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T3-L 1

검색결과 5,065건 처리시간 0.043초

도토리 추출물의 3T3-L1 세포 분화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 of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 Extracts in 3T3-L1 Preadipocytes)

  • 김지연;이진;이창원;김애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50-65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소재로서 3T3-L1세포를 이용하여 탈피한 도토리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T3-L1 세포에서 생존율(MTT assay)을 측정한 결과, AE와 AW 시료 모두 $500{\mu}g/mL$ 농도에서는 다소 생존율의 감소를 보여, $300{\mu}g/mL$를 최종 농도로 정하였다. 3T3-L1 세포의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100{\mu}g/mL$로 처리하였을 때 두 시료 모두 지질축적량의 증가를 보였으나, $200{\mu}g/mL$ 처리농도에서 AE 시료는 82%로, AW 시료는 74%로 감소되다가 $300 {\mu}g/mL$ 농도에서는 두 시료 모두 약 53% 수준까지 지질축적이 억제되었다. 3T3-L1 세포에서 중성지방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AE 시료의 경우 $200{\mu}g/mL$ 농도에서 11%의 감소율, $300{\mu}g/mL$ 농도에서 42% 수준의 감소율을 보였다. AW 시료도 $200{\mu}g/mL$ 농도에서 5%의 감소율과 $300{\mu}g/mL$에서 41%의 감소율을 보였다. 3T3-L1 세포의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시료 농도 $200{\mu}g/mL$에서 AE는 42%, AW는 33%로 $300{\mu}g/mL$에서는 AE는 58%, AW는 52%로 ROS 생성량의 억제를 보였다. 3T3-L1 세포에서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두 시료(AE와 AW) 모두 $300{\mu}g/mL$ 농도에서 $PPAR-{\gamma}$은 54%와 38%, aP2는 40%와 18% 수준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탈피한 도토리는 3T3-L1 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새로운 항비만 소재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의보감 당뇨 처방에 사용되는 한약재에서 인슐린성 물질(Insulin-like substances)의 탐색 (Screening of Insulin-like Substances from Traditional Herbs of Diabetes Prescription in Donguibogam)

  • 주영승;고병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1호
    • /
    • pp.47-52
    • /
    • 2002
  • 동의보감의 소갈 처방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약재 중에서 인슐린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해 3T3-L1 지방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3T3-L1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3T3-L1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3T3-L1 섬유아세포의 증식율은 반하, 후박, 대황, 오가피, 창출과 보두의 열수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세포의 분화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황, 과루인, 현삼과 고삼의 추출물은 3T3-L1 섬유아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켰으며, 이는 인슐린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α-Lipoic acid의 희석용매, 처리농도, 처리시간에 따른 3T3-L1 지방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α-Lipoic Acid in Adilution Solvents,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on Cell Growth Blocking in 3T3-L1)

  • 서은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64-471
    • /
    • 2018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lpha}$-lipoic acid in diluted solvents on cell growth in 3T3-L1 cells according to the treated concentration and times. Methods: Adipocyte 3T3-L1 cell were cultured. Confluent cells underwent starvation with SFM for 1 day and then were cultured in a medium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0, 100, 200, and $400{\mu}mol/L$ of ${\alpha}$-lipoic acid. Th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EZ Cytox assay kit. In addition, the effect of ${\alpha}$-lipoic acid of diluted solvents on the cell growth in 3T3-L1cell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treated concentration and times. Results: The ${\alpha}$-lipoic acid diluted ethanol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The ${\alpha}$-lipoic acid diluted ethanol induced adipocyte 3T3-L1 cells proliferation with an adipocyte inducer. In addition, ${\alpha}$-lipoic acid inhibited adipocyte 3T3-L1 growth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p<0.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 treatment with ${\alpha}$-lipoic acid diluted ethanol inhibits cell growth of, adipocyte 3T3-L1 cells induced with an adipocyte inducer, ($200{\mu}mol/L$ of ${\alpha}$-lipoic acid) treated for 48 hr.

침지식 평판형 연속회분식 박반응기에서 유입 유기물 부하의 변화에 따른 영양염류의 제거 특성 (Nutrient Removal Characteristics on Organic Material Loadings in Submerged Flat Sheet Type Sequencing Batch Membrane Reactor)

  • 김승건;이호원;강영주
    • 멤브레인
    • /
    • 제20권3호
    • /
    • pp.241-248
    • /
    • 2010
  • $0.4\;{\mu}m$의 세공크기를 갖고 있는 평막이 침지된 연속회분식 반응기에서 유입 유기물 농도가 영양염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분리막의 여과성능과 영양염류 제거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유입 유기물의 농도를 200 mg/L (Run-1), 400 mg/L (Run-2) 및 800 mg/L (Run-3)로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하였다. COD/N 및 COD/P의 비가 증가할수록 T-N 및 T-P의 제거율은 모두 증가하였다. Run-1, Run-2 및 Run-3에서 T-N의 평균 제거율은 각각 28.1, 32.6 및 90.4%이었으며, 투과수의 T-N 평균 농도는 각각 32.0, 30.0 및 4.3 mg/L 이었다. 또한 Run-1, Run-2 및 Run-3에서 T-P의 평균 제거율은 각각 13.6, 35.3 및 93.1%이었으며, 투과수의 T-P 평균 농도는 각각 3.11, 2.33 및 0.25 mg/L이었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염생식물 Atriplex gmelinii의 조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Crude Extract and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of the Halophyte Atriplex gmelinii Inhibit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이정임;오정환;공창숙;서영완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9-77
    • /
    • 2023
  • Objectives: Atriplex gmelinii C. A. Meyer is a halophyte belonging to the Chenopodiaceae family, and its young leaves and stems are used as fodder for livestock.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gmelinii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n lipid accumulation during adipogenesis of 3T3-L1 preadipocytes. Methods: The samples of A. gmelinii were separately extracted using methylene chloride and methanol. Subsequently, they were combined to formulate the initial extract, which was then partitioned based on polarity to prepare solvent fractions. Oil Red O staining was employed to measure lipid accumulation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To verify cytotoxicity in 3T3-L1 cells, MTT assays were conducted. The expression levels of transcription factors in 3T3-L1 preadipocytes were measured through Western blotting analysis. Results: At 50 ㎍/mL, treatment of A. gmelinii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significantly diminished lipid accumulation with no noteworthy cytotoxicity on cell viability. Additionally, when investigating the biochemical pathways that underlie the prevention of lipid accumulation using solvent fractions, it was found that the n-BuOH and n-hexane fraction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key transcription factors involved in the generation of fat,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α),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gmelinii can effectively reduce the accumulation of fat in 3T3-L1 adipocytes, making it a potentially valuable material for mitigating and preventing obesity.

한국근해 병어류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3. 동지나해산 덕대의 연령과 성장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Pomfrets, Pampus spp. in the Korean Waters 3. Age and Growth of Korean Pomfret, Pampsu echinogaster, from the East China Sea)

  • 강용주;이동우;홍병규;김영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81-290
    • /
    • 1989
  • 1987년 $1\~2$월에 걸쳐 동지나해에서 대형기저쌍끌이어업에 의해 어획된 덕대를 대상으로 연령, 성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연령사정은 추체로 하였으며, 추체경에 대한 연역지수에 의한 윤문의 형성은 $9\~10$월에 걸쳐 연1회 형성되었다. 추체경(R)에 대한 체장(FL)과의 관계는 암컷 : $FL=8.8262R^{0.7709}$ 수컷 ; $FL=8.9676R^{0.7976}$ 전체 ; $FL=8.7883R^{0.7681}$과 같다. 체장(FL)에 대한 체중(BW)과의 관계는 암컷 : $BW=0.0093FL^{3.3795}$ 수컷 ; $BW=0.0081FL^{3.4153}$ 전체 : $BW=0.0084FL^{3.4125}$와 같다. 연령(t)에 대한 체장($L_t$)의 버틀란피 성장식은 암컷 : $$L_t=29.17(1-e xp(-0.3213(t+0.7601)))$$ 수컷 ; $$L_t= 28.21(1-e xp(-0.3L69(t+0.8284)))$$ 전체 : $$L_t=29.00(1-e xp(-0.3228(t+0.7361)))$$와 같다. 연령(t)에 대한 체중($W_t$)의 버틀란피 성장식은 암컷; $$W_t=829.4(1-e xp(-0.3213(t+0.7601)))^{3.3795}$$ 수컷; $$W_t=747.6(1-e xp(-0.3169(t+0.8284)))^{3.4154}$$ 전체 : $$W_t=816.8(1-e xp(-0.3228(t+ 0.7361)))^{3.4125}$$와 같다. 월별 연령별 평균체장($L_t$)에 대한 주기변동 버틀란피 성장식은 암컷 : $$L_t=29.2(1-e xp(-0.3458(t+0.8182)+(0.3458/2\pi) sin2\pi(t+0.027)))$$ 수컷 : $$L_t=28.2(1-e xp(-0.2789(t+1.5193)+(0.2789/2\pi) sin2\pi(t-0.1062)))$$와 같다.

  • PDF

Rosa acicularis Leaves Exert Anti-obesity Activity through AMPK-dependent Lipolysis and Thermogenesis in Mouse Adipocytes, 3T3-L1 Cells

  • Jeong Won Choi;Hyeok Jin Choi;Gwang Hyeon Ryu;Seung Woo Im;Jae Won Lee;Jin Boo Jeo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46-46
    • /
    • 2023
  • It has been reported that Rosa acicularis has anti-obesity activity by inhibiting the digestive lipase activity. However, there is a lack of clear in vitro studies regarding the anti-obesity activity of Rosa aciculari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verify the anti-obesity activity of Rosa acicularis leaves (RAL) and elucidate its mechanism of action in 3T3-L1 preadipocytes. RAL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and triacylglycerol. RAL had no effect on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in undifferentiated 3T3-L1 cells, but it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 differentiating 3T3-L1 cells. RAL increased ATGL, p-HSL, and HSL, and decreased perilipin-1 in differentiating 3T3-L1 cells. In addition, RAL reduced lipid droplet accumulation and increased free glycerol content in differentiated 3T3-L1 cells. RAL increased ATGL and HSL in differentiated 3T3-L1 cells. Also, RAL increased p-AMPK, PPARγ, UCP-1, and PGC-1α in differentiating 3T3-L1 cells. AMPK inhibition by Compound C attenuated RAL-mediated increase of ATGL, HSL, PPARγ, and UCP-1 in 3T3-L1 cells. Taken together, it is thought that RAL may inhibit lipid accumulation through lipolysis and thermogenesis via the activation of AMPK in adipocytes.

  • PDF

Thaumatococcus daiellii 열매 유래 토마틴의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에 의한 항비만 효과 (Thaumatin Isolated from Katemfe Fruit of Thaumatococcus daiellii Inhibits 3T3 L1 Adipocytes Differenciation)

  • 차재영;정재준;양현주;박준석;김현우;김수현;정해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83-787
    • /
    • 2011
  •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에 대한 Thaumatococcus daiellii 열매 유래 토마틴의 항비만 효과를 검토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 토마틴을 0-5 ${\mu}M$ 농도로 처리한 결과 세포생존율은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는데, 토마틴 8일 처리 후 1 및 3 ${\mu}M$ 농도에서 각각 97% 및 88.3%의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또한 토마틴 3 ${\mu}M$ 처리 농도에서 Oil-Red-O염색 지방구가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3T3-L1 세포 내 중성지방 농도는 양성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천연 식물성 토마틴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증식 억제 및 중성지방 농도 감소 효과를 보여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단삼 유래 Tanshinone IIA가 3T3-L1 세포의 아포토시스 유도와 지방형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anshinone IIA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on Induction of Apoptosis and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Cells)

  • 정승일;이종우;장선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409-1415
    • /
    • 2009
  • Obesity is especially a serious health problem in industrialized countries, because it is considered to be a risk factor associated with the genesis or development of various metabolic diseases,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nshinone IIA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on induction of apoptossis and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in 3T3-L1 preadipocytes and adipocyt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anshinone IIA decreased cell population growth of 3T3-L1 preadipocytes, assessed with the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nd LDH (lactate dehydrogenase) assay. Flow cytometric analysis of 3T3-L1 preadipocytes exposed to tanshinone IIA showed that apoptotic cells increased in a timeand dose-dependent manner. Treatment with tanshinone IIA decreased the number of normal cells and increased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induction of apoptosis in 3T3-L1 preadipocytes by tanshinone IIA was mediated through the activation of caspase-3 and Bax, and then through the cleavage of PARP and the down-regulation of Bcl-2. Moreover, tanshinone II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mount of intracellular triglycerides and GPDH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in 3T3-L1 adipocytes. Our results suggest that tanshinone IIA efficiently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and adipocytes.

코끼리마늘의 3T3-L1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 (Elephant Garlic Extracts Inhibit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 이슬기;한동엽;김수린;이원영;남주옥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83-388
    • /
    • 2020
  • 부추 속에 속하는 코끼리마늘(Allium ampeloprasum L.)에 대한 몇 가지 약리효과는 보고된 바 있으나, 이의 항비만 및 작용기전에 대한 보고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코끼리마늘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이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코끼리마늘(Raw Elephant Rarlic, REG) 및 흑코끼리마늘(Steam Elephant Garlic, SEG) 추출물이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질축적을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REG의 경우 지방세포에 독성을 나타낸 반면, SEG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는 점이다. 추가적으로, SEG는 PPARγ, C/EBPα, Adiponectin, Ap2 및 LPL와 같은 지방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본 연구는 두 종류의 코끼리 마늘이 3T3-L1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을 보고한 최초의 연구이다.