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

검색결과 425,407건 처리시간 0.177초

Identification of Protein Phosphatase 4 Inhibitory Protein That Plays an Indispensable Role in DNA Damage Response

  • Park, Jaehong;Lee, Jihye;Lee, Dong-Hy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2권7호
    • /
    • pp.546-556
    • /
    • 2019
  • Protein phosphatase 4 (PP4) is a crucial protein complex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NA damage response (DDR), including DNA repair,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PP4, the mechanism by which PP4 is regulated remains to be elucidated. Here, we identified a novel PP4 inhibitor, protein phosphatase 4 inhibitory protein (PP4IP) and elucidated its cellular functions. PP4IP-knockout cells were generated using the CRISPR/Cas9 system, and the phosphorylation status of PP4 substrates (H2AX, KAP1, and RPA2) was analyzed. Then we investigated that how PP4IP affects the cellular functions of PP4 by immunoprecipitation, immunofluorescence, and DNA double-strand break (DSB) repair assays. PP4IP interacts with PP4 complex, which is affected by DNA damage and cell cycle progression and decreases the dephosphorylational activity of PP4. Both overexpression and depletion of PP4IP impairs DSB repairs and sensitizes cells to genotoxic stress, suggesting timely inhibition of PP4 to be indispensable for cells in responding to DNA damage. Our results identify a novel inhibitor of PP4 that inhibits PP4-mediated cellular functions and establish the physiological importance of this regulation. In addition, PP4IP might be developed as potential therapeutic reagents for targeting tumors particularly with high level of PP4C expression.

건율제조탕이 CCl4로 유발(誘發)된 간손상(肝損傷) 백서(白鼠)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Gunyuljejo-tang on the CCl4-induced Liver Damage in Rat)

  • 김정렬;김혁;양상묵;김달래;전종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96-107
    • /
    • 2004
  • 1.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unyuljejo-tang on the $CCl_4$-induced Liver Damage in Rats. 2.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re devided into 5 experimental groups : Normal, $NS+CCl_4$(Solid extract of $CCl_4$ injection group after Normal Saline feed), $GYJJT+CCl_4$(Solid extract of $CCl_4$ injection group after Gunyuljejo-tang feed), $CCl_4+NS$(Normal Saline feed group after $CCl_4$ injection), $CCl_4+GYJJT$(Solid extract of Gunyuljejo-tang feed group after $CCl_4$ injection). Biochemical assays for serum enzyme activities such as AST, ALT, ALP, BUN, Creatinine, Uric Acid, Total Protein, Album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and mRNA Revelation of Cytochrome p450 and activities such as LPO, GSH, GST, Glutathione Reductase, Glutathione Peroxidase, SOD, Catalase, Hydroxyproline, and ${\beta}$-Glucuronidase were performed. 3. Results (1) $GYJJT+CCl_4$ showed lower revelation of Cytochrome p450. (2) $GYJJT+CCl_4$ showed higher GSH activity than $NS+CCl_4$, $CCl_4+GYJJT$ showed higher GSH activity than $CCl_4+NS$ injection significantly. (3) $GYJJT+CCl_4$ showed higher GST activity than $NS+CCl_4$. $CCl_4+GYJJT$ showed higher GST activity than $CCl_4+NS$ significantly. (4) $GYJJT+CCl_4$ showed higher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than $NS+CCl_4$, $CCl_4+GYJJT$ showed higher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than $CCl_4+NS$ significantly. (5) $CCl_4+GYJJT$ showed higher SOD activity than $CCl_4+NS$ significantly. (6) $CCl_4+GYJJT$ showed higher Catalase activity than $CCl_4+NS$ significantly. (7) $GYJJT+CCl_4$ showed lower Hydroxyproline than $NS+CCl_4$ significantly, $CCl_4+GYJJT$ showed higher Hydroxyproline than $CCl_4+NS$ significantly. (8) $GYJJT+CCl_4$ showed higher ${\beta}$-Glucuronidase activity than $NS+CCl_4$, $CCl_4+GYJJT$ showed higher ${\beta}$-Glucuronidase activity than $CCl_4+NS$ significantly. 4. Conclusions Gunyuljejo-tang has the recovering effects on the $CCl_4$-induced Liver Damage significantly.

  • PDF

LC-MS/MS를 이용한 나일론수지제 주방기구 중 4,4'-Diaminodiphenylmethane 이행량 실태조사 (4,4'-Diaminodiphenylmethane Migration from Nylon Kitchen Utensils using LC-MS/MS)

  • 엄미옥;윤혜정;최현철;전대훈;김형일;성준현;박나영;이은준;이영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1-216
    • /
    • 2009
  • 4,4'-diaminodiphenylmethane (4,4'-MDA)는 일차방향족아민 (primary aromatic amino, PAA)류의 일종으로, 최근 유럽에서는 RASFF를 통하여 나일론 재질의 주방용 국자, 주걱 등에서 4,4'-MDA 이행 사례를 보고하고 있어 국내 유통 합성수지제 조리기구 중 4,4'-MDA 이행량 실태를 조사하였다. 4,4'-MDA의 분석을 위하여 0.3 ppb의 정량한계 및 87.6% 이상의 우수한 회수율을 나타내는 LCMS/MS를 이용한 분석방법을 확립하였다. 식품유사용매 물, 4% 초산, 20% 에탄을 및 n-헵탄에 대하여 4,4'-MDA 이행여부를 조사한 결과, 4% 초산 및 20% 에탄올인 경우에는 분석대상 100 품목 중 나일론 재질 14 품목에서, 물인 경우에는 나일론 재질 11 품목에서 식품유사용매로 4,4'-MDA가 이행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n-헵탄을 사용한 경우에는 1개 품목에서만 미량의 4,4'-MDA가 이행되었다. 이중 유럽연합 기준인 0.01 ppm을 초과하는 제품은 2품목이었다.

4배체 포도간 교배된 이상자엽실생으로부터 저·고4배체 식물의 선발 (Selection of Hypo- and Hyper-tetraploid Seedlings from Abnormal Cotyledons Seedlings Obtained during Crossing of Tetraploid Grapes (Vitis Complexes))

  • 박영식;김인종;박성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810-817
    • /
    • 2010
  • 본 실험은 4배체 포도의 방임수분과 인공수분으로부터 획득된 실생으로부터 이상자엽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특히 이들 이상자엽 실생으로부터 저 고4배 식물을 선발하였다. 이상자엽은 크게 5 형태로 구분되었다. 4배체 4품종의 방임수분 실생에서 이상자엽의 발생빈도는 1.6%로 조사되었고, 이상자엽실생 중 이수체 발생율은 20.4%이었다. 4배체 품종의 방임수분에서 얻어진 이수체 식물은 3개체(4n = 4x-2 = 74), 4개체(4n = 4x-1 = 75), 3개체(4n = 4x+1 = 77)로 총 10개체이었다. 4배체 16품종간 교배실생에서 이상자엽의 발생빈도는 3.4%이었다. 이상자엽실생 중 이수체 발생율은 22.0%이었다. 4배체 품종간 교배에서 얻어진 이수체 식물은 2개체(2n = 4x-2 = 74), 9개체(2n = 4x-1 = 75), 1개체(2n = 4x+1 = 77), 1개(2n = 4x+3 =79)로 총 13개체이었다. 본 실험결과 4배체 포도품종간 인공교배를 통해서 얻어진 이상자엽실생들은 대부분 이수체식물로 육묘단계에서 효율적인 선발이 가능성한 것으로 나타냈다.

새로운 1,2-Diazepino[3,4-b]quinoxaline과 Pyridazino[3,4-b]quinoxaline (Synthesis of Novel 1,2-Diazepino[3,4-b]quinoxaline and Pyridazino[3,4-b]quinoxaline Derivatives)

  • 김호식;정극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02-306
    • /
    • 1999
  • Quinoxaline 4-oxide 10을 2-chloroacrylonitrile과 반응시켜 1,3-쌍극성 고리화 첨가반응으로 2,3-dihydro-1H-1,2-diazepino[3,4-b]quinoxaline류 11a, b를 합성하였고, 이들을 2,3,4,6-tetrahydro-1H-1,2-diazepino-[3,4-b]quinoxaline 12로 변환시켰다. 그리고 ??嵐?11a를 아세트산/물 용매에서 SeO2와 반응시켜서 고리변환에 의해 1,4-dihydro-4-oxopyridazino[3,4-b]quinoxaline 13을 합성하였다.

  • PDF

1,2,3,4,5,6-Hexaalkyl-1,4-dibora-2-cyclohexene의 생성과 착물 생성 (Synthesis and Cobalt-Complexes of 1,2,3,4,5,6-Hexaalkyl-1,4-dibora-2-cyclohexene)

  • 엄재국;안희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586-589
    • /
    • 1997
  • 1,2,3,4,5,6-hexaalkyl-1,4-dibora-2-cyclohexene은 $B_2Cl_4$로부터 제조할 수 있었으나, 보통실험실에서는 이것을 제조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방법에 의한 생성을 시도하였다. 즉,1,4-dimethyl-2,3-diethyl-1,4-dibora-2-cyclohexene, 1 유도체를 potassium과 methyl iodide에 의한 환원${\cdot}$산화반응을 시켜주므로 2,3-dietyl-1,4,5,6-tetramethyl-1,4-dibora-2-cyclohexene, 2를 얻을 수 있었다. 또 이 유도체와 ($({\eta}5-C_5H_5Co(C_2H_4)_2$를 반응시켜 코발트 sandwich 착물인 두 종류의 double-decker, 6 그리고 7, 또 한 종류의 triple-decker, 8을 생성하였다.

  • PDF

풀망둑(Acanthogobius hasta) 젖산탈수소효소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Lactate Dehydrogenase in Acanthogobius hasta)

  • 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64-272
    • /
    • 2008
  • 풀망둑(Acanthogobius hasta)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동위 효소의 특성을 생화학적, 면역화학적 및 역학적 방법에 의해 연구하였다. 풀망둑 골격근과 눈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 활성이 65.30과 53.25 units였고, 심장과 간 조직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골격근 조직의 LDH/CS는 22.29로 가장 높고, LDH 특이활성도는 뇌 56.45, 눈 38.04 및 골격근 11.04 units/mg였다. 각 조직에 대해 $A_4,\;B_4$, eye-specific $C_4$, 및 liver-specific $C_4$에 대한 항혈청으로 면역 침강 반응시킨 후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 하였다. 골격근, 뇌 및 눈 조직에서 $A_4$ 동위효소가 우세하게 확인되었고, 심장에서는 $A_4$ 동위효소가 확인되었다. 또한 양극의 eye-specific t와 음극의 liver-specific $C_4$가 한 종에서 함께 발현되었으며, 눈 조직의 eye-specific $C_4$는 활성이 크고 간 조직의 liver-Specific $C_4$의 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결과 $A_4$$C_4,\;A_4$$B_4$ 및 eye-specific $C_4$와 liver-specific $C_4$의 분자구조의 일부가 서로 유사하지만 $B_4$$C_4$의 구조는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하부단위체 A는 보존적이고 하부단위체 B는 하부단위체 A보다 빠르게 진화된 것으로 사료된다. 골격근 조직의 LDH $A_4$ 동위효소는 affinity chromatography에서 $NAD^+$를 함유한 buffer를 유입한 후 용출된 분획에서 정제되었고, eye-specific $C_4$ 동위효소는 $A_4$ 분획에 이어 용출되었으므로 eye-specific $C_4$$A_4$의 분자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LDH에 대한 피루브산의 저해 실험 결과 35.22-43.47% 의 활성이 남았고, $Km_{pyr}$은 0.080-0.098 mM이고 골격근과 눈조직의 Vmax은 153.85와 35.09 units였다. 또한 $B_4$ 동위효소가 열에 대해 가장 안정하였고 $C_4$$A_4$보다 안정하였으며, 최적 pH는 6.5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풀망둑은 저 산소 환경조건에 적응되어져 조직들의 동위효소들이 $A_4$$B_4$ 동위효소 사이의 특성을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1.4-Dibora-2,5-cyclohexadiene 유도체를 리간드로 갖는 니켈 Double-decker 착물의 합성 (Synthesis of Nickel Double-decker Complexes Containing 1,4-Dibora-2,5-cyclohexadiene Derivatives as Ligand)

  • 엄재국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13-218
    • /
    • 2002
  • (${\eta}^5$-Cyclopentadienyl)(${\eta}^6$-1,2,3,4-tetramethyl-1,4-dibora-2,5-cyclohexadiene)Ni(5)는 cyclopentadienyl (carbonyl)-nickel dimer와 1,2,3,4-tetramethyl-1,4-dibora-2-cyclohexene (1)을 반응시켜서 주생성물로 얻었다. Di-allyl nickel과 2,3-diethyl-1,4-dimethyl-1,4-dibora-2-cyclohexene (2)을 -20$^{\circ}C$에서 반응시켜서 bis[${\eta}^6$-2,3-dimethyl-1,4-diethoxy-1,4-dibora-2,5-cyclohexadiene]nickel (6) 착화합물을 15% 수율로 생성하였다. 그리고 야-allyl nickel과 2,3-dimethyl-1,4-diethoxy-1,4-dibora-2-cyclohexene (3)을 역시 -20$^{\circ}C$에서 반응시켜서 22% 수율로 bis[${\eta}^6$-2,3-dimethyl-1,4-diethoxy-1,4-dibora-2,5-cyclohexadiene] nickel (7)을 생성하였다. 이들 double-decker 착화합물들은 불안정하여 분리하기 어려웠으며, NMR, MS, 원소분석 등으로 확인하였다.

벼에 존재하는 CRL4 복합체 scaffold 유전자의 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 (Expression Study on the Scaffold Gene of CRL4 Complex in Rice (Oryza sativa L.))

  • 배유원;김하니;김상훈;이재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1132-1139
    • /
    • 2018
  • 진핵생물에서 유비퀴틴화 과정을 통해 단백질 안정성이 조절되며, E3 ligase는 유비퀴틴화 과정 동안 분해 대상 기질의 결정 및 기질로의 유비퀴틴 전달을 위한 주효소로 작용한다. Multi-subunit E3 ligase의 일종인 cullin4(CUL4)-based E3 ligase (CRL4) 복합체는 식물의 다양한 호르몬, 스트레스와 관련된 세포 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르몬, 스트레스 신호 전달 과정에서 CRL4의 다양한 역할에 대한 보고가 애기장대에서 이루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식량 작물인 벼에서의 CRL4 기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벼에서 CRL4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 내 반응들을 상세히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애기장대 cullin4 (CUL4)의 상동 유전자를 벼에서 동정하고, 조직별 벼 CUL4 유전자의 발현 양상과 다양한 식물 호르몬 및 환경 스트레스 처리에 의한 해당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탐색하였다. 벼 CUL4 유전자인 OsCUL4는 앱시스산, 사이토키닌과 같은 식물 호르몬과 가뭄, 고염 스트레스에 의해 발현량이 급격히 상형 조절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해당 단백질이 앱시스산 및 사이토키닌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 내 반응과 기능적으로 연계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OsCUL4는 CRL4 복합체의 어댑터로 작용하는 OsDDB1과 직접적으로 결합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를 통해 동정한 OsCUL4가 벼에서 실질적으로 CRL4의 scaffold 단백질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OsCUL4 유전자의 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는, 벼에서 CRL4 매개 유비퀴틴화 과정이 관여하는 세포 내 반응을 규명하기 위한 시작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VI 데이터를 이용한 MPEG-4 컨텐츠 저작 (MPEG-4 Contents Authoring using AVI)

  • 이숙영;차경애;김상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하)
    • /
    • pp.618-621
    • /
    • 2002
  • MPEG-4 컨텐츠는 비디오, 오디오 파일을 비롯하여 다양한 타입의 미디어로 구성되는 복합 멀티미디어 데이터이다. 본 논문에서는 MPEG-4 컨텐츠 생산을 위해서 저작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MPEG-4 파일로 생성하는 MPEG-4 컨텐츠 저작 도구를 제안한다. 특히 제안하는 MPEG-4 저작 도구는 AVI 형태의 동영상 자료를 입력 받아, MPEG-4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MPEG-4 장면 저작에 이용할 수 있다. MPEG-4 컨텐츠는 MPEG-4 파일로 구성되며, 장면 구성이 배제된 오디오, 비디오로만 구성된 MPEG-4 파일과 전체 미디어 데이터가 하나의 장면으로 생성된 MPEG-4 파일이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