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T3-L1 cell

Search Result 88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Studies on the Glucose Isomerizing Enzyme -Part II. Some Properties of the Glucose Isomerizing Enzyme of K-17 strain- (포도당(葡萄糖) 이성화(異性化) 효소(酵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 분리선정(分離選定)된 균주효소(菌株酵素)의 성질(性質)에 대(對)해서-)

  • Seu, J.H.;Kim, C.K.;Ki, W.K.;Rhee, I.K.;Kwon, T.J.;Woo, D.L.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11
    • /
    • pp.49-53
    • /
    • 1969
  • Some properties of glucose isomerizing enzyme which produced by the strain K-17 in xylose containing nutrient broth medium were investigated. The optimal pH for enzyme reaction was indicated about 7.2 and optimal temperature was about $75^{\circ}C$. The same optimal temprature was indicated by both cell free extract and acetone dried cells using as enzyme. The glucose isomerizing enzyme from strain K-17 was not inhibited by the high concentration of substrate even in a suturated glucose solution, but most enzyme was inactivated by the heat treatment at $80^{\circ}C$. The maximum fructose forming ratio from glucose was about 50 percents.

  • PDF

Physiochemic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Feta Cheese Made from Goat Milk (산양유로 제조한 Feta 치즈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 강석남;박승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8 no.2
    • /
    • pp.293-306
    • /
    • 2006
  • We characteriz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examined the organoleptic and textural evaluations of Feta cheese made from goat's milk. Nutritional compositions of goat Feta cheese were fat 23.50%, protein 11.03% with moisture content of 59.54%. Cell numbers of lactic starter cultures in Feta cheese maintained from log 8.46 CFU/g and pH 5.76 during storage at 4℃ for 14 day's aging. The color of Feta cheese was whitish (L. 93.19) at after finishing brine salting, but became a little yellowish(b. 3.52) (a. -0.71). For texture profile analysis of goat Feta cheese, hardness, fracturability springness, and cohesiveness seemed to be week, but ad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and resilience were enhanced as aging times extended to 14days, resulted in the overall textural properties was to be superior to control cheese(commercial Mozzarella cheese). Organoleptic evaluations were examined based on the intensities and the preferences for flavour, tastes, texture and mouth feeling. saltiness, bitterness and acidity were stronger in the intensities than control cheese, but the preferences were enhanced by aging to be better than control cheese at 14 days and later on, however, the texture changed to be weaker in hardness and unpleasant in mouthfeel.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Feta cheese analysed by Gas chromatography were saturated fatty acid 42.06%, monoenoic acids 29.67%, di-enoic acids 24.24%, tri-enoic acids 1.21%.

Effect of Aesculetin and $O_2$Concentrations on In Vitro Development of Preimplantation Embryo in Hanwoo (Korean Native Cattle) (한우 수정란의 체외발육에 있어서 Aesculetin과 $O_2$농도의 영향)

  • Jang, H. Y.;Park, K. E.;Kim, C. I.;Park, C. K.;H. T. Cheong;B. K. Yang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6 no.1
    • /
    • pp.61-68
    • /
    • 2002
  • The present study was examined effects of aesculetin and $O_2$concentrations on in vitro development of Hanwoo (Korean Native Cattle) embryos derived from in-vitro matured and fertilized (IVM-lVF) oocytes. The oocytes were cultured for the first 40~44 h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then embryos of 2 to 8 cell stages were cultured under the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for another 6 days. In experiment 1, the higher rates of morulae and blastocysts were produced in 5% $O_2$, than in 20% $O_2$(P<0.05). Ther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embryos cultured with 1 $\mu\textrm{g}$/$m\ell$ than with 0, 5 and 10 $\mu\textrm{g}$/$m\ell$ of aesculetin. In experiment 2, the proportions of embryo developed with blastocysts and morulae plus blastocysts in 5% $O_2$, agai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20% $O_2$, during the culture with aesculetin and/or taurine. In the 5 and 20% $O_2$atmosphere, the inclusion of 1 $\mu\textrm{g}$/$m\ell$ aesculetin or 2.5mM taurine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the percentages of blastocysts and morulae plus blastocysts. In experiment 3, in medium with aesculetin plus PDGF and taurine plus EGF than other treatment groups, significantly (P<0.05) higher developmental rates were obtained. Number of blastomere in balstocyst stage were also higher in medium with that than without aesculeti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ulture conditions. In experiment 4, the proportions of embryo developed to the morulae and blastocyst stag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rates in medium with natural and commercial aesculetin than in control medium.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were observed in between natural (71%) and commercial (70.0%) aesculetin. Number of blastomere in blastocyst stage were also higher in medium with natural and commercial aesculetin than in control medium.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n the number of blastomeres by these treatment. These data indicate that preimplatation embryos are very sensitive to condition that can cause oxygen concentration and show that efficiency role of aesculetin for improving bovine embryo development in vitro.

Coagulation and Fibrinolysis in Exudative Pleural Effusions (삼출성 흉막액에서 응고 및 섬유소 용해계에 관한 연구)

  • Ryu, Jeong-Seon;Lee, Hong-Lyeol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5 no.6
    • /
    • pp.1214-1222
    • /
    • 1998
  • Background : The intrapleural hypofibrinolysis is caused by mainly excessive concentration of pleural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antigen(PAI-1 Ag), which binds tissue type plasminogen activator. In pleural inflammation induced by sclerosing agents for pleurodesis, levels of pleural PAI-1 antigen increase in relation to decreasing D-dimer levels. It has been known that the pleural mesothelial cells have the capability of secreting PAI-1 Ag in response to inflammation in vivo. Therefore, we estimated whether pleural inflammation changes the balance between fibrinolytic and coagulative properties in exudative pleural effusions. Method : The thirty cases was included in our study. We determined the pleural levels of glucose, lactic dehydrogenase(LDH), pH and the counts of white blood cell(WBC), polymorpho leukocyte(PMN), lymphocyte as the parameters of pleural inflammation and cellular components of pleural fluid. The plasma level of fibrinogen in fluid and the neutrophil count in blood were determined. The levels of D-dimer, PAI-1 Ag and thrombinantithrombin III complex(TAT) were determined by ELISA(Behring, Marburg, Germany). Result : The causes of pleural effusion were as following : tuberculous in 14 cases, malignant in 10 cases and parapneumonic in 6 cases. The levels of pleural D-dimer, PAI-1 Ag and TA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lasma(p<0..001). The severity of pleural inflammation did not correlated with pleural D-dimer, PAI-1 Ag, TAT and their plasma levels. But the level of pleural TAT correlated with pleural WBC and lymphocyte count. Conclusion : We found that the severity of pleural inflammations did not correlated with pleural D-dimer, PAI-1 Ag, TAT and the possibility of local production of PAI-1 antigen is present.

  • PDF

The Decision of Voiding Cystourethrography in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소아 요로감염에서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의 결정)

  • Kim, Dong-Woon;Choi, Eung-Sang;Lim, In-Seok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v.11 no.2
    • /
    • pp.203-211
    • /
    • 2007
  • Purpose : We attempted to compare the independent factors such as age, sex, C-reactive protein(CRP), and white blood cell count(WBC) in children with radiologic studies and assess the necessity of performing voiding cystourethrography(VCUG). Method : 98 children who have been diagnosed their first time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from Janurary 2002 to Januray 2005 were enrolled. In all patient, the duration of fever which occur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was recorded, and CRP, WBC, $^{99m}Tc$-2,3-dimercaptosuccinic acid($^{99m}Tc$-DMSA) renal scans, renal ultrasound and VCUG were analyzed. Results : Of the 98 children diagnosed with urinary tract infection(UTI), 52 were male and 46 were female. 18 had abnormalities in VCUG, 17 had abnormalities in kidney ultrasound, and 20 had partial defects or diffuse uptake decrease in $^{99m}Tc$-DMSA renal scan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cidence of radiologic abnormalities and age. The risk of renal sca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ho had a longer febrile period before treatment than in those with shorter period. Both CRP and WBC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children with the radiological abnormalities. A positive of $^{99m}Tc$-DMSA renal scans and renal ultrasound were highly associated with vesicoureteral reflux(VUR). Conclusion : If there are abnormalities in the kidney ultrasound and $^{99m}Tc$-DMSA renal scan of a child with initial UTI, a VCUG is recommended. Even in cases without abnormal findings in $^{99m}Tc$-DMSA renal scan and renal ultrasound, clinical data such as CRP and WBC should be assessed, and VCUG should be Performed for the undetected VUR.

  • PDF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Senescence Mutant in Rice (Oryza sativa L) (벼의 조기노화 변이체의 형태, 생리 및 생화학적 특성)

  • 이숙영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8 no.3
    • /
    • pp.325-334
    • /
    • 1995
  • The early senescence mutant induced from Gihobyeo by $\gamma-ray$ irradiation was determined. The mutated gene expression was identified with comparing the characteristic of original cultivar. The mutant had so simila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original cultivar that it couldn't be distinguished until senescence occurred at about 20 days after heading. Suddenly yellow leaves were observed within a few days due to great decreases in total chlorophyll and various carotenoid content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e formation of starch granules, distortion of fine structure of leaf cell organelles, especially grana structures, and the decrease in grain filled after senescence occurred. But banding patterns of total proteins and isozymes have not show any differences, The early senescence mutant will be very useful for study material not only on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plant senescence but also on gene expression regulating senescence which gives great influence on yield potential and its sta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