infection, postoperative occlusal discrepancy, malunion, and non-union. Radiographically, the interpretation of fracture reduction was also performed by studying the fracture gap following reduction using orthopantomogram tracing. The data was tabulated and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A P -value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between the two groups for variables like surgical time and ease of fixation. Radiographic interpretation of fracture reduction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group B from points B to D as compared to group A. No cases of malunion/non-union were noted. A single case of hypertrophic scar formation was noted in group B at 6 months postsurgery. Infection was noted in 2 patients in group B compared to 6 patients in group A. There was significantly more occlusal discrepancy in group A compared to group B at 1 week postoperatively, but no long standing discrepancy was noted in either group at the 6 months follow-up. Conclusion: The transbuccal approach was superior to the transoral approach with regard to radiographic reduction of the fracture gap, inconspicuous external scarring, and few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 preferred the transbuccal approach due to ease of use, minimal requirement for plate bending, and facilitation of plate placement in the neutral mid-point area of the mand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