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Hydroxybenzoic acid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4초

발효처리가 인삼잎의 진세노사이드 및 페놀산 조성 변화와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Ginsenoside,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Significances of Fermented Ginseng Leaf)

  • 이가순;성봉재;김관후;김선익;한승호;김현호;백남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94-120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인삼잎이 인삼뿌리보다 사포닌 함량이 높은 부위로서 식품 소재로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인삼잎을 이용하여 차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삼잎을 발효시켜 진세노사이드 조성 및 형태별 페놀산 조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인삼잎을 침출시켜 침출액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인삼잎에서 진세노사이드는 10종이 검출되었고 주된 진세노사이드는 ginsenoside-Rg1(26.0 mg/g), -Re(47.3 mg/g) 및 -Rd(23.9mg/g)이었고 발효에 의하여 ginsenoside-Rh2, -Rh1, -Rg2 및 -Rg3는 증가하였으며 특히 Rg3는 15배가 증가하였다. 인삼잎의 총 폴리페놀성 함량은 350.4 mg%이었고 발효인삼잎은 312.5 mg%으로 발효에 의해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인삼잎의 페놀산은 결합형은 검출되지 않았고, 유리형과 에스테르형이 각각 8 및 6종이 검출되었으며 그중에서 ferulic acid가 각각 12.6 및 50.7 mg%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발효인삼잎에서는 ferulic acid는 상당량이 감소하였으나 protocatechuic acid, p-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의 3종의 페놀산이 유리형, 에스테르형 및 결합형 모두에서 상당량 증가하여 총 함량이 각각 28배, 5배 및 7.8배 증가하였다. 인삼잎을 침출시킨 액을 이용하여 전자공여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자공여능은 발효에 의하여 활성이 증가하지는 않았으나, tyrosinase 저해활성은 증가하여 $500\;{\mu}L/mL$ 농도로 첨가 시 46.5%를 나타내어 무발효인삼잎에 비하여 2배 이상 증가하여 시판녹차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고려인삼과 장뇌삼의 페놀성 성분 비교 연구 (Differences in Phenolic Compounds between Korean Ginseng and Mountain Ginseng)

  • 유병삼;이호재;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20-124
    • /
    • 2000
  • 한국산 재배인삼과 장뇌산삼 그리고 중국산 장뇌산삼에 포함되어 있는 총 페놀성 성분 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개별적인 페놀성 성분들의 함량에서는 몇 가지 특정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Cinnamic acid와 p-hydroxybenzoic acid는 재배인삼보다 장뇌산삼에서 각각 3~4배, 2~3배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Esculetin은 한국산 재배인삼과 장뇌산삼에서 중국산 장뇌산삼보다 더 높은 함량 수준을 나타내었는데, KM-1의 경우 $47.2\mu\textrm{g}/g$으로 가장 높았다. Ferulic acid와 caffeic acid의 경우 KM-2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는데, 인삼의 적변현상에 관련된 성분으로 사료된다. Ester 상태의 총 페놀성 성분 함량은 장뇌산삼에서 재배인삼보다 3~4배 더 높았다. Panax ginseng에 포함되어 있는 페놀성 성분들은 완전한 성장연령이 지난 후에는 총 함량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개별적인 페놀성 성분 함량과 존재 형태에 있어서는 서식지별 또는 재배방법 등에 따라 구분되는 함량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Bromoxynil 특이성 nitrilase 유전자를 이용한 제초제 저항성 형질 전환 식물의 분자육종 (Molecular breeding of herbicide resistant transgenic plants with bromoxynil specific nitrilase gene)

  • 민복기;박은성;박연홍;송재영;이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4호
    • /
    • pp.248-254
    • /
    • 1994
  • Bromoxynil은 쌍떡잎 특이적 제초제로써 폭 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반감기가 매우 짧다. Bromoxynil을 3,5-dibromo-4-hydroxybenzoic acid로 분해하는 nitrilase를 암호화한 bxn 유전자를 식물 벡터인 pGA482에 도입하고 Agrobacterium과의 동시배양을 통해 담배와 상추에 형질전환하였다. Kanamycin을 이용해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별하고 완전한 식물체로 분화시켰다. Northern hybridization을 통해 bxn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검정하고 liaf-disc와 pot assay를 통해 형질전환 식물체가 고농도의 bromoxynil에 저항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알팔파 연작장해에 관여하는 타감작용 물질의 탐색 및 생물검정 (Bioassay of Allelopathy Substance Related Injury by Successive Cropping in Alfalfa(Medicago sativa L.))

  • 전인수;김명조;허장현;유창연;조동하;김이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28-235
    • /
    • 1997
  • 알팔파 종자와 재배지 토양의 추출물이 알팔파 및 무우의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물질을 구명코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알팔파 종자 추출물의 무우생육에는 Luna, Sparta, Magnum, Husky, Milkmaker, Challenger, Anchor의 7개 품종에서 60∼80% 생육억제 효과를 보였다. 2) 알팔파 재배지 토양잔류추출물을 이용한 무우생육조사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발아억제 및 줄기, 뿌리 등의 생장억제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알팔파 재배토양으로 알팔파와 무우 생육실험시에는 80%의 발아억제를 보이면서 줄기와 뿌리의 길이 및 생체중에서도 큰 차이를 보여 allelopathy와 autotoxicity가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위 실험을 통해 관여하는 물질의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조사한 결과 표준 phenol compounds와 식물부위별 추출물을 비교 분석하였더니 salicylic acid, p-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등의 7가지 acids를 분리동정 할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ITS METABOLITE ON THE UPTAKE OF TAUROCHOLATE IN PRIMARY CULTURE OF ADULT RAT HEPATOCYTES

  • Dong, Mi-Sook;Choe, Suck-Young;Yang, Kyu-Hwa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9-15
    • /
    • 1989
  • The effect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its major metabolite, 3, 5-di-tert-butyl-4-hydroxybenzoic acid (BHT-acid) on the uptake of taurocholate into hepatocytes was studied using the primary culture of rat hepatocytes. Hepatocyte were isolated by an in situ collagenase perfusion technique and maintained as a monolayer in serum-free meadia for 24 hours before use. The uptake of taurocholate was saturable with an apparent Km of 12.8+2.8 MuM and Vmax of 0.18+0.01 nmol/mg/min. Both BHT and BHT-acid inhibited the hepatocellular uptake of taurocholate when they were added to the culture.

  • PDF

Aspergillus awamori와 Zymomonas mobilis로 구성된 혼합고정화 배양계의 에탄올 생산에 미치는 Neupectin-L의 영향 (Effect of Neupectin-L on Ethanol Production from Raw Starch Using a Co-Immobilized Aspergillus awamori and Zymomonas mobilis)

  • 이상원;조용운;김홍출;박석규;성낙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89-94
    • /
    • 1997
  • Aspergillus awamori(A)와 Zymomonas mobilis(Z)로 구성된 혼합고정화 배양계(A-Z 36계)의 특성을 이용하여 생전분으로 부터 직접 에탄올생산을 행할 때 투입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목적으로 비가열살균 배양법을 검토하였다. A-Z 36계에 의한 비가열살균 배양은 배지에 함유된 세균 때문에 어려웠다. Sorbic acid, benzoic acid, dehydroacetic acid, p-hydroxybenzoic acid, Vantocil IB, Neupectin-L 등의 여러 가지 살균제 중에서 Vantocil IB와 Neupectin-L은 잡균의 오염없이 대조구와 비슷한 속도로 기질을 분해하였다. 0.1% Neupectin-L은 대조구보다 약간 높은 6.9 g/l(대조구 : 6.4 g/l)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Y_{p/s}:0.39)$. 0.1% Neupectin-L을 첨가한 유가배양에서는 2%기질을 기본으로 5회분의 기질을 첨가하여 34 g/l 에탄올을 얻어 2.0 g/l/day의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 PDF

Phytochemical Studies on Magnoliae Flos (I) Isolation of Lignans from the Flower Buds of Magnolia biondii

  • Lee, Dong Hwa;Kwon, Soon Youl;Woo, Mi Hee;Lee, Je Hyun;Son, Kun H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160-165
    • /
    • 2013
  • The 12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MeOH extract of Magnolia biondii an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seven lignans, two phenolics, one coumarin, and two flavonoid compounds, respectively. Among these constituents, tiliroside (3), kaempferol-7-methyl ether (4), 4-hydroxybenzoic acid (5), vanilic acid (6), and scopoletin (9) were isolated from Magnolia biondii for the first time.

Phytochemical and Biological Investigation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Growing in Egypt

  • El-Dien, Omnia Gamal;Shawky, Eman;Aly, Amal H.;Abdallah, Rokia M.;Abdel-Salam, Nabil 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152-159
    • /
    • 2014
  • A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growing in Egypt, has been carried out, which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seven compounds from the different extracts of the plant namely; ${\beta}$-sitosterol glucoside, tricin (1) dihydroferulic acid (2), vanillic acid (3), 4-hydroxybenzoic acid (4), uracil (5) and 8-hydroxy cuminoic acid (6) Structure elucidation of the isolated compounds was carried out using different spectroscopic techniques. This is the first report for the isolation of these compounds from genus Spergularia. Furthermore, 8-Hydroxy cuminoic acid and uracil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family Caryophyllacea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volatile components present in the petroleum ether extract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using combine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is reported here for the first time. Of the 97 components present, 59 were identified including three sulfur containing compounds which represented about 1.8% of the volatiles of the total petroleum ether extract. This prompted us to study and report its possible antimicrobial activity. In addition, the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screening of different extracts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as well as some isolates have been performed using agar diffusion method.

왕모시풀의 페놀성 성분 및 항당뇨 활성 (Phenolic Constituents of Boehmeria pannosa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 류세환;김선범;연상원;투르크 아이만;조양희;황방연;안미정;이미경
    • 생약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39-244
    • /
    • 2019
  • Boehmeria pannosa (Urticaceae) is a perennial herb widely distributed in Korea. In this study, investigation on the constituents of B. pannosa was conducted by chromatographic techniques and spectroscopic analysis. As a result, nine compounds including eight phenolic compounds, 3-hydroxy-1-(4-hydroxyphenyl)propan-1-one (1), β-hydroxypropiovanillone (2), C-veratroylglycol (3), 3-hydroxy-1-(4-hydroxy-3,5-dimethoxyphenyl)-propan-1-one (4) 2,3-dihydroxy-1-(4-hydroxy-3,5-dimethoxyphenyl) -1-propanone (5), p-coumaric acid (6), 4-hydroxybenzoic acid (7), vanillic acid (8) and one lignan, (-)-(7R,8S)-dihydrodehydrodiconiferyl alcohol (9) were isolated from the EtOAc-soluble fraction of B. pannosa. Among them, compounds 5, 6 and 9 inhibite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more than 50% at the concentration of 100 μM.

In vitro Free Radical Scavenging and Hepatoprotective Compound from Sanguisorbae Radix

  • An, Ren-Bo;Tian, Yu-Hua;Oh, Hyun-Cheol;Kim, Youn-Chul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1권3호
    • /
    • pp.119-122
    • /
    • 2005
  • In the course of searching for hepatoprotective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four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MeOH extract of Sanguisorbae Radix, as guided by thei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structures were determined as 4,5-dimethoxy-3-hydroxybenzoic acid methyl ester (1), (+)-gallocatechin (2), methyl $6-O-galloyl-{\beta}-D-glucopyranoside$ (3), and pomolic acid $3-O-[{\alpha}-L-arabinopyranoside]-28-O-[{\beta}-D-glucopyranosyl]$ ester (ziyu-glycoside I) (4). Compounds 2 and 3 showed significan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exhibiting $IC_{50}$ values of 11.4 and $13.0\;{\mu}M$, respectively. L-Ascorbic acid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and exhibited the $IC_{50}$ value of $50.3\;{\mu}M$. In evaluation of the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the isolated compounds on drug-induced cytotoxicity, compound 2 showed the significant hepatoprotective effect with the $EC_{50}$ value of $91.84\;{\pm}\;11.0\;{\mu}M$ on tacrine-induced cytotoxicity in Hep G2 cells, while silybin, a positive control, exhibited $EC_{50}$ value of $122.4\;{\pm}\;12.5\;{\m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