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륜구동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8초

자동기립이 가능한 차륜형 역진자 시스템 개발 (A Wheeled Inverted Pendulum System with an Automatic Standing Arm)

  • 이세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578-584
    • /
    • 2015
  • 본 연구에서 자동화된 기립 및 복귀 시스템이 적용된 직립주행이 가능한 이동로봇용 구동 플랫폼이 개발되었다. 종래 대부분의 이동로봇은 정역학적으로 안정된 평면형의 4륜 혹은 3륜 구동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이동로봇은 방향 전환을 위해서 독립구동형 혹은 조향형 차륜을 갖추고 있다. 이동로봇이 매우 협소한 지형에서 직각으로 굽은 통로를 주행할 때, 이동로봇은 전후진을 반복하는 등 복잡한 조향동작을 필요로 하거나, 극단적인 경우, 물리적인 조향이 불가능한 경우에 처하게 된다. 직립주행이 가능한 이동로봇은 점유면적이 작은 직립된 상태로 몸체의 형상을 변형시켜 해당 지형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기립(복귀)동작, 확인동작, 평형제어 순으로 각 단계가 수동으로 조작되었던 기립제어 단계가 몸체의 기울기 각도 검출로 자동화되어, 단일 자동제어로 조작되는 차륜형 역진자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차량주행시 동력전달계의 강제진동 해석 (Computer Simulation of Powertrain Forced Torsional Vibration)

  • 최은오;안병민;홍동표
    • 소음진동
    • /
    • 제7권5호
    • /
    • pp.853-860
    • /
    • 1997
  • For this study, the multi-degree of freedom analysis model of torsional vibration was developed. This model is combined with mass moment of inertia and torsional spring in two wheel drive and four wheel drive vehicle. We compared and analyzed torsional vibration characteristics by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which are obtained by free vibration analysis of this model. And we studied torsional vibration contribution of driveline elements by performing the forced vibration analysis of engine excitation torque. The validity of this model is demonstrated by the field test. The reduction effect of the torsional vibration along the driveline design factor is presented by the analytical results.

  • PDF

4WD 차량의 후륜 구동력 제어를 위한 구동시 노면마찰계수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ire Road Friction Estimation for Controlling Rear Wheel Driving Force of 4WD Vehicle)

  • 박재영;심우진;허승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512-519
    • /
    • 2016
  • In this study, the tire road friction estimation(TRFE)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rear wheel driving force of a 4WD vehicle during acceleration is developed using a standard sensor in an ordinary 4WD passenger car and a speed sensor. The algorithm is constructed for the wheel shaft torque, longitudinal tire force, vertical tire force and maximum tire road friction estimation. The estimation results of shaft torque and tire force were validated using a torque sensor and wheel force transducer. In the algorithm, the current road friction is defined as the proportion calculated between longitudinal and vertical tire force. Slip slop methods using current road friction and slip ratio are applied to estimate the road friction coefficient. Based on this study's results, the traction performance, fuel consumption and drive shaft strength performance of a 4WD vehicle are improved by applying the tire road friction estimation algorithm.

4륜구동 직렬형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의 구성품 용량 최적화 연구 (A Study on Optimization of Components Sizing for 4×4 Series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s)

  • 장명언;정순규;한규홍;여승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9-166
    • /
    • 2014
  • The study i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optimization of components sizing for series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s. The components sizing of series type hybrid system is very important because each component of series type is larger than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parallel type or series-parallel type. If the components sizing is greater or less than what is required to this system,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s getting worse. The methodology for the sizing of a driving motor is introduced based on the foundation of determined system configuration and performance target. And the sizing of an engine/generator and a battery is achieved based on simulation results using Dynamic Programming. It is possible to find the optimal sizing of these components by comparing fuel efficiency of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 for 8 driving cycles.

유도전동기 구동을 위한 자동동조 퍼지 PID제어 앨고리즘의 적용 (Application of Auto-tunning Fuzzy PID control Algorithm for Drive System of Induction motor)

  • 윤병도;정재륜;제수형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7권4호
    • /
    • pp.42-50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자동동조 퍼지 PID 제어 앨고리즘을 사용하여 유도전동기 구동방법을 제안하였다. 퍼지제어에서는 수학적인 모델링이 없이 경험적인 정보를 이용하면 제어가 가능하며 퍼지룩업 테이블을 적절히 이용하면 실시간 제어도 가능한 것이 특징이라 볼 수 있다. 또한, 퍼지규칙을 몇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시스템의 변화가 발생되고, 또 파라미터의 변화가 유도 전동기 구동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을 감안, 본 시스템의 고성능, 고정도제어를 위하여 퍼지 앨고리즘을 적용하여 파라미터가 자동동조 기능을 갖는 유도전동기의 구동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으며 그 특성을 기존의 PID 제어방식과 비교하였다.

  • PDF

장애물 극복을 위한 바퀴 로봇의 구동 제어 연구 (A Study on the Driving Control of Wheel Robots to Overcome Obstacles)

  • 선지호;김민규;정세진;박명숙;김상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50-751
    • /
    • 2023
  • 현재 로봇 배달 서비스의 실외 상용화를 위해 다양한 주행 환경에 대한 최적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비평탄 지형에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효율적인 장애물 극복을 위한 로봇 구조를 제시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다리-바퀴 방식을 통한 장애물 극복 로봇과 비교 연구를 진행하며 모터 구동 토크의 이론적인 계산 비교, 모의실험을 통한 검증으로 로봇 설계안의 성능을 평가합니다. 이 연구를 통해 고안한 로봇의 동작을 설명하며, 4륜 주행 로봇의 혁신적인 장애물 극복 설계 방법을 제안합니다.

자동차 등속 조인트 샤프트 길이에 따른 내구성 해석을 통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through Durability Analysis due to the Shaft Length of Automotive Constant Velocity Joint)

  • 최계광;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79-184
    • /
    • 2018
  • 자동차의 구동방식은 전륜구동, 후륜구동, 4륜구동의 방식이 있다. 구동방식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과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여 구동하는 두 가지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부품이 등속 조인트이다. 도로상에서 주행 시에는 노면의 상태에 따라서 동력을 전달하는 부품들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샤프트의 길이가 다른 3개의 등속 조인트 각 모델들은 CATIA로 모델링하였고 ANSYS를 이용하여 구조 및 피로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는 Model 2가 다른 모델 대비 뛰어난 내구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속 조인트 설계를 할 때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사료되며, 등속 조인트의 디자인을 융합기술에 접목하여 미적 감각을 나타낼 수 있다.

MR 유체를 적용한 Multi-Plate Clutch의 최적설계 (Optimal Design of Multi-Plate Clutch Featuring MR Fluid)

  • 박진영;김영춘;오종석;전재훈;정준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7-83
    • /
    • 2020
  • 오늘날 자동차 산업의 기술 발전으로 4륜구동 기술이 승용차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트랜스퍼 케이스용 건식 다판클러치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건식 클러치의 경우 진동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여 승차감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4륜 구동장치의 핵심부품인 트랜스퍼케이스에 있는 다판클러치의 체결시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시키고자 MR유체가 적용된 다판클러치를 제안한다. MR 다판클러치는 유체커플링 모드와 압착모드를 가지게 되며, 최적 설계를 위해 토크모델을 유도하였다. 다판클러치의 설계변수를 최적화를 위해 Ansys Maxwell을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고, 전자기장 해석은 디스크와 플레이트의 수를 변경하였을 때 자기장의 세기를 확인하였으며, 자기장의 세기는 최대 0.45 Tesla가 도출되었다. 이를 토크방정식에 적용하여 플레이트 사이 간격을 2mm로 플레이트의 내경과 외경을 각각 45mm와 55mm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MR 다판클러치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 설계기법을 제안하였다.

비틀림짙동 저감을 위한 추진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Propeller Shaft for Reduction of Torsional Vibration)

  • 최은오;안병민;홍동표;정태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7권7호
    • /
    • pp.221-228
    • /
    • 1999
  • A full-time four wheel drive vehicle is driven literally full time by the front and the rear wheels. Front and rear drive shafts are rotated rapidly in the extremely torsional state, which can cause various vibration and noi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vibration and the noise of the full -time four wheel drive vehicle. In this paper, both the causes and the methods for reduction of torsional vibration are suggested. For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rsional vibration are analyzed by free and forced torsional vibration simulation. And this paper described the influence upon the torsional vibration with emphasis shafting system. The validity of simulation models is checked by the field test. The forced vibration simulation with the variations of shaft design factors are performed by the checked models. According to the simulation , the resonance region shifts and the torque fluctuation varies in the system,. Finally, the methods and the effects for the torsional vibration reduction in driveline are prop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